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d라이브러리
"
유전
"(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 생명체 창조 임박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함유한 배지에 인공 세포를 넣었다. 인공세포 안에는 포도상구균의 통로단백질
유전
자가 들어있어 여기서 만들어진 통로단백질이 인공세포막에 박혀 영양분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통로역할을 했다.연구자들은 이 인공세포를 ‘소포 생반응기’(vesicle bioreactor)라 불렀는데, 소포 생반응기는 4일간 ... ...
휴대전화 전자파가 DNA 변형시킨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12개 연구팀이 4년에 걸쳐 실험한 결과 통화할 때 휴대전화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특정
유전
자의 활성을 변화시켜 세포분열을 왕성하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변화는 정상세포가 암세포가 될 때 일어나는 현상이다. 한편 전자파를 쐬는 시간이 길고 강도가 강할수록 손상도 심해지는 것으로 ... ...
100억배 더 밝은 4세대로 탈바꿈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이 단백질은 세포가 분열할 때
유전
자의 복제가 딱 한번만 일어나도록 조절한다. 만일
유전
자가 하나의 세포 안에서 세포 주기와 상관없이 2번, 3번 계속 복제되면 암 같은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제미닌 단백질이 이 같은 문제를 막아준다.포항방사광가속기는 거대한 빛공장대학이나 병원의 ... ...
그림을 훔친 범인은 누구인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0호
다모아스키는 범인이 자기 다섯 아들 중의 한 사람이라고 생각하고,경찰에 알리지 말며,
유전
자 검사나 지문 검사를 하지 말아달라고 요구했다.썰렁 홈즈는 과연 범인을 찾아낼 수 있을까? 다섯 명의 용의자 중에서 범인은 누구일까? 아니면 또 다른 범인이? 여러분들도 썰렁 홈즈와 함께범인을 ... ...
대형유인원 화석 및 진화 지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인체가 받는 장애 방사선을 받는 내장기관에 따라 현저하게 다르다인간의 개체 또는
유전
과 관련하여 가장 큰 장애를 받는 내장기관을 결정적 내장기관 또는 줄여서 결정장기라 하며 방사선을 받는 상황, 인체에서 그 기관의 중요성, 방사선에 대한 감수성에 따라 정해진다대부분의 경우 자유 ... ...
초파리서 식욕촉진
유전
자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담당하는 뇌의 신경세포들에 자극을 가한 결과”라고 말했다.유 박사는 “초파리의 sNPF
유전
자 발현 조절 연구는 비만 치료제를 개발하는 원천기술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
인간의
유전
자는 멀티 플레이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진화 역사를 정확히 알아낼 수도 있을 것이다.예상보다 훨씬 적은 것으로 판명된 인간
유전
자 수는 ‘양보다는 질’이라는 격언을 되새기게 하며 우리나라에서도 게놈 연구에 큰 발전이 있기를 기대해 본다.진핵생물DNA를 포함한 세포핵이 핵막에 둘러 쌓여 있는 생물. 원핵생물은 핵막이 없어 DNA가 ... ...
B형 남자는 바람둥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아메리카 인디언이 대부분 O형인 것은 특별한 진화적 압력 때문에 A형과 B형
유전
자가 소멸됐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그가 지목한 진화적 압력은 ‘성병’이다. 콜럼버스가 도착하기 이전에 북부 아메리카에서 발견된 뼈에서 같은 시대 유럽에는 없었던 성병의 흔적이 발견됐기 때문이다. ... ...
슈퍼맨은 정말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혹시 스파이더맨은 개미와 바퀴벌레에 한꺼번에 물린 것이 아닐까.이밖에도 이 책에는
유전
자 돌연변이로 초능력을 갖게 된 엑스맨, 감마선을 쬔 뒤 분노하면 괴물로 변하는 헐크, 보통 사람이지만 첨단 과학기술로 무장한 배트맨 등 다양한 슈퍼영웅 뒤에 있는 과학적 원리를 균형감 있게 진단한다 ... ...
X-43A의 비행원리 및 궤적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다른 병균이 침식하게 함으로써 치료하는 경우도 있다 미생물을 연구재료로 사용하는
유전
학의 한 분야 1941년에 미국의 G W 비들과 E L 태텀이 자낭균의 일종인 붉은곰팡이를 사용한 생화학적 돌연변이의 연구를 발표하고부터 급속히 발전했다미생물 재료로는 붉은곰팡이나 효모 등 균류 외에 ... ...
이전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