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양
대양
해사
대해
해상
해운
함수호
d라이브러리
"
바다
"(으)로 총 3,719건 검색되었습니다.
갑각류가 곤충으로 진화된 단서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얻었다. 조사 결과, 이 단백질은 다리를 만드는 유전자의 작동을 멈추게 해 결국
바다
작은새우의 배부분에 생겨야 할 다리를 없앴다.맥기니스 교수는 “아주 옛날에는 갑각류의 다리 형성을 맡은 유전자가 훌륭하게 작동했지만, 곤충으로 진화되던 초기에는 이 유전자의 암호가 바뀌었을 ... ...
2. 영양만점 자연식 소화편안 조리식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다하고 죽으면 미생물들이 이를 분해해 다시 식물이 쓸 수 있는 양분으로 돌아간다.
바다
속 생물의 먹이 사슬도 육지의 생물과 유사한 체계를 갖고 있다.이와 같이 인간의 식품 체계는 지구에 존재하는 모든 생물의 분포와 관련돼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한 생물종의 생존은 그 생물종의 분포에 따라, ... ...
보이지 않는 빛 과학으로 찍는다 - 이만홍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갖도록 하고 싶었다.이를 위해 먼저 파란색 조명을 사용했다. 파란색 조명은 강물이나
바다
의 느낌을 주는 데다 금속과도 잘 어울려 맑으면서도 하이테크의 이미지를 낸다.제품 뒤에는 폴리에스테르 비닐을 놓았는데 빛을 비닐에 비추면 반짝거린다. 이때 일부러 초점을 흐리면 반짝거리는 부분이 ... ...
인간의 체온은 왜 37℃일까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생각된다.그러나 침몰 후 1시간 50분만에 카르파시아호가 구조를 위해 도착했을 때
바다
에 떠있는 사람은 모두 죽어있었다. 날씨도 맑았고 파도도 별로 없었으므로 이들은 파도에 휩쓸려서가 아니라 바로 저체온증으로 사망한 것이다.제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 독일의 다쇼 수용소에서 포로들을 ... ...
치열해진 승부 무너진 스포츠맨십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선수들을 이끌어가기 때문이다.최초의 올림픽 수영시합은 어땠을까. 배를 타고 나가
바다
한가운데서 선수들을 떨어뜨리고 일정 지점까지 누가 먼저 헤엄쳐오는가 하는 좀 우스꽝스러운 방법으로 치러졌다. 물론 정밀도를 요하는 기록 측정도 하지 않았다. 뭘 몰라서도 그랬겠지만, 그만큼 미세한 ... ...
3가지 빛깔의 과학자 이야기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과학자의 삶이 잔잔한 호수라면, 다른 사람들이 쓴 과학자의 전기는 파도가 몰아치는
바다
와 같다. 상대에 대한 특별한 애정이 글쓴이로 하여금 과학자들의 평범치 않은 사고와 행적에 주목하게 하고, 끊임없이 극적인 긴장에 열광하게 하기 때문이 아닐까.해당 과학자의 열렬한 팬이라고 할 수 있는 ... ...
3. 토네이도 추적하는 기상 레이더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집중된다. 더욱이 하천이 짧고 경사가 급한 곳이 많아서 대부분의 빗물은 하천을 따라
바다
로 흘러가버린다. 빗물을 저장하고 이용하기에 매우 불리한 여건이다.그래서 지금까지 물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다목적 댐을 건설했다. 그런데 댐을 계속해서 개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부족한 물을 보충하기 ... ...
두꺼운 베일 벗은 여신의 누드 금성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베네라의 관측을 통해 추정된 금성 표면의 나이는 달의
바다
보다 젊고 지구의 깊은
바다
보다는 오래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북극 근방에서는 호주 크기 만한 대륙에 에베레스트산보다 높게 솟은 맥스웰산(높이 1천5백25m)이 발견됐다. 표면에 펼쳐진 여인천하의 지형성공적인 베네라 탐사 이후 ... ...
1. 첨단 고무로 무장한 움직이는 댐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사실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이 중 빗물은 우리나라의 경우 여름에 집중돼 그대로
바다
로 흘러간다. 따라서 땅속으로 하천과 연결돼 있는 지하수가 평소 하천의 수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원천이다.그런데 농번기에 가뭄이 들면 많은 우물을 개발해 일시에 엄청난 양의 지하수를 뽑아 쓴다. 꼭 가뭄이 ... ...
빅뱅 신화에 도전하는 최신우주론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천공(天空) 아이테르와 낮 헤메라가 태어났다. 가이아는 별이 빛나는 하늘 우라노스와
바다
폰토스를 낳았고, 가이아와 우라노스 사이에서는 하늘과 땅을 채워줄 대자연의 존재들이 탄생했다. ”기원전 8세기 고대 그리스의 서사시인 헤시오도스가 쓴 ‘신통기’(神統記, Theogony)에 나오는 우주창조 ... ...
이전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