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더 빨리, 더 크게, 더 높이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A는 이론상으로 마하 15의 속력으로 날 수 있습니다. 실제 마하 9.68(11200km/h)을 기록하는 데
성공
했습니다. 길이 약 3.7m, 무게 약 1300kg인 작은 몸체 덕분이기도 하지만 빠른 속도는 스크램제트 엔진의 덕이 큽니다. 제트엔진은 압축한 공기에 연료를 섞어 연소시킵니다. 일반적으로는 압축날개를 ... ...
한국항공우주연구소 이상률 소장 인터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임무를 위해 10년 넘게 준비한 것이거든요. 이만큼 많은 노력을 들였지만 사람들이 보는
성공
과 실패는 아주 짧은 시간에 나뉩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결과를 중시하는 경향이 있잖습니까(웃음). 그런 것 때문에 힘들긴 하죠.Q. 학차창시절 항공우주산업(항공우주공학자)을 꿈꾸게 된 계기가 있나요 ... ...
Part2. 인공 뇌 만들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브레인스케일스는 지난 1월 처음으로 완성된 웨이퍼에서 신경 신호를 관찰하는 데
성공
했다.뇌처럼 작동, 혹은 생각(?)하는 인공 뇌는 현대 사회에서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쓸 수 있다. 현재 쓰는 컴퓨터는 단순 계산에는 능하지만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하기에는 ... ...
우산 펼치고 지구 띄우는 물방울 조각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것이라고 예상했다. 첫 번째 시도는 세계지도가 붙어 있는 방 안에서 이뤄졌다.결과는 대
성공
! 물방울에 전 세계가 담긴 순간이었다. [➊ 순식간에 뽀뽀해줘~(Big Wet One Red)마틴이 유일하게 포토샵을 이용한 작품이다. 색이 없는 순수한 물을 떨어뜨렸는데 한쪽만 튀어 오르면서 입술모양이 나타났다. ... ...
뽀로로가 이등신인 이유는?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부천대학 만화&2D영상그래픽전공 교수는 “시대의 트렌드를 잘 파악하는 것이 캐릭터의
성공
비결”이라며 “캐릭터를 개발할 때 철저한 시장조사가 필수”라고 설명했다 ... ...
성공
도 실패도 모두 노력의 흔적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자세만 있으면 반드시
성공
할 수 있다.
성공
의 시기가 늦게 올 수는 있어도 언젠가는
성공
할 것이다. 대환 군은 보성고 후배들을 위해 ‘보성고 솔루션’을 만들고 있단다. 자신의 노하우를 담아 후배들에게 도움을 주고 싶다고 말하는 대환 군의 모습에서 의젓함이 느껴졌다.하루에 한 과목씩 ... ...
유전자 적중과 배아줄기세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세포 주기를 더 이상 분열하지 않는 G0 단계에 멈추게 하고 역분화를 일으키면 핵 이식
성공
률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활성화된 난자는 마치 수정된 핵을 가진 수정란처럼 행동해 이후 발생 과정을 진행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복제 수정란 핵에는 환자의 체세포 핵과 같은 DNA가 있다. 다음으로 조직 ... ...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소홀했다. 그런데 성과는 별로 좋지 않았다. 지금까지도 튜링 테스트를 통과하는 데
성공
한 인공지능은 전혀 없다. 때때로 사람을 속여 넘기는 경우는 있었지만, 아무도 그게 제대로 된 인공지능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튜링 테스트도 완벽하지 않아튜링 테스트에 대한 반론도 나왔다. 1980년 미국 ... ...
Part2. 대한민국 1호 큐브샛 ‘시네마’ 올해 일낸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O/OREOS)’라는 큐브샛을 잇달아 쏘아 올려 우주에서 살아 있는 생물의 생존 가능성을
성공
적으로 테스트했다.한편 시네마 두 기가 실릴 드네프르로켓에는 과학기술위성3호와 세트렉아이가 제작한 두바이샛 2호도 함께 실려 한국산 인공위성만 4기가 실린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크기도 ... ...
Part2. 마법의 양탄자, 차세대 도시의 공통점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얇은 플라스틱 쿠션(폴리플루오린화비닐리덴과 에폭시)으로 마법의 양탄자를 만드는 데
성공
했다. 양탄자 안에 전류를 물결처럼 흘려보내면 공기파도가 앞에서 뒤로 흘러가면서 양탄자가 앞으로 나아간다. 아직까지 이 양탄자는 초당 1cm 정도 나아가는, 제자리에서 공중에 떠 고도를 유지하는 ... ...
이전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