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표"(으)로 총 7,190건 검색되었습니다.
- 2050년엔 메시도 이긴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로보컵(RoboCup)’이 열린 7월 23일 오후 브라질 주앙페소아. 키즈 리그에 출전한 한국 대표팀인 국민대 로봇축구 팀 ‘쿠도스(KUDOS)’는 이미 최후까지 몰려 있었다. 22일 오전 열린 첫 시합의 상대는 인도네시아. 대수롭지 않게 판단했지만 의외로 실력이 좋았다. 0대 1로 패배. 절치부심해 전략을 다시 ... ...
- 만화책에 목소리를 불어넣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흘러 나오는, 일명 ‘오디오 카툰’이다. 이 서비스를 개발한 ‘콕코스’사의 정승화 대표는 “컴퓨터나 스마트폰은 눈뿐만 아니라 귀로도 즐길 수 있는 도구라는 점에 주목했다”고 말했다. 그는 중견 만화가 196명의 만화책 1만2000권을 모두 디지털화했다. 장면마다 인물이 주고받는 대화는 KBS 소속 ... ...
- 공룡의 역사 흔들 대발견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사람들이 미쳤다고 말했지만, 좋아하는 일을 찾아 과감하게 달려들었고 지금은 한국을 대표하는 공룡학자가 됐다. 언제나 차분하고 세심한 이항재 연구원 역시 공룡 외길 인생을 사는 중이다. 기자는 넷째 날, 위석을 지닌 원시 각룡류 공룡인 야마케라톱스(몸 크기가 개 정도로 작다)의 화석을 함께 ...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말랑말랑 미끌미끌 해조류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주제관에 전시돼 있는 대황. 갈조류인 대황은 독도 바다에서 숲을 이루고 있는 대표적인 종으로 1~2m 크기까지 자란다. (오른쪽)▶땅 위에서 많은 나무와 풀이 숲을 이루듯이 바다 속에서는 해조류가 바다 숲을 이뤄요. 해조류는 엽록소가 들어 있어 이산화탄소와 햇빛을 이용해 광합성을 해요. ...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안녕, 나는 미래에서 온 ‘아토’라고 해요. 지금 여러분이 즐겨 쓰는 스마트폰 메신저의 미래 버전이라 볼 수 있죠. 나는 훨씬 더 발달된 기능을 포함 ... 코딩을 게임처럼 쉽게 접하고, 부담 없이 즐기며 논리적 사고습관을 기르길 바라고 있다. 대표적인 코딩 교육 두 가지를 소개한다 ... ...
- 벌집 아이스크림엔 진짜 벌집이 들어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아이스크림 케이크…. 시간만 있다면 골라먹는 재미도 있다.올 봄, 채널A의 대표 먹거리(?) 프로그램 ‘먹거리X파일’은 우리나라에 또 한 번 파장을 일으켰다. 바로 ‘양봉업자는 절대로 안 먹는 벌집 아이스크림’에 대한 보도였다. 서서히 더워지기 시작한 초여름 날씨에 벌집 아이스크림이 ... ...
- PART1 - 영화 속 거미군단이 온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개발하고 있다.2006~2010년 유럽 과학자들이 공동참여한 ‘스워마노 이드’ 프로젝트가 대표적이다. 스웜과 휴머노이드의 결 합을 뜻하는 스워마노이드는 지상로봇들의 위치를 파 악하는 아이(eye)봇, 땅에서 물건을 나르는 풋(foot) 봇, 벽을 타고 오르거나 사물을 집는 핸드(hand)봇 등 3종류로 이뤄져 ... ...
- 양자컴퓨터 최강자는 누구?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사이언스’에서 제기됐다 (과학뉴스 참조). 반도체에는 여러 방식이 있다. 그 중 대표적인 방식은 반도체 안의 전자를 고립시켜 스핀을 이용하는 방식. 사진은 ‘사이언스’에 실린 예로, 흰 원이나 원화살표 부분에 전자 스핀 정보가 담긴다.‘내가 양자컴퓨터다’라고 말할 수 있는 자 ... ...
- ‘잘 늙고 잘 죽는’ 웰에이징 메카 꿈꾼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CPS는 첨단 정보통신 기술과 센싱 및 제어기술이 총망라된 대표적인 융합 기술이다. DGIST는 2012년 이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인 손상혁 버지니아대 교수를 펠로우로 초빙해 사이버물리시스템 글로벌센터를 설립했고, 한국연구재단으로부터 글로벌연구실로 승인받았다. 또 ... ...
- PART2 - 군집로봇 뇌 속엔 무엇이 들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길을 찾는 과정을 모사해 그래프에서 최적 경로를 찾는 개미집단 최적화 알고리듬이 대표적이다. 이외에도 반딧불의 발광 주기가 비슷해지는 과정을 본 딴 반딧불 알고리듬, 새떼나 물고기떼의 유기적인 움직임을 모사한 입자군집최적화 알고리듬 등이 있다. 간혹 이런 무리지능 알고리듬을 ... ...
이전2642652662672682692702712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