스페셜
"연구소"(으)로 총 3,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게시판] 기후기술 R&D 아이디어 발굴 전문가 대토론회外동아사이언스 l2019.01.07
- 아이디어는 한국연구재단 기획마루 홈페이지(plan.nrf.re.kr)에 제출할 수 있으며, 대학과 연구소, 기업 등에 속한 기후기술 관련 분야 전문가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선정돼 토론회에서 논의된 아이디어는 향후 정부 기후기술 R&D 사업 기획시 활용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과총은 내달 2 ... ...
- [과학게시판] AI 연구개발(R&D) 사업 통합설명회外동아사이언스 l2019.01.07
- 이달 11일부터 25일까지 서울과 부산, 광주에서 스타트업, 중소·중견기업, 대학‧공공연구소 등을 대상으로 '2019년도 특허청 지원사업 합동 설명회'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11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18일은 부산 부산진구 부산상공회의소, 25일 광주광역시 북구 ... ...
- [표지로 읽는 과학] 거대 수궁류는 티라노사우르스 때문에 멸종하지 않았다동아사이언스 l2019.01.06
- 경쟁에서 도태됐다는 기존 주장과 배치되기 때문이다. 토마즈 술래즈 PAS 고생물학연구소 연구원은 논문에서 “리소비치아 보자니와 같은 트라이아이스 후기의 디키노돈트들은 점점 커지는 육식 천적들의 등장에 맞서 음식을 저장하고 소화하는 능력이 도리어 극대화됐을 것”이라며 “거대한 ... ...
- [과학게시판] 기후변화 대응 기술개발 위한 아이디어 발굴동아사이언스 l2019.01.03
- 국가 연구개발(R&D) 수요조사를 실시한다. 참여 의사가 있는 대학, 공공 및 민간 연구소, 기업 등 기후기술 관련 분야의 전문가는 기후기술 연구 주제를 포함한 수요 조사서를 작성해 한국연구재단 기획마루 홈페이지(https://plan.nrf.re.kr)에 제출하면 된다. 전문가들이 제안한 연구주제는 2월 20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다이어트도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때2019.01.02
- ‘셀 대사’ 제공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7권),《생명과학의 기원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양이 혓바닥이 까끌까끌한 이유2018.12.25
- 위키피디아 제공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7권),《생명과학의 기원을 ... ...
- [표지로 읽는 과학] 한 해, 열 명의 이야기들동아사이언스 l2018.12.23
- IPCC)가 채택한 ‘1.5도 특별보고서‘를 이끌어낸 밸러리 메종 델모트 프랑스 기후환경과학연구소 수석연구원 △유럽우주국(ESA)의 ‘가이아’ 위성이 은하수를 관측해 얻은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집대성한 앤서니 브라운 네덜란드 레이던천문대 연구원도 이름을 올렸다. 그 밖에 △플라스틱 ... ...
- [과학게시판] 사회문제과학기술정책센터 현판식 外동아사이언스 l2018.12.21
- 혁신으로 맞이하게 될 미래사회를 살펴볼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됐다. ■국가핵융합연구소는 21일 전주정보 문화산업진흥원과 중소·중견 및 벤처기업의 기술 지원을 위한 업무협력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핵융합연은 전북 군산에 위치한 플라즈마기술연구센터를 통해 진흥원과 지속적인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백신이 못 잡는 독감 바이러스, 항체가 잡는다2018.12.18
- 지켜볼 일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7권),《생명과학의 기원을 ... ...
- [표지로 읽는 과학] 현실로 성큼 다가온 양자 네트워크동아사이언스 l2018.12.15
- 구현하는 기술이 속속 발전하고 있다. 쉐렌 베르노프스키 호주 양자광학및양자정보연구소 연구원은 “양자 네트워크를 구현하려면 더 멀리 떨어진 거리에서 양자얽힘 상태를 만드는 것과 함께 동시에 여러 곳에서 양자얽힘을 만들어 내는 것도 중요하다”며 “이번에 네 곳에서 동시에 얽힘을 ... ...
이전2622632642652662672682692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