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칙
법칙
규칙
초보
이론
학설
기준
d라이브러리
"
원리
"(으)로 총 5,201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 생각하기] 편안함을 주는 수학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침대는 과학입니다.”유명한 광고문구에는 잠자리의 편안함에도 측정과 계산의
원리
가 필요하다는 뜻이 담겨 있다. 이처럼 생활 곳곳에는 불편함을 줄이고 표준을 정하는 일에 수학이 숨어 있다. 우리에게 편안함을 주는 수학을 찾아보자. ...
몸이 느끼는 편안함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쉽다. 기차나 버스도 비슷한 진동수를 낸다. 아기를 재울 때 쓰는 흔들침대도 마찬가지
원리
다. 하지만 지하철에서 잔다고 해서 잘 잤다고는 할 수 없다. 좁은 실내에 많은 사람이 타고 있어서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기 때문이다. 지하철에서 하품이 많이 나는 것도 같은 이유다. 산소가 부족하고 ... ...
신체지수 속의 편안함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불편함을 없애고 편안함의 기준을 세우는 일에 수학이 앞장섰답니다. 오늘 배운
원리
를 가지고 주변 곳곳을 살펴보세요. 여기저기 숨겨진 수학의 수고를 안다면 수학이 고마울 거예요 ... ...
기하학의 새로운 탄생, 좌표평면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아버지다.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데카르트 철학의 근본
원리
가 유명하다. 데카르트의 수학적 업적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음수에 대한 개념을 구체화하고 음수를 좌표에 표현한 것이다. 그리고 오늘날 쓰고 있는 좌표평면을 만들어 냈다. 즉, 기하학에 대수학을 접목시킨 ... ...
Part 5. 종이접기의 재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알아야 한다. 작도로는 이 비율을 만들 수 없지만 종이접기를 이용하면 가능하다.
원리
x의 길이는 y의 길이의 ∛2배다. 따라서 한 변의 길이가 x와 y인 정육면체를 만들면 부피의 비가 2:1인 정육면체를 만들 수 있다.단순한 흥밋거리로만 생각했던 종이접기에 이런 능력이 숨어 있었다니! 옆자리 ... ...
타임머신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방법을 일점원근법이라고 합니다. 평행선이 모이는 점은 소실점이라고 부르고요. 수학
원리
가 담긴 원근법을 이용해 그린 그림은 평면을 벗어나지 않지만 우리 눈에는 입체로 보입니다.그러면 3차원 공간에서 4차원 물체를 보는 것도 가능할까요? 3차원의 세계에 살고 있는 우리가 4차원의 물체를 ... ...
한반도 상공 지킬 비밀 병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가운데 핵심으로는 위성레이저추적(SLR) 시스템을 꼽는다. SLR은 거울로 빛을 반사하는
원리
로 위성 위치와 거리를 알아내는 장치다. 지상에서 발사된 레이저는 위성에 달린 거울에 맞고 반사된 뒤 지상으로 돌아간다. 레이저의 속도는 일정하므로 위성까지 오고 간 시간을 재면 위성의 현재 위치를 ... ...
과학관이 살아 있다는 걸 보여주겠습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과학관이 살아 있다는 걸 많은 사람에게 보여주는 것이다. 이 관장은 “전시물에 과학적
원리
뿐 아니라 특허와 경제 정보도 함께 주면 좋겠다”며 “현재 분산돼 있는 연구사들을 모아 연구조직도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과학관을 찾아올 새로운 동기를 부여하고, 첨단기술의 발전을 따라가는 ... ...
살아 있는 입체 사진을 찍는다 파인픽스 리얼3D W1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우선 렌즈 2개가 눈에 띈다. 사람이 입체를 느끼는
원리
인 ‘양안시차’를 그대로 카메라
원리
에 적용했다. 사람은 두 눈을 가진 덕분에 자신의 앞에 있는 물체를 입체로 인식한다. 두 눈 사이에 간격이 있어 동일한 사물을 바라봐도 똑같은 형태로 인식하지 않는 것이다. 만에 하나 한 눈을 감고 다른 ... ...
[과학뉴스] “여름스포츠의 매력 속으로, 풍덩~!”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떠서 빠른 속도로 움직이기 때문에 위험해 보이기도 하지만 수상 스포츠에 숨은 과학적
원리
를 알고 나면 안심하고 탈 수 있어요.수상스키를 타고 물 위에 뜰 수 있는 것은 물의 부력과 표면장력 때문입니다. 땅에 서 있을 때는 지구가 잡아당기는 중력과 땅이 위로 밀어 올리는 수직항력이 같기 ... ...
이전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