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
견본
실례
예제
일견
사례
바라보기
d라이브러리
"
보기
"(으)로 총 3,93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시모집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관성력의 부분집합으로 볼 수 있다. 관성력으로 설명되는 현상은, 탈 것 밖의 관찰자가
보기
엔 그냥 관성의 법칙으로 설명되는 현상이다.관련단원관성력 및 원심력에 대해서는 공통과학에서도 일부 설명되고 있지만 엄밀한 해석은 물리Ⅱ에서만 소개된다. 전향력(코리올리의 힘)은 지구과학Ⅱ에서 ... ...
진화의 일등공신 엄지손가락 제2의 뇌 손의 신비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존 베리와 마틴 리드베터는 “밤나무껍질이나 아프리카 얼룩말의 가죽에서도 우연이라
보기
엔 믿기 어려운, 지문과 흡사한 융기를 발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왼손은 부정적인 의미? 만일 당신이 해외 여행을 떠나려 한다면 손에 얽힌 몇가지 주의점을 체크할 필요가 있다. 말레이시아에서는 ... ...
사랑과 이별의 하늘강 은하수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보기
란 좀체 힘들다. 필자가 보았던 은하수도 몇번 안되는 것처럼 일반인도 은하수를
보기
는 매우 힘들 것이라고 생각한다. 해남의 땅끝에서 보았던 황금색 은하수, 강원도 양구에서 기초 군사훈련을 받으며 보았던 은하수, 미국 그랜드캐니언에서 보았던 은하수. 이렇게 손에 꼽을 정도다. 그래서 ... ...
왜 과학자들은 블랙홀에 빠질까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올릴 수 있는 선진국만이 블랙홀을 연구할 수 있다는 결론에 이른다. 블랙홀을‘
보기
’위해서는 엄청난 예산이 든다.1970년 미국은 소형 X선 우주망원경 우후루(Uhuru)를 발사한다. 그리하여 1999년 우주 궤도에 올려진 대형 X선 우주망원경 찬드라(Chandra)까지 이어지게 된 것이다.찬드라 X선 ... ...
날개 만든 천재 발명가 다이달로스 Ⅰ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있는 것으로 사람들이 상정한 것일까요. 닭이 먼저일까요, 달걀이 먼저일까요. 필자가
보기
에는 다이달로스가 먼저였을 것 같군요.어떤 신을 아무리 높이 떠받들고 싶어도, 아무리 드높여 섬기고 싶어도 그 신을 모시는 제삿상에 사람들은 자기가 가진 것 이상의 제물은 차릴 수가 없습니다. 하등 ... ...
고대 그리스·로마 회화 공작새와 연극 가면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시체들이 중첩되면서 훌륭한 원근법적 공간을 생산한다. 근대 미술에서도
보기
힘든 빼어난 솜씨다. 그렇지만 하나가 빠졌다. 아쉽게도 전체 공간과 등장인물의 관계가 모호하게 처리되고 말았다. 오디세우스의 궁정 내실을 암시할만한 건축 소재 같은 걸 조금 더 그려놓았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 ... ...
별은 매일 4분씩 일찍 뜬다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것이 아니라 1년에 한번씩 해를 공전하기도 한다. 따라서 지구의 공전에 따른 하늘의 겉
보기
운동이 나타난다. 지구는 1년 걸려서 해를 한바퀴(360°) 공전하므로 하루에 약 1°를 움직인다.따라서 전날 자정에 남중(천체가 남쪽하늘에 가장 높이 걸리는 현상)했던 별은 다음날 자정에 남중하지 않고 ... ...
대덕 바이오벤처 공동체의 촌장 인바이오넷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위치한 미생물 전문 기업이다. 41명의 직원에 지난해 36억원 매출을 올린, 겉으로
보기
엔 그렇게 눈에 띄는 규모가 아닌 회사다.그러나 인바이오넷은 지난해 모기업의 부도로 주인을 잃은 한효과학기술원을 1백80억원에 인수해 ‘대덕바이오커뮤니티’란 바이오벤처들의 요람을 열었다. 제노포커스, ... ...
재미 좇아 생명의 신비 밝히는 물리화학자 조민행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왓슨과 크릭이 오늘날의 명성을 얻었을지는 장담하기 어렵다. X선 회절 사진은 눈으로
보기
어려운 분자의 구조를 파악하는 제1세대 역할을 톡톡히 해냈으며 현재에도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그런데 X선 회절법을 사용하려면 시료를 크리스털로 만들어야 한다. 즉 일정한 격자구조를 가진 결정이 ... ...
13년만에 성큼 다가온 붉은 행성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년 이후 발생했던 여러 소접근 중에서 가장 화성이 작게 보였던 때는 1993년으로 시직경(겉
보기
지름)이 13.9″에 불과했다. 이 크기는 달 크기의 1백20분의 1에 불과하다. 올해는 시직경이 최대 20.8″에 이른다. 이 크기는 지난 1993년에 비하면 약 50%나 더 커진 것이다. 지금부터 2년 뒤에 맞이하는 대접근 ... ...
이전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