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쌍쌍
듀오
한 쌍
d라이브러리
"
둘
"(으)로 총 3,399건 검색되었습니다.
겨울을 녹이는 따뜻한 차 이야기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포함돼 있다는 사실은 1820년에 알게 됐다. 그리고 차의 카페인은 1827년에 분리됐다. 이
둘
은 화학적으로 같은 물질이다. 따라서 커피와 차의 카페인의 종류가 달라서 커피는 해롭고 차는 괜찮은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양의 차이 때문일까. 녹차 1잔(약 1백mL)에 20-30mg 정도로 함유돼 있다. 그리고 ... ...
Ⅲ 사람이 주인 되는 인터페이스 꿈꾼다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설레며 구입한 첫번째 컴퓨터라면 온갖 정성을 쏟아 부을 수 있다. 그러나 앞으로 우리를
둘
러쌀 수많은 컴퓨터들, 여러분의 생활에 침투할 수많은 컴퓨터들의 집사 노릇을 자처할 수는 없는 일이다. 벌써 자율 컴퓨팅(Autonomous Computing)의 연구는 그 결실을 보고 있다. 자가 치유와 같은 기능은 이미 ... ...
겨울밤 화려하게 뿌려진 보석 잔치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나타내는 두 별이 사이좋게 빛나고 있어 시린 겨울밤에도 정겨움을 느끼게 한다. 1등성
둘
이 머리를 만들고 오리온자리 쪽으로 나무젓가락처럼 생긴 몸이 뻗어 있다. 위쪽이 형인 카스토르이며 아래는 동생 폴룩스이다.머리를 나타내는 두 별을 자세히 보면 동생의 머리가 더 밝다는 걸 알 수 있다. ... ...
03 2005년 한국에 뜨는 별 K스타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끌어올릴 수 있다. 따라서 토카막형 핵융합로에서는 전자석이 없으면 플라스마를 가둬
둘
수 없기 때문에 반응이 정지된다.토카막에서 필요한 자기장의 세기를 얻기 위해서는 대형 전자석이 필요하다. 보통 막대한 전류를 흘려야 하는데 구리로 만든 상전도 전자석을 사용하면 구리의 전기저항으로 ... ...
Ⅰ 디지털 르네상스 주도할 쌍두마차 ① 원자세계 신출귀몰한 조화 양자컴퓨터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뛰어드는 이야기로, 실화에 바탕을 두고 있다. 실제로는 해병 셋이 뛰어들어 그 중
둘
은 잠수함과 함께 침몰하고, 하나가 간신히 그 문서를 들고 살아 나왔다고 한다. 요즘은 컴퓨터를 이용해 하나의 대표 열쇠숫자에서 복잡한 과정을 거쳐 난수를 생성한다. 이러한 암호체계를 비밀열쇠 방식이라고 ... ...
하늘 창문으로 바라본 늦가을 별자리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정취를 즐길 때 갑자기 괴물 티폰이 나타난다. 머리가 여럿 달린 이 괴물을 피하려고
둘
은 곧장 물고기로 변해 강물에 뛰어들었다고 한다.고래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은 알파(α)별이 아닌 베타(β)별로 2등급이다. 베타별을 찾은 다음 왼쪽 위에서 알파별을 찾아 그 주위의 별로 오각형을 그려보면 ... ...
자연과학에 뿌리 둔 관심법 심리학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다른 것으로 이뤄졌다고 믿고 있었다.그런데 정신과 육체가 본질적으로 다르다면 이
둘
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생기게 된다. 이것이 바로 데카르트를 필두로 많은 철학자들이 고민해온 정신과 육체의 문제(mind-body problem)다.쉽게 설명하자면 비가 내리는 날 외출하려는 사람이 비가 ... ...
Ⅱ 21세기 첫 노벨상 수상자들 : 물리학 - 제5의 물질 보즈-아인슈타인 응집상태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플랑크상수의 1/2 홀수배면 페르미온이다. 대부분의 원자들은 보존으로서 한 상태에
둘
이상의 입자가 있을 수 있으나, 전자나 양성자 같은 페르미온의 경우에는 한 상태에 오직 한 입자만 있을 수 있다. 이들은 이처럼 각각 고유한 통계적 특성을 띤다.물론 비교적 높은 온도(우리가 경험하는 ... ...
Ⅱ 21세기 첫 노벨상 수상자들 : 생리·의학 - 세포분열 조절 메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유전정보를 포함하는 염색체를 복제하고(S기) 성장한 후(G2기) 복제된 염색체와 세포질을
둘
로 분리해(M기) 두개의 세포로 나눠진다. 정상적인 세포의 성장과 분열은 이 단계가 순차적으로 조화롭게 이뤄져야만 가능하다.세포분열의 ‘엔진’과 ‘기어’지난 30년 간의 세포분열 메커니즘 연구는 주로 ... ...
하늘과 만나는 지혜의 경계면 지붕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달라진다. 이제는 더이상 힘에 끌려 다니지 않고 오히려 그 힘을 원하는 형태 안에 가두어
둘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제 인장력이 무서워 아치를 틀 필요가 없다. 수평으로 된 보나 슬라브 아래쪽에 철근을 심어놓으면 인장력을 해결해주는 것이다.따라서 평지붕과 이를 쌓아올린 고층건물은 철의 ... ...
이전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