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관 10개보다 중요한 Science Bookstart 운동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충북 괴산의 조그만 시골에서 유년시절을 보낸 그는 어릴적 반딧불이를 벗삼아 밤
하늘
의 수많은 별을 바라보며 과학자의 꿈을 키웠다고 한다. 얼마전까지 아마추어 천문학회장을 지내는 등 과학에 많은 관심을 보였던 그는 실제로 자연과학분야의 공부를 했고(연세대 치과대 졸업) 전기분야 ... ...
왕초보도 찾는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1년에 황도 12궁의 별자리 하나에 머무른다. 최근 목성은 황소자리에 위치한다.아직 밤
하늘
에서 행성을 찾아본 경험이 없는 사람이라면 이번 달이 좋은 기회일 듯하다. 황도나 황도 12궁을 몰라도 되기 때문이다. 저녁 해진 후 30여분이 지나면 밝은 별부터 하나 둘 빛나기 시작한다. 이때 서쪽 지평선 ... ...
② 태양계 내 또다른 종족의 자취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계획이 진행될 것이다. 이와 함께 비행기나 기구와 같은 항공 탐사체도 화성의
하늘
을 날아다닌다. 화성의 흙은 빠르면 2011년경에 출발할 샘플회수선을 이용해 수중에 넣을 계획이다. 이뿐 아니라 땅속 수백m를 뚫어볼 수 있는 지저탐사선도 선보인다.심해 열수구 생물과 비슷한 생명체행성 이외의 ... ...
곤충처럼 날개 펄럭이는 초소형 항공기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최근 여러 연구를 통해 점차 실체를 드러내고 있다. 물론 아주 작은 비행기가 자유자재로
하늘
을 나는 꿈이 우리 눈앞에 현실로 이뤄지려면 조금 더 기다려야 한다.현재 길이 15cm 항공기 1시간 체공초소형 항공기는 길이, 날개폭, 높이 모두 15cm 이하인 항공기로 정의된다. 새 또는 곤충과 같이 날개를 ... ...
① 소재ㅣ수술 부위 말끔히 없애는 홍합 접착제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미술가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과학적인 측면에서 흥미로운 그림들을 많이 남겼다. 바로
하늘
을 나는 새를 관찰하고 설계한 비행기 도면이다. 다빈치의 설계 도면은 비행기와 헬리콥터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했다고 한다.우리나라의 이순신 장군은 거북을 모방해 만든 거북선을 사용해 한산도대첩을 ... ...
미르 남태평양서 15년 일생 마감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CNN방송 취재기자는 “불이 붙은 미르호 파편들이 긴 오렌지색 꼬리를 달고 피지 섬의
하늘
을 수놓았다”면서 “믿을 수 없을 정도로 환상적인 장면이 연출됐다”고 전했다.뉴질랜드 해양안전국에 따르면 미르가 추락할 당시 인근 해역에 참치잡이 어선들이 지나가고 있었으나 아무런 피해를 입지 ... ...
요일 이름에 담긴 음양오행과 점성술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화요일(Tuesday)은 티르의 날(Tir day) 또는 테브의 날(Tew day)입니다. 티르는 오딘의 아들로
하늘
의 수호신입니다. 그는 태양과 달을 삼키는 거대한 늑대와 싸우다 한팔을 잃게 됩니다. 그래서 외팔이로 그려지는 것이 보통입니다.수요일 뒤의 목요일(Thursday)은 토르의 날(Thor day)입니다. 로마의 목요일은 ... ...
봄밤
하늘
에서 만난 이도령과 성춘향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햇빛을 견디지 못하고 그대로 녹아서
하늘
에 붙어 버렸다고 한다.아메리카 원주민들은
하늘
로 올라간 삼남매가 별이 됐다고 생각했다. 천칭자리를 이루는 여섯개의 별 중, 눈에 띄게 밝은 오른쪽의 세별이 바로 이들 삼남매다. 그런데 아메리카 원주민의 삼남매 전설 가운데 거북이를 구워먹는다는 ... ...
달은 매일 어떻게 뜨고 지나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있다. 이 달이 지평선 위로 떠오르려면 13°× 4분 = 52분을 더 기다려야 한다. 왜냐하면
하늘
이 1시간에 15°를 회전하니까, 1°회전하려면 약 4분 걸리기 때문이다. 즉 달은 매일 평균 52분씩 더 늦게 뜨고 진다. 따라서 문제(2)의 정답은 A가 되겠다. 즉 달은 어제 밤 21시보다 약 52분 늦게 떠서 더 동쪽에 ... ...
대입 면접고사 가이드 2002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따라서 대기가 없다. 대기가 없다 보니①유성(별똥별)이 생기지 않고 ②낮에도
하늘
은 시커멓고 별이 보이며 ③별이 반짝거리는 현상이 없다. ④풍화∙침식이 없어 일단 생긴 운석 구덩이는 지워지지 않는다. 따라서 달 표면은 온통 운석구덩이로 덮여있다.관련단원공통과학 및 지구과학Ⅱ의 ... ...
이전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