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d라이브러리
"
거리
"(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얼음 위의 날쌘돌이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쾌감을 느낄 수 있어. ✚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은 400m 트랙으로 육상 경기용 트랙과
거리
가 같아. 하지만 곡선 구간이 짧고 직선 구간이 길어. 육상 트랙의 곡선 구간의 반지름은 약 38m지만 스피드스케이팅의 반지름은 평균 26m로 훨씬 짧거든. 대신 직선구간은 80m인 육상 트랙보다 32m나 긴 112m야.총 ... ...
발견 400주년 목성 4대 위성과 그 형제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중력과 위성들 간의 중력 때문에 몇몇 위성들은 목성에 흡수되기도 하고, 서로 간의
거리
가 조정돼 현재에 이르게 된 것이다. 그래서 이오, 유로파, 가니메데가 목성 주위를 도는 공전주기가 1:2:4의 독특한 조합을 하고 있다(공명 공전). 한편 정규위성은 달이 늘 지구에게 같은 방향만 보여주는 것과 ... ...
편안한 눈, 즐거운 귀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잠을 돕는 호르몬인 멜라토닌이 제대로 나오지 않아 생체리듬이 깨진 결과다.그럼에도
거리
의 번쩍이는 전광판은 늘어만 간다. 이미 도시에선 밤하늘을 수놓았던 별들이 자취를 감췄다. 대형 건물들이 바깥벽의 빛을 더 밝게 하고 세기도 높여 치장하는 데만 집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곳에서 ... ...
Part 5. 종이접기의 재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x와 y인 정육면체를 만들면 부피의 비가 2:1인 정육면체를 만들 수 있다.단순한 흥밋
거리
로만 생각했던 종이접기에 이런 능력이 숨어 있었다니! 옆자리 친구의 자신만만한 표정이 이제 이해가 된다. 종이접기는 직접 해 볼 수 있기 때문에 도형을 이해하는 데 아주 유용하다는 친구의 설명. 좋아, 이제 ... ...
미래 대 예측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행성을 이루는 물질이 마치 물이 끓듯 우주로 날아가고 있다. 만약 태양이 커져 지구와의
거리
가 가까워지면 지구도 이렇게 사라질지도 모른다.일곱째 날 ◯◯년 뒤 정말 갑자기 사람이 사라질 수 있을까?마지막 날 아침, 여우는 나를 내가 살던 시대로 데려갔어. 털이 하얀 곰이 덩실덩실 춤을 추고 ... ...
신체지수 속의 편안함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53.2cm에 불과하다는 데 있다. 우리나라에서 만든 차라 하더라도 의자와 브레이크의
거리
는 미국인에게 더 맞게 나온다는 뜻이다.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한국인의 정확한 인체치수가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1979년부터 6년에 한번 꼴로 인체치수를 조사했다. 가장 최근은 2004년으로 전국 2만 ... ...
한민족 조상, 동남아에서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개인마다 염기서열이 다른 부분이다. SNP의 차이가 많을수록 두 집단은 유전적으로 서로
거리
가 멀다는 의미다. 연구 결과 SNP 분석을 통한 각 집단 사이의 유전적 친소관계는 현재 사용하는 언어나 살고 있는 지역의 분포와 대체로 일치했다. 예를 들어 한국인 집단은 같은 알타이어에 속하고 ... ...
두 남자의 호주 사막 조난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남아 있었다. 차량을 꺼내는 데 힘을 써버리지 말 걸 하는 후회가 밀려왔다. 더 많은
거리
를 이동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체력이 떨어져 30km밖에 걷지 못했다. 잘 곳을 찾던 중에 물웅덩이를 만났다. 가까이 가서 웅덩이에 돌을 던졌다. 건기의 더위를 피해 민물 악어가 서식하기 때문이다.다행히 ... ...
지식과 논리 갖춘 창의력이 관건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문항으로서 이미 기출된 문항이었으나 좀 더 원리적인 것을 묻는 형태로 등장했다.
거리
에 따라 자기장의 크기가 변하므로 전체 자속의 변화와 유도 기전력의 방향을 예측해 전류 곡선을 그려주면 된다. 다음 화학 문제에서 ⑴번은 양쪽 장치에서 압력 차이로 액체가 이동하는 물에 잘 용해되는 ... ...
[수학 통조림] 경우의 수를 따져라~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밥을 먹고 운동을 할까, 운동을 먼저 하고 밥을 먹을까 하는 것도 서로 다른 경우다. 사
거리
에 있는 4개의 횡단보도 신호등이 어떤 순서로 켜지고 꺼지느냐에 따라 도로가 막히기도 하고 잘 뚫리기도 한다.이런 식으로 경우의 수와 관련된 일은 우리가 의식하지 못할 만큼 일상생활에서 순간순간 늘 ... ...
이전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