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공위성
텔스타
우주선
첨성
달별
d라이브러리
"
위성
"(으)로 총 2,712건 검색되었습니다.
달은 45억년전 대충돌로 생겼다.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대충돌설이 나오기 까지대충돌설을 내세운 학자는 여러명이된다. 그중 첫번째 학자로는
위성
과학연구소(아리조나소재)의 '윌리엄 하트맨'박사이다. '카메론'박사나 'D.데이비스'박사도 주요, 주창자이다.달의 기원에 관한 학설의 전환점은 지난 84년 '하와이'의 '코나'에서 열린 학술회의에서 있었다. ... ...
프랑스,지구관측
위성
스포트1호 발사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박차를 가하고 있어 주목된다.사진의 인공
위성
도 그 하나로 프랑스의 지구관측
위성
스포트1호. 지난2월21일 밤 남미의 프랑스령 '기니아'의 '크루'기지에서 유럽 우주기구의 아리안 로케트에 의해 쏘아 올려졌다. 앞으로 15년간에 걸친 지구촬영 화상의 상품화 계획이 시작된 것이다.지금까지 이 ... ...
랜새트로 찍은 한반도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성남이 두드러져 보이며 경인선 연변과 중량천변에도 주거지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위성
사진의 픽셀수(1픽셀은 57m×57m의 크기를 나타냄)를 산출해 나타난 결과에 의하면 고밀도 시가지는 72년의 105.4㎢에서 83년에 172.1㎢로 63.2%가 커졌고, 주거지는 171.5㎢에서 233.9㎢로 36.4%가 증가했다. 반면에 ... ...
한반도의
위성
사진은 어떻게 만들어지나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있다. 즉 랜새트는 경도선을 비스듬하게 가로질러 지상을 탐색한다. 뿐만 아니라
위성
의 기울기나 고도상의 변화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랜새트가 잡은 화상과 지형도를 비교하면 형상의 왜곡(歪曲)이 있고, 화상의 가로 세로비도 일치하지 않는다. 이렇게 일그러진 화상을 지형도에 맞추어 형상이나 ... ...
화상회의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1981년부터 1.5~6Mbps의
위성
디지탈회선을 사용하고 AT&T사도 1982년부터 1.5-3Mbps 지상및
위성
디지탈회선을 사용하여 화상통신회의 서비스를 시작했다. AT&T는 1983년말 미국 전국에 46개 화상통신회의 시스템을 설치해 운용중에 있는데 이들 시스템 상호간 호환성이 있어 어느 시간에 어느 시스템과도 ... ...
우주대폭발의 화석 찾는 '코브'계획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되는 파장을 사용하여 우주최대의 수수께끼인 천체 퀘이사의 정체도 조사한다. '코브'
위성
이 만일 대폭발의 증거를 분명히 잡아내지 못한다면 앞으로 당분간은 우주탄생의 진상을 알 길이 없어진다. 그만큼 과학자들이 이계획에 거는 기대는크다 ... ...
초전도체(超電導体)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액체헬륨을 넣은 듀아(저온용기)내에 장치하여 지구상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으며 인공
위성
에 실어서 우주공간에서도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발달하였다.'조셉슨'접합이나 SQUID는 계측학과 물리학실험에서 미세전류와 전압을 측정하는데 널리 사용하고 있다. 계측학과 관련해서 '조셉슨'접합이 ... ...
통신
위성
사업 진출 모색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것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한편 한국산업개발연구원에서는 통신업체로부터 국내 통신
위성
산업의 타당성조사를 위임받고 지난해 7월 연구보고서를 통해 타당성을 인정한 바 있다 ... ...
미국의 KH11 첩보
위성
의 현장촬영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KH11이 활동을 개시한 것은 체르노빌 발전소 기술진들의 다급한 무선교신을 다른 전자첩보
위성
이 탐지해 비상사태의 발생사실을 간파했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사고가 시작된 25일부터 KH11이 사진을 촬영하기 시작했다고 하니 미국은 소련 내부의 일을 손바닥처럼 훤히 알고 있던 셈이다. 이번의 ... ...
인공
위성
에서 찍은 한반도의 기상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7백60km 상공에서 기상
위성
에 의해 촬영된 한반도주위의 기상 사진은 하루에 8장씩 수신, 기상예측에 활용되고 있다. 왼쪽사진은 한반도를 향해접근하는 태풍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대만부근에 형성된 태풍의 눈이 뚜렷이 보인다. 오른쪽 위 사진은 남해안에 정체돼 있는 장마전선을 나타내며, ... ...
이전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