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정
기획
의도
설계
스케줄
일정
구상
d라이브러리
"
계획
"(으)로 총 5,798건 검색되었습니다.
작전명령 ③ 최선의 방법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방법은 다각형의 꼭짓점에서 찾을 수 있어. 이런 방법으로 최선의 방법을 찾는 것을 선형
계획
이라고 하는 거야. 최선의 선택을 하기 위해 수학이 꼭 필요하다는 걸 이제 알겠지?▼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학을 알면 축구가 보인다 PARTⅠ 수학을 알아야 축구를 잘 한다 : 축구는 수학이다 PART Ⅱ ... ...
염증 줄이는 음식 속 도우미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상태에 따라 결과도 다르게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실험은 보통 4~5일씩 걸린다. 실험
계획
을 세워서 진행하고 결과를 도출하는 데까지 거의 일주일이 걸리는 셈이다. 이런 실험이 한 주에도 여러 개가 동시에 진행된다. 실험이 실패할 경우를 대비해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다. ... ...
절대 터지면 안 되는 ‘열통 터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국제바이오에너지 연구센터가 들어서 새만금 지역의 수질을 개선하는 데 일조할
계획
이래. 그동안 이곳은 축산단지의 오물과 폐수 때문에 사람은 물론 동물도 살기 힘들 정도로 악취가 심했다고 하는데, 이런 시설이 큰 도움이 됐으면 좋겠어. 자기야, 비록 오늘 내가 자기를 속상하게 했지만, ... ...
수학이 좋아지는 다큐멘터리를 만들고 싶어요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PD로 일을 할 때 수학이 직접적으로 쓰이지 않지만 PD가 워낙 여러 가지 일을
계획
하고 가능성을 생각하는 일이다 보니 저도 모르게 순서도처럼 그림을 그려서 일하는 것 같아요. 아무래도 수학이 논리적인 사고를 하는 데 가장 많은 영향을 주지요.”역시 수학을 공부한 사람들은 일을 할 때도 ... ...
2010 개인게놈 시대 개막 선언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얻을 수 있다. 관련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비용이 크게 저렴해졌기 때문에 무모한
계획
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현재 자원자 1만 6000명이 등록을 마쳤다. 지금까지 얻은 데이터를 이용한 논문도 나오기 시작했다. Q. 데이터뿐 아니라 염기서열분석기 같은 하드웨어의 설계도, 게놈을 분석하는 ... ...
세계 최장 새만금 방조제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에피소드도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는 이런 대규모 간척사업을 해외로 수출할
계획
”이라고 덧붙였다.배와 물고기가 오가는 길그 이후의 인터뷰는 오 소장과 함께 방조제 위를 걸으면서 계속됐다. 사무소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방조제 내부에 고인 물을 바깥으로 빼내는 수문이 있었다. ... ...
멸종위기종 산양의 복원 현장 설악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보호하며 연구에 활용할
계획
이다. 이 박사는 “제한적으로 일반인들에게 공개할
계획
도 있다”고 말했다.행여 사람들의 접근에 야생동물들이 스트레스를 받진 않을까 이 박사에게 물었다. 이 박사는 “그런 부분이 전혀 없지는 않다”며 일부 인정했다. 하지만 그는 “현재 산양 복원 사업의 가장 ... ...
사람은 죽어서 ‘불멸의 업적’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제시했다.미국의 태양열 발전소에서 중국의 풍력 에너지 단지, 유럽의 스마트그리드
계획
까지 전 세계는 환경 재앙을 극복하고 침체된 경제를 살리려는 길로 들어섰다. 저자는 이 책에서 환경과 발전 사이의 이분법을 버리고 위기를 기회로 바꾸기 위한 돌파구를 소개한다.두 페이지에 걸친 수많은 ... ...
물고기는 자외선으로 얼굴을 구분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모습이 꼭 닮아서 사람은 구분하기 어려운 물고기라도 물고기들은 서로를 금세 알아볼 수 있어요. 그 이유는 서로의 얼굴에 서 반사된 자외선 무늬를 볼 수 있기 때문이지요. 호주 ... 곳을 구별한 거예요. 연구팀은 같은 종 끼리도 자외선으로 서로를 알아보는지 더 연구할
계획
이랍니다 ...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사용할 수 있다. 현재 개발된 레이저 크기는 10μm 수준인데, 앞으로 3~5μm 크기로 줄일
계획
이다.고려대 물리학과 박홍규 교수는 광결정과 나노선을 사용해 레이저를 만든다. 나노선은 머리카락을 1만 분의 1로 쪼갠 수준인 수nm(나노미터, 1nm=10-9m) 굵기의 가느다란 전선인데, 반도체 물질로 이뤄져 있어 ... ...
이전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