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d라이브러리
"
볼
"(으)로 총 8,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익과 위험의 시소게임
수학동아
l
201006
그래야 많이 벌 확률이 생기잖아요.아빠 : 그렇지만 아까 이야기한 것처럼 손해를 크게
볼
수도 있을 텐데?우철 : 손해를 보면 아빠한테 또 달라고 하면 되죠! 어차피 아빠가 준 돈으로 하는 거 잖아요.아빠 : 뭐?우철 : 히히, 돈을 벌면 내 돈이 되고 손해를 보면 아빠한테 달라고 하고…. 신난다.아빠 : ... ...
생명정보학, 게놈 데이터 더미에서 보석 캔다
과학동아
l
201006
완성 이후(post)에 나타난 용어이므로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포스트게놈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당시 사람들은 포스트게놈이란 말을 주로 ‘유전자 정보의 산물인 mRNA나 단백질을 게놈처럼 총체적으로 연구한다’는 의미로 썼다. 따라서 한 사람 한 사람의 게놈 정보 전체를 알아내 활용하는 ... ...
한국 과학에 ‘일러스트 르네상스’ 올까
과학동아
l
201006
방식으로 정 교수가 지금까지 그린 500편이 넘는 해부학 만화는 웹사이트(anatomy.co.kr)에서
볼
수 있다.큰그림 보러가기우주 향해 솟아오르는 항공우주일러스트지난해 8월, 온 국민이 손에 땀을 쥐고 나로호가 발사되는 광경을 TV로 지켜봤다. 현실에서는 비록 페어링(위성 보호 덮개) 가운데 하나가 ... ...
나는 미래의 대한민국 우주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6
싶었거든요. 그래서 정말 열심히 러시아 어를 공부했어요. 그 결과, 배운 것들을 시험
볼
때는 통역관 없이 러시아 어로 대답할 수 있었어요. 짧은 시간 동안 러시아 어를 익힌 것을 보고 러시아 교관들이 칭찬해 줄 때 가장 보람 있었어요 ... ...
작전명령 ② 정확한 지도를 만들어라!
수학동아
l
201006
투영해 여러 사람이
볼
수 있게 만든 이 기계는 사영기하학의 원리를 나타낸 것이라고
볼
수 있어. 사영기하학은 입체 영상이나 사진, 그림 등에서 많이 쓰는데, 그 창시자가 전쟁 가운데 포로로 있을 때 연구한 것이라니 수학은 시기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발전하는 학문 같아.몰바이데도법 1805년 ... ...
다각형은 팔방미인
수학동아
l
201006
360°가 되므로 완전한 평면을 만들 수 있어, 일정한 패턴이 반복되는 문양에서 자주
볼
수 있다. 또한 안정된 구조를 만들 수 있어 건축물의 구조에도 많이 쓰인다 ... ...
세계 최고층 건물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5
청소부들을 나르는 곤돌라 크레인이다.짐 나르기의 달인, 크레인크레인은 놀이터에서
볼
수 있는 시소와 비슷한 원리로 움직인다. 한쪽에 친구가 올라가면 다른 쪽에 친구랑 같은 무게의 물건을 올려 놓아야 시소가 한쪽으로 주저앉지 않는다. 친구랑 물체의 무게가 평형을 이루기 때문이다.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05
정말 황현수라면 난 지금 꿈을 꾸고 있는 거야.’지오는 제
볼
을 꼬집어 보았다.“아얏!”
볼
이 얼얼한 걸로 봐서 꿈은 아니었다.“아저씨가 산사 황현수라는 증거를 보여 주세요. 진짜 황 산사님이라면 제가 했던 셈법을 모를 리가 없잖아요.”지오는 당돌한 표정으로 사내를 쏘아보았다.*산사(算士): ... ...
아미노산 수백 가지 읽는 인공 리보솜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05
것까지 확인했지만 바이러스는 독립적인 생명체가 아니라서 인공 생명체를 만들었다고
볼
수는 없다. 진정한 인공 생명체라면 스스로의 힘으로 생명을 유지하고 복제해 자손을 퍼뜨릴 수 있는 세포로 된 생명체야 한다. 따라서 인공 생명체는 가장 단순한 단세포인 박테리아 형태가 될 것이다. 인공 ... ...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05
인지가 뛰어난 센서나 프로그램을 만들고 싶어하는 전자공학이나 전산학 등이 그 사례라
볼
수 있다.커넥톰 연구에서 핵심이 되는 연결구조의 분석은 수학자 오일러로부터 시작된 그래프 이론을 통해 수학계에서 지속적으로 연구돼 왔다. 이 분야의 대표적인 연구자인 미국 인디애나대 심리학 및 ... ...
이전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