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한계
분야
테두리
경계
한도
범주
d라이브러리
"
범위
"(으)로 총 2,789건 검색되었습니다.
환락의 극치에서 폐허로 폼페이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보고있던 폼페이의 희생자도 어쩌면 그정도만이 아닐 가능성이 생겼다. 열구름이 광
범위
하게 퍼졌기 때문이다.기록에 의하면 친한 벗을 구하려 달려갔던 박물학자 푸리니우스(당시56세)도 폼페이시 남쪽 수㎞에 있는 스타비아 교외에서 아침 8시경 열구름에 휘말려 질식사했다.공개와 보존1709년 ... ...
인류는 어떻게 변할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인간은 다른 동물과 달리 자연선택의 압력을 피하는 문화적 방벽을 갖고 있다. 한정된
범위
에서는 인위적 진화가 가능한 것이다.예컨대 뇌의 크기는 출산시 골반의 크기에 의해 제한되는데 제왕절개의 광범한 보급에 의해 뇌가 멋대로 커질 가능성이 있다.노화연구에 의한 수명 연장도 큰 영향을 ... ...
과학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 학습자료의 다양화가 시급하다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장려되고 있으나 고입연합고사, 대입 학력고사 및 각종 학교교육의 평가 기준이 '교과서
범위
'를 벗어나지 못하고, 각종 평가시험에 실험 실습에 관한 평가문항이 도외시되고 있는 현행 평가방식은 교과서만을 가르치고 배우는 고질적인 과학교육의 현실을 만들어 왔다. 여기서 전과 지도서, ○○ ... ...
PartⅡ 아프리카에서 벌어지고 있는 백신개발 전쟁 "AIDS바이러스의 원형을 찾아라"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이 곳에서의 병의 전염은 비단 동성애에 의하지 않고 모든 계층의 주민에게 광
범위
하게 퍼지고 있다.최근의 공식통계에 의하면 자이레의 수도인 '킨샤사'의 보균율은 7%에 이르며, 아비잔의 창녀들의 경우 평균 보균율이 34%나 되고 프랑스군 주둔지 근처의 몇몇 기지촌에서는 최고 62%에 이른다. ... ...
약효 떨어뜨리거나 부작용 많아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이용할 수 있는 약들은 실로 다종다양하다. 따라서 이들 약들의 부작용이나 금기에 대한
범위
는 자연히 광범해질 수 밖에 없다.약 자체에 관한 부작용은 약을 사면 거기에 설명서가 있고 반드시 부작용과 복용상의 금기를 붉은 글씨로 인쇄해 잘 보이게 하고 있다. 그러나 식사나 복용하는 물에 대한 ... ...
20대 박사들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앞으로 3~4년이 고비일 것 같다. 다만 어떠한 상황이 닥치더라도 맡겨진 일을 능력이 닿는
범위
내에서 최선을 다해 이 사회에 꼭 필요한 사람이 되겠다는 각오뿐이다."90년대에는 이들이 밑거름이 되서 우리나라 과학기술계에 창작기술시대가 도래할 가능성이 충분하다 하겠다 ... ...
볼링 게임 관리 프로그램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3이면 3000번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문제2) ON-GOSUB 응용X를 INPUT명령으로 받아들여서 X의
범위
에 따라 다음의 Y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 보라.X=-1000이면 종료한다. SGN형식 : SGN(A) (A는 상수, 변수, 또는 식)설명 : ● A0이 ...
고분자 알로이섬유 개발 "빨리 공업화 되기를 기원"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이화석박사, 오태진박사와 윤한석실장이었다. 이 연구진이 고분자섬유에 대해 광
범위
하게 쌓아 놓은 연구 성과를 80년대에 들어와 손태원박사(KAIST 섬유고분자 연구실 선임연구원)등 새로 짜인 연구진이 어어받아 정리하여 마무리지었다. 이 성과가 고분자 알로이섬유개발로 나타난 것이다. 이 때 ... ...
초능력을 군사목적에 쓴다.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발표했다. 이것은 소련이 초능력을 어디까지나 생리학 및 물리학의 현상으로 보고 그
범위
에서 해명될 수 있다는 입장에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사실 1973년 10월 '퀘션 인 필로소피' 지에 '초심리학-픽션인가 진실인가'라는 논문이 소련의 지도적 심리학자 4명의 기고로 실렸다. 이 ... ...
종합진단 기로에 선 선택-개발이냐 보존이냐?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미 남극과 북극의 생물까지 오염됐을 정도로 그 영향은 광
범위
하며 먹이사슬을 통해 인간은 일상의 위협을 느끼고 있다. 합성 화학물질은 해로운 자외선으로부터 지구 생태계를 지켜주는 성층권의 오존층을 파괴하고 있다. 남극의 상공으로부터 시작된 이 파국의 ... ...
이전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