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제주도의 동굴과 지형 탐사를 마치고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특히 아직 발견된지가 20년도 채못된 초기 단계로 많은
학술
적인 연구가 진행중에 있습니다. 이번 탐사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기 보다 제주도의 화산지형을 직접 눈으로 보고 익히는데 주안점을 두었습니다. 선생님들이 현지에서 학습한 내용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합니다 ... ...
「크레이2」도입1년 슈퍼컴퓨터는 어떤 일을 했나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항공기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김교수는 오는 93년까지
학술
진흥재단과 크레이사의 지원자금을 받아 슈퍼컴퓨터용 3차원 손상역학 프로그램을 개발할 계획이다. 손상역학은 구조물의 손상진전을 유한 요소법을 이용, 예측해내는데 이론자체가 비선형계산이고 계수가 많으므로 ... ...
동쪽 끝에 우뚝 솟은 화산섬 독도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등은 우리나라 어느 지역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없는 장관을 형성한다. 앞으로 전문적인
학술
조사단이 탐사와 연구를 계속해 독도의 지형지질과 생태계에 관한 더욱 자세한 보고서가 나와야겠다 ... ...
환경파괴 없는 남극개발에 나설 때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및 클로로필 분포 등의 연구결과도 함께 실려 있다.88년 11월에는 '제1차 남극과학 국제
학술
대회'가 서울에서 열려 9개국에서 참가한 학자들과 국내 과학자 수십명이 모여 남극연구결과를 토의했다. 육상지질 지구물리 육상동물 해양지질 고층대기물리 등 남극과학의 여러 분야가 폭넓게 논의됐는데, ... ...
PC에서 쓸 수 있는 컴퓨터언어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기능이 낮아 거의 외면당하고 있다. 또 인공지능 연구용 언어라고 하는 LISP나 프롤로그도
학술
용 프로그램 언어에 속한다. LISP의 경우 오토캐트(AutoCAD)라고 하는 매우 유명한 캐드소프트웨어에 내장되어 있어 이를 배우는 사람들이 있기는 하지만.그렇다면 일반인들이 가장 널리 사용하는 언어는 ... ...
남북과학교류 추진하는 원병오교수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한 계절에 국한된다면 가치가 떨어져요. 적어도 춘하추동 4계절을 망라해야 제대로 된
학술
논문이 나와요. 아무튼 교수 학생간의 교류가 계속 확대돼, 남북간의 이질감을 줄이고 통일을 앞당기는 밑거름이 되었으면 해요."인터뷰가 이뤄진 곳은 원교수의 널찍한 교수연구실이었는데 꽤 썰렁하게 ... ...
80년대 사건과 과학자의 양심 용기, 비열, 얼버무림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방법'과 똑같은 결과를 얻어내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이어 열린 물리학회
학술
발표에서 "핵융합의 결정적인 증거인 중성자가 검출되지 않았다"는 반론에 부딪혔고 내막을 알아본 결과 과기처의 긴급지시에 의한 졸속한 초보적인 실험에 불과했단는 사실이 드러났다.지난 7월 과학기술원 ... ...
바이오 3총사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 관심을 반영하듯 내년에는 제2회 아시아 태평양 생물공학
학술
대회가 서울에서 열릴 예정이다. 여기서 다루어질 주요 의제 중에 「과학동아」가 바이오3총사로 선정한 에너지 센서 리액터가 모두 들어 있음은 물론이다.그러나 바이오에너지 바이오센서 바이리액터만이 ... ...
청동기 기술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그러니까 내가 말하는 한국청동이란, 한국에서 만든 청동이라는 뜻의 보통명사가 아니고
학술
용어로서의 고유명사를 의미한다.이 한국청동을 조선시대에 흔히 '놋' 또는 '놋쇠'라고 부르던 청동합금의 총칭과 같은 개념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생각을 나는 늘 가지고 있다. 아직은 가설이지만 ... ...
과학ㆍ기술계의 반응 심각 병역특례 축소에 따른 부작용 우려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학생들과 이른바 '석사장교'로 불리우던 특수전문요원 그리고 자연계 연구요원과
학술
특기자까지 합쳐 4개 부문을 하나로 통합하고 대상인원도 대폭 축소 한다는 사실이다. 이에 따라 막연히 '대학원 또는 과학기술원에 진학하면 병역문제가 해결되겠지'하는 생각은 버릴 수밖에 없게 됐다. 졸업 후 ... ...
이전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