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9,990건 검색되었습니다.
- 캐나다 숲을 지키는 수호신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113
- 숲에 사는 동물들, 그리고 사람들이 함께 지켜낸 것이었단다. 우리나라의 숲도 이렇게 모두 함께 가꾸고 지키면 먼 훗날 우리의 후손들도 수백, 수천 년을 산 나무들이 가득한 숲을 누릴 수 있겠지? ‘캐나다 숲 탐험대’를 계기로 우리는 우리나라 숲의 수호신이 되기로 마음먹었어. ... ...
- 뚝딱뚝딱! 중생대 화석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112
- 보이는 것이 가치 있는 화석이겠죠? 화석에 곤충의 머리, 가슴, 배 뿐만 아니라 날개까지 모두 있으면 금상첨화랍니다.이 날 탐사했던 곳은 우리가 캤던 화석 말고도 정말 많은 화석이 발굴되는 엄청난 곳이었어!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제 이 곳에서 화석 탐사를 할 수가 없어. 공사가 진행되기 ... ...
- Part 3. 정사각형 정보 상자, QR코드수학동아 l201112
- 이렇게 QR코드가 바코드보다 저장 용량이 큰 이유는, QR코드가 가로와 세로 두 방향에 모두 정보를 저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QR코드는 바둑판처럼 가로와 세로가 작은 정사각형으로 나뉘어 있다. 크기에 따라 버전1부터 버전40까지 있는데, 버전1은 가로와 세로를 각각 21개로 나눠 총 231개의 사각형이 ... ...
- [수학영재캠프] 작은 것은 아름답다수학동아 l201112
- 갖는 공통적인 구조는 무엇일까? 위의 절차로 얻어낸 L0가 이런 구조를 갖고 있는 수를 모두 모은 것임을 증명하여라그러나 이로부터 그리 오래지 않아, 그는 무슨 이유에서인지 정신병원에 수용되었고, 거기서 늘상 “작은 것은 아름다운데…. 작은 것은 아름다운데….”라고 중얼거리며 세상의 ... ...
- [수학클리닉] 삼각비 정복하기!수학동아 l201112
- 이번 호에서는 중학수학의 꽃인‘삼각비’를 살펴보도록 해요. 삼각비에 대한 처방전은 인하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 김도훈 선생 ... 그렇지만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만 잘 기억한다면 삼각비 정복은 문제없어요. 여러분 모두 수학을 정복해서 자신의 꿈에 한 발 더 다가서길 바랄게요 ... ...
- 중국, 우주까지 차지하나 - 세계 3번째 무인우주선 도킹과학동아 l201112
- 아시아 국가들이 우주개발 연구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각 나라가 추구하는 노선은 모두 다르다. 일본은 하야부사로 대표되는 과학 연구 위성과 H-II로 대표되는 발사체, 그리고 위성과 국제우주정거장까지 거의 전 분야 연구를 하고 있다. 인도는 2008년 한 개 발사체에 10개 위성을 동시에 싣고 ... ...
- 바이오안전성·산업 논술대회 수상자 발표과학동아 l201112
- 식탁 위의 생명공학’, ‘왓슨이 들려주는 DNA이야기’ 등이었다. 중, 고등부 대상작 모두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적절한 자료를 찾아 제시한 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고등부 대상을 받은 김윤정 학생은 ‘나고야 의정서, 위기를 도약의 발판으로 삼기 위한 제안’을 작성해 대상을 받았다. ... ...
- [knowledge] 한송이 생명을 피우기 위해 지구는 그렇게 뜨거웠나 보다과학동아 l201112
- 벌였다.우주에 지구 문명을 전파하려면미국 하버드대 찰스 랭뮤어 교수의 발표는 우리 모두에게 인류가 지속적으로 번영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되돌아보고 반성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는 “거대한 암석 덩어리로 출발한 지구가 45억 년의 진화를 통해 무기물에서 유기물을 만들어 ... ...
- 글쓰기 능력이 합격 가른다과학동아 l201112
- 따른 위치 정밀도 변화를 간단한 행렬과 삼각함수를 이용해 식으로 유도하게 했다. 모두 고등학교 수학 교과과정에서 배운 내용이다. 문항 3의 논제 1, 2, 3 고등학교에서 배운 과학지식과 주어진 자료를 바탕으로 가보지 못한 행성이나 위성의 현상을 추론하는 문제가 출제됐다. 문항 3의 제시문 ... ...
- 인류 진화의 열쇠를 쥔 ‘손’과학동아 l201112
- 가져야 한다. 불규칙한 모양의 물체를 쥐려면 세 개의 손가락으로 물체의 여러 면을 모두 잡을 수 있어야 한다. 1977년, 동경 근처의 쓰쿠바에 있는 한 연구소에서 세 손가락 로봇 손이 처음 만들어졌다. 물건을 자연스럽게 잡았다 내려놓는 동작은 물론이고 연필이나 막대를 잡고 돌리기, 공을 튕기고 ... ...
이전2632642652662672682692702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