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입학사정관제] 입학사정관제 1차 전형 통과 비법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과학 놀이마당에서 준비한 여러 실험을 발표하며 리더십과 봉사심, 과학 탐구심을
길
렀습니다.…… (생략) ……문제 상황에 있어서도 섣부른 판단보다는 한 번 더 문제의 원인을 분석해보고 근본 원인에 대한 유추에까지 판단력을 활용함으로써 시행착오를 범하는 경우가 거의 없을 정도로 꼼꼼하고 ... ...
제8회 전국학생과학논술대회 수상작(고등부 영어논술대상) -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Science and Technology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구성이 돋보였다. 서론에서 논제를 자신의 언어로 정리한 뒤, 과학과 기술이 서로 다른
길
을 걸어오게 된 원인을 서술했다. 본론에서는 과학과 기술이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된 원인을 3가지로 요약한 다음 결론에서 지금까지 논지를 정리하며 마무리했다. 과학과 기술이 서로 영향을 미친 사례를 ... ...
[핫이슈] 7월 22일 태양이 빛을 잃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달이 태양에 접근하기 시작하면 긴장은 극도에 달한다. 셔터와 컴퓨터 자판을 누르는 손
길
이 점점 바빠진다. 태양이 완전히 가려지는 순간, 갑자기 눈앞이 정말 말 그대로 캄캄해진다.원정관측을 다녀온 천문학자들은 일식이 일어나던 순간을 이렇게 기억한다. 짧은 시간 동안 가능한 한 많은 ... ...
난쟁이 인류 '호빗(호모 플로레시엔시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몸
길
이가 1.7m(새끼)부터 6.2m(성체)에 이르렀다. 가장 큰 녀석도 목과 꼬리를 빼면 몸통
길
이가 2m 정도고 어깨높이가 성인 눈높이보다 아래다. 이들 역시 ‘섬 왜소증’의 결과로 오늘날 독일 작센 지방의 섬에 고립돼 있었다. 독일 본대 고생물학연구소 마틴 샌더 박사는 2006년 ‘네이처’에 발표한 ... ...
잠자는 명화를 깨워라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지난 4월 29일에 개봉한 영화 ‘인사동 스캔들’의 남자주인공 이강준(김래원 분)은 미술품 복원가다. 그는 프랑스 파리 3대학에서 미술품 복원을 전공한 전문가다. ... 그림을 구매해 소장하는 사람들도 많아지고 있다. 그만큼 국내에서도 미술품 복원가의 손
길
이 바빠질 수 있다는 말이다 ... ...
사막개미의 내비게이션은‘냄새’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위해 100m이상 돌아다녀니면서도 집을 찾을 수 있는 거랍니다. 어때요? 우리 개미들의
길
찾기 능력이 사람들이 쓰는 내비게이션 못지 않으니 저야말로 과학계의 거물이 아닌가요 ... ...
터미네이터 로봇의 진화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정찰 및 감시 로봇은 미국 아이로봇 사를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다. 계단이나 울퉁불퉁한
길
에서도 움직이며 1.8m 높이에서 콘크리트 바닥으로 떨어져도 충격을 극복해야 한다는 사항이 중요하게 검토되고 있다. 아이로봇 사의 ‘팩봇’은 현재 전 세계에서 1500대 이상이 사용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 ...
하늘을 나는 자동차의 꿈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트랜지션은 이륙하기 위해서 일반 항공기와 같이 활주로가 필요하다. 차가 막힌다고
길
한가운데서 하늘로 날아오를 수 없단 뜻이다. 트랜지션은 자동차에서 비행기로 전환하기 위해서 가까운 공항으로 이동해야 한다. 도착지에서도 가장 가까운 공항에 착륙한 뒤 다시 운전해 목적지로 가야 한다. ... ...
인천-LA 1시간대에 주파하는 극초음속 비행기 시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1호’로 세운 기록은 소박했다. 12초 동안 36m 비행. 하지만 이 사건은 인류 역사에서
길
이 기억된다. 날개 없는 생물인 인간이 새처럼 하늘을 가를 수 있게 한 시발점이었기 때문이다.라이트 형제의 세계 최초 비행 이후 비행기 발달을 가속시킨 건 양차 세계대전이었다. 당시 비행기 발달은 곧 속도의 ... ...
내 세포로 만든 바이오치아 시대 열리나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설명했다.충치는 치태인 플라크 때문에 쉽게 생긴다고 알려져 있다. 플라크는 어떻게 생
길
까. 이 교수는 “아무리 깨끗이 양치를 하더라도 몇 분 안에 침 속의 당단백질이 치아 표면에 쌓여 ‘펠리클’이라는 얇은 막이 형성된다”며 “펠리클에 각종 세균이 작용하면 플라크가 만들어진다”고 ... ...
이전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