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금성에도 기후변화가? 황산 구름층의 비밀을 찾아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금성의 기후변화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더 큰 의미를 가진다고 생각합니다. 2020년 10월 우리 모두 금성 관측해요~이번 금성의 기후변화 연구는 2014년에 시작했습니다. 논문으로 발표하기까지 5년이라는 시간이 걸렸습니다. 인공위성 한 기의 데이터만으로는 이것이 진짜 금성의 기후변화인지 관측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때문이에요. 인간은 하루에 얼마나 많은 고기를 먹을까요? 고기는 어떤 과정을 거쳐 우리의 식탁에 오를까요? 고기를 먹는 일이 지구의 환경에 어떤 영향을 끼칠까요? 영상을 통해 질문에 대한 답을 듣고 나면 마음이 조금 불편해질 수 있어요. 하지만 분명 그 불편함이 여러분의 생각을 키우는 데 큰 ... ...
- 알고 보면 2배로 재밌다! 수학으로 보는 스타워즈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이야기지만 중세시대의 정치상과 닮은 점이 많아요. 그런 점에서 저는 스타워즈 세계가 우리가 개발한 기술을 시험하기 적합한 사례라고 생각했어요. 저는 그래프 이론을 응용하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어요. 사람들 사이의 네트워크 그래프를 만드는 과정은 복잡하고 지루하지만 완성된 네트워크를 ... ...
- [주니어폴리매스] 복잡한 계산을 간단하게! [+{코딩수학}_]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여러 대상 사이의 관계를 네트워크로 나타내 수학적으로 분석했으며, 이를 응용해 현재 우리가 쓰는 컴퓨터의 구조도 만들었습니다. 알고리듬을 그림으로 나타낸 ‘순서도’를 처음 사용한 사람도 바로 노이만이죠.SNS에서 팔로우 또는 팔로잉 한 관계를 나타내는 것처럼 사람 사이의 관계를 ... ...
- [이달의 책] 우리는 연결될수록 강하다 외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술술읽혀요 | 새 책 ● 우리는 연결될수록 강하다관계의 과학김범준 지음 | 동아시아 | 344쪽 | 1만5000원 모델만 입을 수 있었던 ‘스키니진’을 모든 사람이 입기 시작한 게 언제부터인지 정확히 기억나지는 않는다. 다만, 그 후 십여 년 동안은 다리가 두꺼운 사람에게는 꽤나 고역인 시대였다 ... ...
- 할머니 범고래 없인 못 살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나타난 채로 살아간단다. 인간과 닮은 듯 닮지 않았네. 또 다른 특징은?다른 동물들은 우리 범고래를 보고 무서워하지만, 실은 상당히 엄마 껌딱지야. 2012년, 영국 엑서터대학교 대런 크로프트 교수팀이 북서태평양에 사는 범고래를 36년간 조사했는데, 폐경기가 지난 엄마 범고래를 떠나보냈을 때 ... ...
- [통합과학교과서] 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자고, 머리가 얼어붙을 일도 없었을 텐데요…. 겨울철 필수품이 된 보일러가 어떻게 우리 집을 따뜻하게 만드는지 함께 알아볼까요? 추운 겨울, 방 안이 쌀쌀할 때 보일러를 틀면 바닥이 따뜻해지는 걸 느낄 거예요. 이때 바닥을 따뜻하게 만드는 물질은 ‘물’이에요. 여러분이 사는 집의 바닥을 ... ...
- 가짜뉴스와의 전쟁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해가 될 수도 있다. 인공지능(AI) 기술 역시 마찬가지다. 첨단 전자기기로 구현한 AI는 우리 삶을 편리하게 해주기도 하지만, 가짜뉴스와 같은 거짓 정보를 생성해 사회에 혼란을 불러올 수도 있다. 가짜뉴스는 걸러 내고 팩트만 얻을 방법은 없을까. 쓰나미 높이가 방사능 오염수 지도로 둔갑필자는 ... ...
- [1920~2020, 로봇 100년] 한국 로봇 개발의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중요한 첫 발을 내딛었다. 이 책임연구원은 “세계적으로 달 탐사 경쟁이 치열한 만큼 우리나라도 한국형 달 탐사 로버에 이어 후속 기술을 계속 연구해야 한다”며 “현재는 후속 로버 개발 계획이 없는 만큼 지금이라도 우주 탐사 로봇 개발 계획을 중장기적으로 검토하고 만들 필요가 있다”고 ... ...
- 아이유도 쓰네, 노이즈 캔슬링의 원리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김도헌 대림대 음향공학과 교수는 “DSP의 성능이 향상돼 처리속도가 0.1ms 수준이 되면 우리가 듣는 대부분의 소리에 노이즈 캔슬링이 효과를 발휘할 것”이라고 말했다.노이즈 캔슬링 기술이 처음 등장한 건 1930년대지만 헤드폰 등에 탑재된 건 20년이 채 되지 않는다. 노이즈 캔슬링을 위해서는 ... ...
이전2632642652662672682692702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