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칩 안의 약국, 몸 속에서 최초
성공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개발돼 왔다. 그러나 무선으로 작동시키고 인체에 직접 실험해 별다른 부작용없이
성공
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코크 암연구학회의 로버트 랭거 교수는 동물에게 이식하는 칩을 개발하는 회사인 마이크로칩스의 로버트 파라 박사팀의 도움을 받아 무선으로 작동하는 ... ...
테라헤르츠 빛 제어하는 편광기 개발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교수팀이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해 테라헤르츠 영역 빛을 제어할 수 있는 편광기 개발에
성공
했다. 연구진은 테라헤르츠 편광기가 특정 폭발물의 화학적 지문을 확인하는 보안 설정 등 보다 복잡하고 어려운 통신·센서·의료영상·화학물질 확인과 같은 작업을 할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연구진은 ... ...
짝짓기가 낳은 ‘아버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고릴라가 아버지를 알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서열이 높다고 해서 꼭 자손 번식에
성공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가장 낮은 서열의 수컷들은 오히려 중간급 수컷보다 암컷에게 접근하기가 쉬워 자손번식에 유리하거든요.결국 침팬지와 고릴라 식 가운데 어떤 짝짓기 방식도 수컷에게 “암컷이 ... ...
복잡한 입시, 자연계 논술로 극복!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500점 대 초반)한데 학생부 성적이 뛰어나 서울대에 합격하는 사례도 종종 있다. 입시에서
성공
을 하려면 미리 목표 대학을 정하고 그 대학의 전형 방법에 맞춰 강점을 잘 살리고, 약점을 보완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자연계 수험생에게 어떤 전략이 있을까? 전년도부터 올림피아드와 같은 자연계 주요 ... ...
유전자 적중과 배아줄기세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세포 주기를 더 이상 분열하지 않는 G0 단계에 멈추게 하고 역분화를 일으키면 핵 이식
성공
률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활성화된 난자는 마치 수정된 핵을 가진 수정란처럼 행동해 이후 발생 과정을 진행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복제 수정란 핵에는 환자의 체세포 핵과 같은 DNA가 있다. 다음으로 조직 ... ...
Part2. 인공 뇌 만들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브레인스케일스는 지난 1월 처음으로 완성된 웨이퍼에서 신경 신호를 관찰하는 데
성공
했다.뇌처럼 작동, 혹은 생각(?)하는 인공 뇌는 현대 사회에서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쓸 수 있다. 현재 쓰는 컴퓨터는 단순 계산에는 능하지만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하기에는 ... ...
Part2. 마법의 양탄자, 차세대 도시의 공통점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얇은 플라스틱 쿠션(폴리플루오린화비닐리덴과 에폭시)으로 마법의 양탄자를 만드는 데
성공
했다. 양탄자 안에 전류를 물결처럼 흘려보내면 공기파도가 앞에서 뒤로 흘러가면서 양탄자가 앞으로 나아간다. 아직까지 이 양탄자는 초당 1cm 정도 나아가는, 제자리에서 공중에 떠 고도를 유지하는 ... ...
우산 펼치고 지구 띄우는 물방울 조각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것이라고 예상했다. 첫 번째 시도는 세계지도가 붙어 있는 방 안에서 이뤄졌다.결과는 대
성공
! 물방울에 전 세계가 담긴 순간이었다. [➊ 순식간에 뽀뽀해줘~(Big Wet One Red)마틴이 유일하게 포토샵을 이용한 작품이다. 색이 없는 순수한 물을 떨어뜨렸는데 한쪽만 튀어 오르면서 입술모양이 나타났다. ... ...
태양과 ‘맞짱 뜬’ 혜성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Solar Dynamics Observatory)가 작년 7월 태양에 접근했던 혜성이 소멸하는 현장을 촬영하는 데
성공
했다. 혜성이 태양 표면을 가로지르고 있는 순간을 관측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관측 결과는 ‘사이언스’ 1월 20일자에 실렸다.우리가 살고 있는 태양계는 우주에 떠다니고 있는 먼지와 가스구름에서 ... ...
“게코도마뱀 발바닥에서 딱정벌레 날개를 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년) 다공성 물질 위에 신장세포를 키워 세포가 실제 신장의 환경처럼 인식하게 하는 데도
성공
했다(2010년).“조직공학의 역사가 100년이 넘었지만 이렇다 할 발전이 없었던 건 세포가 마이크로 크기의 기계라는 인식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서 교수는 자신처럼 전혀 다른 배경과 관점을 가진 ... ...
이전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