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설
원리
주의
체계
설
원론
견해
뉴스
"
이론
"(으)로 총 2,934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주의 과학 신간] 노벨상 수상자가 들려주는 예술 이야기 外
2014.10.05
돌아갔다. 힉스는 ‘신의 입자’로도 불리며 물질에 질량을 준다고 알려졌다. 이미 1964년
이론
적으로 제시됐지만 2012년에야 그 존재가 확인됐다. 힉스를 확인한 실험이 진행된 곳이 바로 스위스 제네바에 위치한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다. 이곳에는 바벨탑보다 거대한, 지상 최대의 실험장치인 ... ...
과학♥만화 연애한지 10년째 되는 날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9.30
시작한 만화 ‘꿈꾸는 아인슈타인’이 좋은 예로, 글만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운 상대성
이론
을 만화로 쉽고 재미있게 풀어냈다. 이러한 우수성을 인정받아 ‘꿈꾸는 아인슈타인’ 단행본이 2005년 10월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인증한 우수과학도서로 선정되기도 했다. 일부 학부모들은 처음 ... ...
수영 못하는 도마뱀, 인간들 배 타고 바다 건넜다
2014.09.28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기존 생물지리학
이론
에는 없었던 내용”이라며, “인간의 개입이 지리적인 요소만큼 생물지리학의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또한 “미국에 의해 경제 봉쇄를 당한 카리브해 섬나라 쿠바가 자유롭게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 영화 속 뒤뚱거리는 우주인의 걸음걸이에 대한 고찰
2014.09.21
빠르게 걸을 수(어쩌면 지구와 큰 차이 없는 모습으로) 있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이론
값과 다른 우주비행사들의 걸음걸이 속도가 ‘팔과 다리의 회전 효과’ 때문일 거라고 설명했다. 움직이면서 팔다리를 앞뒤로 회전하는 동작이 가속도를 만든다는 것이다. 지구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중력 ... ...
김두철 서울대 명예교수 IBS 신임 원장 선임
2014.09.21
마치고 새 원장을 맞이하게 됐다. 김 원장은 22일부터 5년간 임기를 시작한다.
이론
물리학자인 김 신임 원장은 서울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존스홉킨스대에서 통계물리학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33년 동안 서울대 물리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고등과학원 원장 겸 계산과학부 교수 ... ...
냄비 속 만두는 왜 뱅뱅 돌까?
2014.09.14
만화라는 도구를 이용해 더 흥미로운 이 책 속에서 빅뱅우주론의 탄생 과정과 복잡한
이론
들을 쉽고 재미있게 따라가보자. 자연과사람 제공 ●팔색조의 육아 비밀 (박진석, 장성래 著, 자연과사람 刊) 초등학교 때부터 새를 관찰해 온 고등학생 조류 전문가 박진석 군과 생태사진 ... ...
뇌 100% 쓰면 영화처럼 초능력자 될까
2014.09.12
지도를 조금씩 알아내고 있는 수준”이라며 “여러 세대에 걸쳐 돌연변이를 일으킨다면
이론
적으로는 가능하지만 현재 기술로는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현재 생명과학계에서는 유전자 조작으로 일부 유전자의 기능을 강화시켜 후손에게 물려주는 연구가 활발하다. 가령 식물 종자에 방사선을 ... ...
과학의 향기, 예술의 향기를 만나다
2014.09.05
느낌이 들어 관람객들의 큰 인기를 얻었다. 영상은 정하웅 KAIST 물리학과 교수의 복잡계
이론
에서 영감을 얻어 작품화했다. 김희원 작가의 시간을 형상화한 ‘누군가의 시계’와 사진을 소재로 삼은 ‘누군가의 창문’도 눈길을 끌었다. 김 작가는 “표준연 광도센터 이동훈 연구원과 대화하면서 ... ...
헉! 초속 300m ‘초강력 슈퍼 울트라’ 토네이도
2014.09.05
교수는 “초속 300m 정도로 빠르게 움직이는 토네이도는 아직 관측된 적이 없지만
이론
적으로는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현재 기상학자들은 토네이도의 강도를 EF0등급에서 EF5등급까지 ‘후지타 스케일’로 분류한다. 가장 파괴력이 큰 EF5등급에 속하는 토네이도도 순간 최대 ... ...
해남 메뚜기들은 왜 떼를 이루었을까
2014.09.01
이웃 규칙(nearest neighbor rule)’이라고 부른다. 자기 추진 입자 모형이라는 물리학
이론
으로 메뚜기 떼의 형성을 설명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2006년 ‘사이언스’에 실렸다. 군대 행진처럼 열을 맞춰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집트땅메뚜기 떼의 모습. - Ralf Peveling/바젤대 제공 SPP 모형은 199 ... ...
이전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