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d라이브러리
"
그림
"(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적왕 잭의 지도정복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당연히 있다. 땅 속의 모습과 암석 분포 등을 나타내는 지질도가 그것! 지질도(아래
그림
)는 토양 성분을 분석해 농사에 도움을 주고 산사태도 예방한다. 또한 철광석, 석탄 등 필요한광물자원 탐사에도 도움을준다. 땅 속을 손금 보듯하는 방사능 스캐너지질도를 만들 때 가장 어려운점은 땅 속을 ... ...
나는 어떤 얼굴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다르답니다. 훌륭한
그림
을 보면 누구나 멋지다고 생각하지만 자신이 진짜 좋아하는
그림
은 사람마다 다르듯이 말이죠.500여 명의 얼굴 중 대표적인 얼굴을 가진 45명을 합쳐 만든 한국 여성의 평균 얼굴. 미인? 나잖아!보편적인 미인의 기준은 어리고 건강해 보이는‘동안’입니다. 지금 거울을 ... ...
1. 당신의 뇌가 '관상'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한 가지 재미있는 사실은 우리가 사진이나 어떤 사람의 얼굴을 정밀하게 묘사한
그림
을 볼 때보다 그 사람의 얼굴 특징을 과장해서 그린 캐리커처를 볼 때 더 빠르고 정확하게 누구인지 알아본다는 점이다. 특히 유명인처럼 친숙한 얼굴의 경우엔 더욱 그렇다.예를 들어 이마가 넓은 사람은 실제보다 ... ...
'새대가리' 같지 않게 똘똘한 비둘기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머리가 나쁜 사람을 더 이상 ‘새대가리’라고 부를 수 없게 됐다.유럽의 인식신경과학 지중해연구소와 국립중앙과학연구소는 비둘기가 1000개 안팎의 그 ... 못했다. 두 동물 모두 연구팀의 예상보다 기억능력이 매우 뛰어났으나 두 동물이
그림
에 반응하는 방식과 기억하는 양은 달랐다 ... ...
인디언들은 초신성 폭발을 봤을까?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따라서
그림
이 그려진 시기가 초신성이 폭발한 때와 비슷하다는 사실만으로 인디언
그림
속에 있는 별이 초신성이라고 확신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지금부터 약 1000년 전에 초신성이 폭발했으며, 고대 중국인이나 아메리카 인디언이 보았을지도 모르는 초신성의 폭발 잔해를 지금 우리가 ... ...
상상력으로 가득찬 동그라미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개의 동그라미를 그리고 있다. 크기는 제각각 다르지만 모양은 모두 같다. 이게 과연
그림
일까. 시간이 지나자 동그라미는 엄마의 얼굴로, 방긋 웃는 꽃으로, 꿀꿀대는 돼지로도 되살아났다. 스케치북은 순식간에 왁자지껄해졌다. ‘동그라미 그리려다 무심코 그린 얼굴’이라는 노래도 있듯이 원은 ... ...
걸어 다니는 신분증, 얼굴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그들의 얼굴을 알아보고 인사를 건네는 일은 기본이고, 승무원이 스케치한 얼굴을 보고
그림
솜씨를 칭찬하기도 한다. 할은 얼굴 인식 능력을 갖춘 로봇이었다.영화가 개봉된 1960년대 미국에서는 스탠퍼드대와 MIT를 중심으로 얼굴 인식기술 연구가 시작됐다. 할은 이런 시대 분위기를 반영한다 ... ...
암호처럼 보이는 수열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보기에 암호처럼 보이는
그림
들. 이 안에 어떤 비밀이 숨어있을까.조선 후기 사대부 출신 학자인 최석정이 쓴 수학책 ‘구수략’(九數略)에는 ‘하도’(河圖)(01)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다. 하도는 중국 복희씨 때 황하에서 용마가 입에 물고 나왔다는 전설 속의 예언서다. 하도에는 흰 점과 검은 점이 ... ...
썰렁홈즈가 보낸 마지막 편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4호
말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네 번째 문제의 정답착시현상을 이용해 만든
그림
.
그림
을 자세 히 들여다보면‘또만나리’라는 말이 들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언젠가 다시 만나리결국 썰렁홈즈가 있는 곳의 주소는“아무래도 아쉽군 헤어지면 또만나리”였다. 주소를 찾아간 다무러는 코끝이 찡해졌다. ... ...
MIGAC CHRISTMAS! 매직 크리스마스 3개의 선물 상자를 열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4호
변하는 자극보다는 갑작스럽게 변하는 자극이 주의를 쉽게 끌게 돼. 왼쪽보다 오른쪽
그림
에서 빨간 부분을 찾기가 어렵다. 이처럼 마술에서도 화려한 무대가 우리의 주의를 빼앗는 역할을 한다.아직 어떤 과정으로 주의가 뇌로 연결되는지는 확실히 밝혀지진 않았어. 하지만 자극에 주의를 ... ...
이전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