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삽입
기입
추가
간행
발행
뉴스
"
게재
"(으)로 총 3,719건 검색되었습니다.
암 발생 유전자, 알고 보니 알츠하이머 치료제 후보
동아사이언스
l
2018.11.23
연구 결과는 분자세포생물학분야 세계적 권위지인 엠보 리포트(EMBO reports) 11월 1일자로
게재
됐다. 성균관대 연구진은 젊은 뇌에서 유전자 ‘Ttyh1’을 발현이 신경줄기세포 인근 지역에 더 많이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을 면역염색법을 통해 밝혀냈다. 성균관대 제공 ... ...
초음파로 지문인식하는 메타렌즈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3
허신 한국기계연구원 나노자연모사연구실 책임연구원(오른쪽)이 연구진과 함께 음향 메타렌즈 실험장치를 살펴보고 있다.-한국기계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초음파로 지문을 인 ...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10월 19일자 온라인판에
게재
됐다 ... ...
한국 연구팀, ‘자원 천국’ 그린란드서 납-아연 묻힌 5곳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3
때도 비슷한 방법을 이용한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리모트 센싱’ 최신호에
게재
됐다. 담당 연구를 주도한 극지연 아민 베이란반드 연수연구원은 “그린란드 북쪽 해안지역 일대는 유독 눈과 얼음이 덮여 있지 않은 곳이 많아 인공위성 조사로도 알 수 있는 정보가 많다”면서 “인공위성 ... ...
곰팡이로 오해받는 김치 표면막 정체는 '독성 없는 효모'
동아사이언스
l
2018.11.22
곰팡이로 오해 받은 김치 표면의 흰색막은 5종의 독성없는 효모로 이뤄진 골마지로 밝혀졌다.-세계김치연구소 제공 국내 연구진이 오래된 김치 표면에서 자주 발견돼 ...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10월 학술지 ‘저널오브마이크로바이올로지’ 온라인판에
게재
됐다. ... ...
근육 감소 치료제 개발 가능성 열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0
50대 후반부터 근육량 감소가 빠르게 진행된다. 픽사베이 제공 국내 연구진이 질병이나 노화로 생기는 근육 감소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냈다. 성균관대 약학과 조은정 ... 분자생물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뉴클레익 에시드 리서치’ 10월 18일자 온라인판
게재
됐다. ... ...
곤충 눈 구조 모방한 초박형 카메라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0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빛: 과학과 응용’ 10월 24일 자에
게재
됐다. KAIST 연구진이 개발한 초박형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얻은 영상(왼쪽)과 제노스 페키의 시각기관을 통해 얻은 영상(오른쪽). KAIST 제공. ... ...
슈퍼박테리아 잡는 신개념 항균물질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7
스웨덴의 비영리단체 ‘글로벌 챌린지스 파운데이션(GCF)’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항생제 내성은 향후 50년간 인류의 생존을 위협할 10가지 위험 중 하나로 꼽힌다. 항생제에 내성을 ... 참여했다. 연구성과는 의약분야 국제학술지 ‘의약화학저널’ 11월 15일자 논문으로
게재
됐다. ... ...
마약중독치료제 및 항암제 후보물질 합성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1.15
픽사베이 제공 국내 연구진이 ‘큰바람개비꽃’의 일종인 ‘타베르나몬타나’라는 식물군에서 발견되는 마약중독치료제 후보물질을 ... 말했다. 이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이자 셀의 자매지인 ‘켐’ 11월 15일 자에
게재
됐다. 포스트이보가 알칼로이드의 합성전략 모식도. KAIST 제공 ... ...
뇌파 생성 신경회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5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셀 리포트(Cell Reports)’ 11월 6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
됐다. 뇌파의 생성 및 변조를 담당하는 핵심 신경회로. KAIST 제공. ... ...
카멜레온처럼 색깔 변하는 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4
연구는 광학 및 재료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옵티컬 머티리얼스 온라인판 10월 21일
게재
됐다. 12월 3일 발간될 인쇄판엔 표지논문으로 실릴 예정이다. 카멜레온 피부의 색변화 원리를 모사한 ’전기 가변형 유연소재’의 원리. 서강대 제공. ... ...
이전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