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체
그룹
team
소집단
선수
티임
편
뉴스
"
팀
"(으)로 총 4,906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 소재 연구 필수 ‘전자석 플랫폼’ 국산화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2.26
높였다. 냉각장치나 측정장비 등을 맞춤형으로 제공해 장비 활용도도 키웠다. 연구
팀
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이 기술 출자를 통해 설립한 ‘알앤디웨어’를 통해 사업화에도 나섰다. 알앤디웨어는 고자기장 관련 기술을 제공 받아 연구용 전자석과 전자석 플랫폼, 전자기 물성측정장비 등의 ... ...
전기로 뇌 치료 ‘뇌전기자극술’ 안내할 ‘뇌 내비게이션’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19.02.25
등이 정확히 밝혀지지 않아 치료 효과가 일정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었다. 서 연구원
팀
은 신경세포를 모양에 따라 세 가지로 구분한 뒤, 각각에 전류를 흘려줬을 때 전류가 흐르는 방향에 따라 신경세포가 어떻게 활성화되는지를 컴퓨터로 새롭게 시뮬레이션했다. 그 결과 신경세포의 활성화를 ... ...
美 스탠퍼드도 못한 생체간이식 한국서 받고 '새 삶'
동아사이언스
l
2019.02.25
이해가 깊고 워낙 치료 의지가 강한데다, 치료 과정 내내 의사와 중환자간호
팀
등 간이식
팀
이 환자 상태를 매일 공유한 결과 좋은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칼슨 씨는 스탠퍼드 대학에서 골수 이형성 증후군에 대한 항암 치료를 다시 진행할 수 있게 됐다. 골수이식은 이식 후 1년 이상 정밀한 ... ...
차세대 에너지저장장치 핵심소재 ‘이온전달막’ 상용화 눈앞에
동아사이언스
l
2019.02.25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세계 최초로 과불화탄소계가 아닌 이온전달막을 개발했다. 연구
팀
은 벤젠 고리가 길게 이어진 ‘폴리페닐렌’ 구조에 술폰산기를 넣고 구조를 바꿔서 강화 복합막 형태의 이온전달막을 만들었다. 연구 결과 이 소재는 전류를 많이 전달해서 내구성이 높았다. 화학연은 이 ... ...
유전 정보 저장 능력 커진 ‘인공 DNA’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9.02.25
DNA 연구는 수년 전부터 꾸준히 시도돼 왔다. 필립 홀리거 영국 분자생물학연구소(MRC) 교수
팀
은 DNA의 원자를 조금씩 바꾸거나 구조를 변형한 분자를 6개 만들어, DNA를 복제하는 DNA 중합효소가 이를 구분하지 못한 채 복제까지 하도록 하는 데 성공해 2012년 4월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CeNA’라는 ... ...
위성 추력기·성냥갑만한 미세먼지 측정기…창업 아이템된 논문·특허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2
고려대 ‘케이에코테크’, 한양대 ‘시스템생물학 연구실’, 성균관대 ‘어큐노스’
팀
이 받았다. 심사를 맡은 김승현 300파트너스 대표는 “실험실 창업과정은 기술적으로 높은 수준이라 평가하기 어려웠다”며 “많이 배웠고 앞으로도 좋은 결과가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랩 스타트업 배틀 ... ...
극지연구 ‘원석’에 KIST 기술 접목해 ‘황금’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2
연구는 최만호 KIST 분자인식연구센터 책임연구원
팀
과 강승현 극지유전체사업단 연구원
팀
이 맡는다. 이들의 연구주제는 ‘체온이 노화와 장수에 미치는 영향’이다. 체온에 따라 달라지는 생리학적 현상의 원인을 규명하고 노화를 조절, 억제하는 원리를 알아낸다는 게 목표다. 최만호 KIST ... ...
해왕성 14번째 초미니 위성 발견 “40억 년 전 충돌로 형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2.21
위치한 지름 66km의 소형 위성 ‘나이아드’를 재발견하는 부수적 성과도 얻었다. 연구
팀
은 “트리톤과 해왕성 사이의 위성들이 충돌로 형성됐다는 기존 이론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라며 의의를 설명했다 ... ...
손쉽게 얇게...온도차로 전기 만드는 ‘열전소재’ 신공정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19.02.20
깨끗이 인쇄할 수 없듯, 결정이 정렬되지 않으면 효율이 떨어진다”고 비유했다. 연구
팀
은 결정 구조를 책의 종이처럼 가지런하게 정렬하기 위해 두 단계의 새로운 공정을 개발했다. 먼저 재료는 같지만 투입되는 재료의 양이 다른 일종의 형제 물질을 만들었다. 셀레늄이 한 개가 아닌 두 개 결합한 ... ...
체내에서 스르륵...신장조직 재생 돕는 ‘지지체’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0
지지체를 쓸 때보다 1.5배 잘 형성시키고 기능을 100% 회복시킨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연구
팀
은 돼지의 신장에서 추출한 ‘세포 외 기질’을 지지체에 첨가했다. 세포 외 기질은 세포와 세포 사이 틈을 메우는 고분자 물질로 세포 조직을 지지해 주고 세포가 튼튼하게 살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 준다 ... ...
이전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