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현재"(으)로 총 11,77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복원 털매머드 되살리기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유전자가 있으면 매머드를 다시 만날 수 있다?멸종한 동물의 유전자를 현재 살아 있는 동물의 유전자에 끼워 넣어 멸종한 동물을 되살리려는 연구가 늘고 있어요. 그 가운데서도 털매머드는 가장 먼저 복원될 가능성이 높은 동물로 꼽혀요.털매머드 화석이 가장 많이 발굴되는 시베리아에는 1년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스타인버그의 추측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엄상일 교수는 KAIST 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프린스턴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는 KAIST에서 강의와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프이론과 이산수학, 조합적 최적화가 주요 연구 분야입니다. 2012년에는 젊은과학자상(대통령상)을 수상했고, 2013년에는 한림선도과학자로 선정됐습니다 ... ...
- Part 1. 기후변화 회의론에 대한 회의론 8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저감 정책을 상당히 실현하는 경우(RCP 4.5)에도 온난화가 지속돼, 1세기 후반에는 기온이 현재보다 3℃ 상승할 것이기 때문이다. 온실가스를 줄이는 노력과 동시에 변화하는 기후에 대한 적응이 함께 이뤄져야 하는 이유다.대표적인 예가 기후변화의 최대 위협 요소인 이상 기후에 대비하는 것이다. ... ...
- [Future] 전자회로의 ‘미싱링크’ 멤리스터는 존재하는가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논문 “멤리스터-잃어버린 회로소자”에서 처음으로 등장한다(이 논문은 2017년 2월 현재 무려 3402회나 인용됐다). 전자회로의 수동소자 (증폭ㆍ전기에너지 변환 등 능동적 기능 없이 에너지를 소비, 축적, 통과시키는 소자)는 저항(R), 커패시터(C), 인덕터(L) 세 가지다. 추아 교수는 여기에 한 가지 더, ... ...
- [소프트웨어] SW교육에 공유를 심다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이날 도평초는 학급 사정으로 참여하지 못했다. 교실 밖에서 정규 수업의 한계를 넘다현재 SW 정규 수업은 5~6학년 학생만 들을 수 있다. SW교육이 포함된 실과 과목이 5~6학년에만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세 학교는 모든 학년이 참가할 수 있는 교실 밖 교육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한다.지보초는 ... ...
- [과학뉴스] ‘악마문 동굴人’ 유전체서 한국인 뿌리 찾아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우유를 소화하지 못하는 유전자 등이 확인됐다. 현대 동아시아인과 비슷하다.연구팀은 현재 이 동굴 근처에 사는 울지(Ulchi) 족을 제외하면 현대인 중에서 악마문 동굴인과 가장 유사한 유전자를 가진 것이 한국인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인과 이 동굴인은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도 일치했다.연구 ... ...
- [Issue] 반려앵무새, 사이테스 신고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개인의 최소한의 자격과 지식을 확인할 수 있는 공인시험제도 도입을 제안했다. 또 현재 사이테스 종의 사육·관리 기준으로 면적 외에 별다른 조건이 없는데, 온도와 습도, 행동풍부화 등 서식지에 맞는 조건을 제공할 수 있게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취재를 하면서 사이테스 관련 다양한 ... ...
- [Origin]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에 대해 들으면 생각이 조금은 달라질 겁니다. 일단 현재까지 로켓을 100회 넘게 발사했는데(오!) 성공률이 90%에 육박하고요.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전세계에서 가장 큰 실험모듈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미 2005년에 우주선 ‘하야부사’를 소행성으로 보내 ... ...
- Part 3, 기후변화 최대 피해지, 북극 스발바르는 지금과학동아 l2017년 03호
- 토양이 건조된 무게로 1t에 육박한다. 이것으로 여러 가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있다.현재까지 이뤄진 연구를 종합하면, 빙하 후퇴지역은 단순히 지나간 시간에 따라 생태계 변화가 일어나지는 않았다. 오래된 토양에서 식물이 더 다양하게 분포하고, 토양이 더 발달했을 것이라 예상했지만 그렇지 ... ...
- [Future] ‘마음의 창’을 열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반대로 각 신경세포에 전류를 흘려 자극하면 어떤 영상을 보게 할 수도 있다. 하지만 현재 시각 피질을 완전히 덮어서 개별 신경세포를 자극할 수 있는 장치를 만드는 것은 시기상조다.Retina시각피질보다는, 망막을 자극하는 게 좀 더 현실적이다. ‘인공망막’이다.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 ...
이전2642652662672682692702712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