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질환별 표준 뇌지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과학자들은 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돌아가는 길’을 택했다. 이 박사는 “뇌
세포
사이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자기장이 발생하는데, 자기장은 신체에 의해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며 “뇌에서 발생한 자기장(뇌자도)을 측정해 거꾸로 전기신호를 알아내면 뇌 상태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 ...
공정시스템 연구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과도 연동해 업그레이드된 버전의 웹셀을 개발할 예정”이라며 “이는 유전자와 단백질,
세포
수준에서 모든 대사과정을 통합하는 프로그램으로 신약이나 대체에너지를 개발하는데 유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 ...
토네이도 대해부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이 인자는 실은 역위(逆位)이며, 그 존재가 재구성(再構成)을 감소시키고 또 설사
세포
학적인 재구성이 일어나도 유전학적인 재구성이 효율적으로 억제된다 수혈할 때 환자의 혈액과 혈액 제공자의 혈액이 적합한지의 여부를 조사하는 시험 수혈 전에 환자의 혈액과 혈액 제공자의 혈액을 채취하여 ... ...
PART1 퍼즐처럼 연결된 초분자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붙은 나노캡슐은 암
세포
에 침투하기 쉽고, 나노캡슐 안에 항암제를 넣으면 암
세포
만 선택적으로 죽이는 표적지향형 약물전달체로 사용할 수 있다.지난 15년간 화학자들은 자기조립의 원리에 한 발짝 다가섰다. 분자조각을 잘 설계하면 자발적으로 모여 다양한 크기와 모양을 지닌 나노캡슐을 ... ...
결핵 안전지대는 없다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없는 이유는 결핵균이 ‘미끼 분자’를 내보내 몸의 면역체계를 혼동시키거나 대식
세포
를 억제하는 등 면역체계를 피하는 수단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결핵 퇴치를 위해 “신약 개발보다 철저한 관리가 우선”이라고 입을 모은다. 결핵에 잘 듣는 항생제를 이미 개발했기 ... ...
유전자 상호작용으로 아토피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정확히 조절한다. 몸 안으로 병균이 들어오면 AP-1은 병균을 포위 공격할 수 있도록 대식
세포
의 움직임을 촉진한다. NF-kB는 항균 단백질인 ‘사이토카인’을 분비한다.그러다 병균이 모두 소멸하면 AP-1이 NF-kB에 기능을 멈추도록 신호를 보낸다. 두 유전자가 침투한 병균을 물리칠 때까지 ... ...
뉴질랜드에서 잡힌 대형 오징어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백혈구 생성조직이 무제한으로 증식하는 질환 소위 혈액의 암(癌)이며 골수에서 유약한
세포
가 계속 생성되어 건강한 사람의 경우 7,000 전후의 백혈구 수가 10여만에서 수십만에 달하게 된다 1850~1930 독일의 물리학자 실레지아의 그라이비츠에서 출생했고 베를린 대학 부속 천문대에 근무한 후 자기 ... ...
PART2 암 잡는 나노메디신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쓰인다.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붙여주면 신기하게도 우리 몸에 있는 핵산 분해 효소나 대식
세포
의 방해 작용을 피할 수 있다.자기조립을 이용한 나노메디신 기술은 앞으로 응용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 멀지 않은 미래에 각종 난치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나노 자기 조립체가 등장하길 기대해본다 ... ...
떠다니는 탄소를 거래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등은 주목하는 부분에 따라 어느 쪽으로든 분류될 수 있다개별적으로 흩어져 있는 림프
세포
망 조직 고립 림프 여포(濾胞)라고도 한다 주로 위 · 장 등 소화관이나 호흡기도의 점막고유층에 있고 다수의 림프구가 밀집해 있다그 내부를 이차소절(二次小節)이라 하며 유사분열(有絲分裂)을 볼 수 있고 ... ...
셀프사이언스 나노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나노 세계에 과학자들은 흥분했다. 당장이라도 나노 로봇이 혈관 속을 돌아다니며 암
세포
를 파괴하고 신(新) 과학세계의 왕좌를 차지할 것 같았다. 하지만 나노 세계는 그리 녹록지 않았다. 추궁하고 들어갈수록‘장밋빛 세상’대신‘불확실한 세상’을 보여주기 일쑤였다. 그래서 요즘 과학자들은 ... ...
이전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