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식물 속 동물 찾기] 매의 발톱을 가진 매발톱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북한의 고산지대에 서식하기 때문에 야생에서 보긴 어렵답니다.여러분이 만약 매발톱을
발견
한다면 가장 먼저 주목하는 건 꽃이 아닐 거예요. 매발톱꽃의 밑동 부분에 특이한 점이 있거든요. 바로 꿀 주머니예요. 꿀 주머니의 모양이 뾰족하면서도 안쪽으로 둥글게 휘어 있어서 마치 매의 발톱을 ... ...
[과학뉴스] 제주도 바닷가 신종미생물에서 항생제 물질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최혁재 교수는 “프로지디오신은 제약시장에서 고가로 거래 되고 있다”며 “국내에서
발견
한 신종 해양미생물에서 가치가 높은 항생제 물질을 찾아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doi:10.1099/ijsem.0.00212 ... ...
[Issue] 토성 탐사 20년 그 위대한 기록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오늘(9월 15일)은 카시니 임무의 마지막 날이자 새로운 시작”이라며 “카시니가
발견
한 타이탄과 엔셀라두스는 지구 밖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영역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완전히 바꿔놨다”고 말했다. 카시니 프로젝트의 담당자인 린다 스필커 NASA 제트추진연구소 연구원은 “카시니는 ... ...
[Origin] {숨} 어디까지 참아봤니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과정이 효율적으로 변해간다는 뜻이다. 지방산화량 차이도 중요하지만, 연구팀이
발견
한 결정적인 차이는 ‘인산크레아틴’이라는 물질이다. 이 물질은 근육 운동 과정에서 미토콘드리아가 생성한 에너지가 일시적으로 고갈됐을 때 순간적으로 근육이 힘을 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물질이다. ... ...
[Origin] 남자 청소년 열에 아홉은 근시?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근시라는 통계도 있다(doi:10.1167/iovs.12-10106). 근시는 대부분 태어날 때는 없다가 성장기에
발견
된다. 근시가 얼마나 심하면 병일까?근시는 성장기에 안구가 커지면서 비정상적으로 앞뒤로 길쭉해지는 병이다. 근시가 있다고 해서 무조건 실명까지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성장기가 끝나면 안구의 ... ...
[Career]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미래 해양과학자를 외치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뒤 해삼 내부에 사는 미생물을 배지로 옮기고 있다.➋ 연구단이 바다에서 거대한 해삼을
발견
해 관찰하고 있다.➌ 맹그로브 숲을 탐험하며 염분이 빠져나와 짠맛이 나는 맹그로브 잎의 표면을 맛보기도 했다. 바다 탐험의 대미는 생태계 보존이 가장 잘 된 펜룩섬으로 떠나는 탐험이었다. 그런데 ... ...
Part 2. “소변에서 일부 화학물질 농도 2~3배 증가”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분석했다. 프로필파라벤 농도가 눈에 띄게 증가한 경우도
발견
됐다. 보습제를 사용한 참가자의 경우 사용 전에 비해 사용 뒤 프로필파라벤 농도가 9.2배 늘었다. 프로필파라벤은 음식을 통해 노출될 가능성이 낮고, 화장품이나 샤워 제품으로부터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 ...
[Culture] 원본 증명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나면 원래 정신이 담겨 있던 신체에는 정신이 남아있지 않습니다. 그런 케이스는 거의
발견
되지 않았고, 역설적이게도 영혼의 존재는 그런 식으로 증명되고 만 셈입니다. 반례가 없어도 너무 없어서, 저로서는 오히려 납득하기 어려운 증명이었지만 말이지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장 친한 ... ...
[과학뉴스] 면역거부반응 바이러스 비활성시킨 돼지 개발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만든 배아를 암퇘지에 이식해 출생시킨 결과, 새끼 돼지에서 내생 레트로바이러스가
발견
되지 않았다.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8월 10일자에 실렸다. doi:10.1126/science.aan418 ... ...
[Origin] 진화적으로 안정된 전략의 탄생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네이처’에 투고했다. 모든 종류의 선택을 설명하는 수식인 ‘프라이스 방정식’을
발견
하기 바로 직전에 행한 일이었다. 진화의 종착역, ESS프라이스의 원고를 심사한 사람은 저명한 이론생물학자인 존 메이나드 스미스였다. 그는 동물들의 의례적인 공격 행동은 종의 이득을 위해서가 아니라 ... ...
이전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