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페이지 뉴스] 페로브스카이트로 만든 반구형 인공 눈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카메라로는 절대 담을 수 없는 미세한 빛의 변화도 감지한다. 돔 모양의 망막에 수백만 개의 광수용체가 밀집된 독특한 구조 덕분이다. 하지만 그동안 로봇공학 분야에서 사람의 눈을 모방해 만든 시각장치는 대부분 납작한 전자칩 모양이었다. 눈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구현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 ...
- 살이 빠지는 화학반응이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아미노산이다.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아 달걀 등 음식을 통해 섭취해야 한다. ※필자소개장홍제. KAIST 화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는 광운대 화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다양한 원소로 이뤄진 나노물질을 설계·합성하고 응용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원소가 ... ...
- 나는 시각장애인 안내견 주미입니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안내견으로 선발되려면 6~8개월의 훈련 기간 동안 3번의 시험을 치러야 한다. 훈련 1개월 차에는 똑바로 걷는지, 유혹을 이겨내는지 등 선천적인 기질과 안내견이 되기 위한 가능성을 평가받는다. 이후 중간평가와 최종평가는 훈련사와 함께 받는다. 훈련사가 눈을 가리고 우리와 함께 걸으며 ... ...
- 글로벌 제약 사업에 뛰어든 바이오 전문가 “인생의 멘토를 만드세요”과학동아 l2020년 06호
- 과학 전공자를 우대하는 추세”라며 “이공계를 전공하더라도 흔히 생각하는 연구개발 외에 다양한 일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또 그는 대학 시절 방송국 앵커 일과 파티 플래닝 등 현재 직업과 전혀 상관없어 보이는 일들을 재미 삼아 시도했던 경험을 언급하며 “이런 작은 경험들조차 ... ...
- [융복합 파트너@DGIST] '씨앗' 키워 정제까지...친환경 퀀텀닷 레시피과학동아 l2020년 06호
- acs.chemmater.8b02049연구팀은 앞으로 퀀텀닷의 반치폭을 32nm 이하로 줄이는 등 고순도 퀀텀닷 개발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 교수는 “현재 실험실에서는 인화인듐 퀀텀닷의 효율을 카드뮴 퀀텀닷과 유사한 정도까지 끌어올렸다”며 “퀀텀닷을 이용하면 순도 높은 색을 표현하면서도 유기발광다이오드 ... ...
- [가상인터뷰] 똥 냄새 나는 두리안, 전기차 배터리로 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라이에스(MGL)’ 를 갖고 있어. 대부분의 식물에는 이 유전자가 1~2개 있는데, 두리안은 총 4개를 지녔지. 즉, 냄새를 내는 휘발성 물질을 더 많이 생산할 수 있는 거야. Q. 최근 새로운 쓰임새가 밝혀졌다고?A. 지금까지 사람들은 과육을 꺼내 먹고 남은 두리안의 껍질은 쓰레기로 버렸어. 그런데 최근 ... ...
- [Go!Go!고고학자] 늑도의 특이한 유물들, 어디서 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문화를 주고받은 거지요. 그 교류의 영향은 우리나라에서 찾기 힘든 개의 공동묘지나 개오지 부장품같은 흔적으로 남게 된 거고요.이국적인 공간인 늑도에서의 삶은 어땠을까요? 늑도에는 여전히 사람들이 살고 있어 섬의 동쪽 일부만 발굴됐을 뿐이에요. 그렇다면 대체 섬 전역에 퍼져있는 유물은 ... ...
- "원숭이에게 DNA 백신 시험 중"…코로나19 백신 개발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들어가지 못하는 물질도 세포 내에 침투할 수 있다.CRO(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 신약개발 단계에서 제약기업의 의뢰를 받아 임상시험 진행 설계, 컨설팅, 데이터 관리 등의 업무를수행하는 기관 ... ...
- 도심에서 발견된 여우, 너의 정체는?과학동아 l2020년 05호
- ※편집자주. 3월 29일 청주 도심에서 구조된 여우는 북미산 여우(north american red fox)인 것으로 4월 26일 최종 확인됐습니다. 북미산 여우는 캐나다, 미국 등 북미지역에 주로 서식하는 붉 ... : 자연계에서 한 생물집단이 인위적인 개입 없이 멸종하지 않고 살아갈 수 있는 최소한의 개체 수 ... ...
- 스피어x 과학동아 l2020년 05호
- 했다. 이 단계가 끝나면 본격적으로 챔버 제작에 돌입한다. 정 책임연구원은 “NISS 개발 당시 극저온 진공 챔버를 만든 경험을 토대로 챔버를 설계했다”며 “스피어x를 우주로 보내기 전에 이 챔버에 넣어 설계대로 만들어졌는지, 우주 환경에서 제대로 작동할지 스피어x의 상태를 전반적으로 ... ...
이전2632642652662672682692702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