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숫자
자수
넘버
번호
수단
방법
꾀
d라이브러리
"
수
"(으)로 총 31,07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소설가 ‘부캐’로 성공한 연구자 '곽재식 작가'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좋은 마음을 끌어낼
수
있는 것이 소설이 해낼
수
있는 귀한 가치라는 생각에서다.교
수
이자 SF소설가이자 방송인으로 몸이 3개인 현대 괴물(?)의 삶을 사는 곽재식 작가. 그는 다양한 도전을 즐겨 왔다. 2016년에는 ‘140자 소설’이라는 아주 짧은 단편소설집을 냈다. 트위터에 부계정을 만들어서 ... ...
[기획] 우리는 자폐를 모른다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영역에 공통된 변이가 있다는 것을 찾았다.이번 연구의 공동 제 1 저자인 김일빈 교
수
는 “지금까지는 유전체 서열을 전부 읽어내는 것이 오래 걸리고 비싸서 자폐와 관련된 비암호화 영역 연구가 별로 없었다”며 “유전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만큼 더 밝혀내야 할 게 많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 ...
[이달의 꼼지락] 투명한 액체가 순식간에 갈색이 되는 마법!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비타민C와 과산화
수
소의 전투(?)는 비타민C가 모두 반응할 때까지 계속됩니다. 과산화
수
소가 승리를 거두고 나면 용액에는 갈색을 띠게 하는 I2가 많아지면서 액체의 색이 갑자기 갈색으로 바뀝니다. 사람도, 화학반응도 ‘갑자기’ 이루어진 변화 뒤에는 지난한 과정이 숨겨져 있었던 거죠. 새학기를 ... ...
[사업가가 된 연구자 ] 음성 연구하던 박사 AI 성우로 창업하다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편집자 주. 과학 연구는 다양합니다. 우주와 자연의 근본을 밝히는 연구도 있고, 생각의 지평을 넓히는 연구도 있습니다. 모두 중요하고 의미있죠. 그런데 사람들 ... 기회는 반드시 오는 것 같습니다. 남모르게 꾸준히 개발한 저희 기술이 현재 대세인 유튜버들의 필
수
품이 된 것처럼요 ... ...
양성자 없는 기묘한 원자핵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새로운 발견이 기존의 과학적 이론과 다르다고 말하는 건 쉽지 않다. 과학적 이론을
수
정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증거가 튼튼하게 뒷받침되는 것이 꼭 필요하다. 따라서 지금껏 과학자들이 품은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여러 핵자 간의 힘을 고려한 이론적 모델과, 더 다양하고 정밀한 실험 결과가 ... ...
유전자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꿀 긴 비암호화 RNA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이번에 주목할 연구분야는 ‘긴 비암호화(long noncoding) RNA’입니다. 긴 비암호화 RNA는 단백질을 암호화하지는 않지만,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RNA입니다. 대부분의 ... 응용할
수
있다면 유전자치료제를 비롯해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
[공지] 5월은 어린이의 달!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9호
풀어 보며 서로의 생각을 확인하고 선물을 받아 가세요!30쪽을 펴면 능력고사를 풀
수
있다. 추가 이벤트내가 바로 레고 작가!5월 3일 온라인 클래스에서 레고 강의를 듣고 레고 대회에서 작품 아이디어를 뽐내 주세요! 5명을 뽑아 선물을 드려요 ... ...
[특집] 어린이가 더 행복한 사회를 위하여!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9호
땀 흘려 운동하고 싶다면 운동할
수
있는 세상이라면 어린이들이 행복하다고 말할
수
있지 않을까요? Q마지막으로 어과동 친구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저는 글이든 그림이든 음악이든 자신이 즐기고, 행복하다면 정말 좋다고 생각해요. 대신 하기 싫은 일을 억지로 하지는 말았으면 ... ...
[이달의 과학사] 1958년 5월 1일 지구를 둘러싼 밴앨런대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9호
1958년 1월 31일, 미국 국가항공자문위원회(NACA)는 미국 최초의 인공위성 ‘익스플로러 1호’를 발사했습니다. 익스플로러 1호에는 방사선을 측정하는 장비인 ‘가이거 계
수
기 ...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밴앨런대의 강한 방사선이 지구 궤도를 도는 인공위성을 고장 낼
수
있기 때문이지요. ... ...
[기획] 전 세계적으로 꿀벌이 사라지고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9호
“벌이 있기 때문에 우리가 살
수
있다는 걸 알아두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최용
수
실장은 “꿀벌이 국민의 생존과 미래를 책임지고 있다”며, “벌에 대한 이해와 편의를 제공하는 등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9) 4월 7일 ... ...
이전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