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균치
평균수
에버리
표준
기준
정상상태
평균값
d라이브러리
"
평균
"(으)로 총 3,821건 검색되었습니다.
정월대보름 달 크기를 재보자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43분 지구와의 거리가 가장 가까워지고 크기는 가장 커진다. 이때 거리는 35만6천8백97km로
평균
거리인 38만4천4백km에 비해 약 3만km나 가깝다. 또 보름달의 크기도 평소보다 큰 33′30″나 된다. 올해 10월 21일 뜨는 가장 작은 보름달(29′26″)에 비하면 무려 10% 이상 큰 크기다. 주의깊게 관측한다면 ... ...
달까지 거리 재는 21세기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달까지의 거리는 얼마일까. 지구 중심에서 달 중심까지의
평균
거리는 38만5천km라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한 과학자가 이 거리를 5년 동안 mm의 정확도로 재겠다고 나서서 화제가 됐다. 주인공은 미국 워싱턴대의 천문학자 톰 머피 박사로 지난 1월 16일 영국 BBC뉴스에 소개됐다.현재 달까지의 거리 ... ...
줄기세포의 새로운 보고 탯줄과 태반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수 있는 조혈모세포의 수가 너무 적다는 점이다. 한번에 채취할 수 있는 탯줄혈액은
평균
70-80mL인데, 이 중 조혈모세포 수는 2억-3억개 정도다. 이 양은 체중 40-50kg 이하인 소아환자들에게 이식할 수 있는 양이다. 성인에게 이식하기 위해서는 최소 4억개 정도의 조혈모세포가 필요하다.현재 ... ...
1년은 항상 3백65일인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직각인 지역에서 가장 작다. 따라서 바닷물도 달을 향한 지역과 그 반대 지역의 해수는
평균
해수면보다 높아지고, 직각인 지역에서는 낮아진다. 이것이 육지 쪽으로 바닷물이 들고나는 조석현상이다. 여기서 지구에서 바닷물이 상승한 부분이 문제가 된다.바닷물이 상승한 부분은 처음에 지구의 ... ...
위대한 유산 과학을 남긴 가문 - 캐번디시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빛날 수 있었던 것이 ‘다윈의 불독’ 헉슬리 때문이었던 것처럼. 그는 또한 지구의
평균
밀도를 측정한 최초의 과학자이기도 한데, 그의 정확한 실험은 오늘날 ‘캐번디시 실험’으로 불리고 있다.언제 그가 들어왔고 또 언제 나갔는지를 아는 하인이 아무도 없을 정도로 베일 속에 살면서 외로운 ... ...
붉은 행성에 닻 내리는 사신 - 오디세이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회전초 공’으로 불린다. 커다란 축구공처럼 생긴 풍선 중앙에 탐사장비를 부착하고
평균
초속 10m의 속도로 이동하게 된다. 가파른 언덕도 쉽게 이동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내부공기를 뺌으로써 정지상태로 장시간 탐사활동을 벌일 수 있다.지상형 풍선뿐 아니라 공중형 풍선도 있다. 이런 ... ...
한국여성 과학계 참여 10%도 못미쳐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해낸 연구결과를 평가했다. 우선 1년에 얼마만큼의 논문을 발표하는지를 조사했는데,
평균
적으로 여성은 2.3개, 남성이 2.8개를 발표한다. 논문수는 한 과학자의 이력을 평가하는 절대적인 기준이다. 따라서 이에 따르면 남성이 여성보다 연구활동능력이 더 뛰어나다고 볼 수 있다.하지만 논문을 ... ...
초음파 진단이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 두가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976-1978년생으로 초음파 진단을 받은 남성들 중 32%가 왼손잡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평균
적인 남성의 왼손잡이 비율이 9%인 점과 비교하면 상당히 높은 편이다.이같은 조사결과는 유전적으로 오른손잡이인 남성이 왼손잡이로 성장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킬러 박사는 “오른손잡이 사람이 뇌에 ... ...
'몸이 재산' 프로선수 독특한 체격 진화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키 1백45cm, 몸무게 40kg으로 줄어든다. 나이도 여기에 동조한다. 1964년에 22.7세였던
평균
연령이 1987년에는 16.5세로 줄어든다. 경쟁과 심판의 기준에 맞추기 위한 진화의 대표적인 케이스다. 기록과 승부를 위해운동선수들의 체구와 체형은 결국 두가지 때문에 진화 한다고 볼 수 있다. 하나는 기록 ... ...
01 황사와 산성비 없애는 차세대 발전소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1g의 중수소·삼중수소로 1시간 동안 2만6천kW의 전기를 생산하는데, 이는 5천가구의
평균
하루 전기 소비량(2001년 현재 서유럽국가 기준)에 해당된다.또한 인구 밀집지역에 건설된 핵융합 발전소는 도시 환경을 놀라울 정도로 쾌적하게 변화시켰다. 핵융합 발전소의 운영 방식이 근본적으로 ... ...
이전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