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동
양도
이주
이사
천거
이식
전출
d라이브러리
"
이전
"(으)로 총 3,756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최초 소행성 발견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올해 9월 하순에만 발견된 1백32번째 소행성이었다. 이미 올 해만 하더라도 이씨의 발견
이전
에 1천여개가 넘는 소행성이 새로 발견 보고됐다. 천문대의 박승 철 연구원에 따르면, 90년대 초까지만 해도 한해 약 5백여개의 소행성들이 발견돼 왔지만, 아마추 어천문가들에게 전하결합소자(CCD)가 ... ...
젓갈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음식문화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우리나라의 젓갈은 각별한 의미가 있다.농경시대
이전
부터 한반도를 중심으로 동북아에서 자리잡은 발효문화가 기원전 1천년경 한자가 개발되면서 중국문헌에 나타난다. 중국 최초의 시집인 시경(時經)이나 기원전 3-5세기에 쓰여진 중국어사전 이아(爾雅)에 이미 ... ...
18일 새벽 사자자리 별똥 축제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좋다. 지구상에서 관측자가 있는 지역이 지구공전 방향의 뒤쪽에 있게 되는 자정
이전
에는 지구의 공전 속도(초속 30km)보다 빠른 속도로 달려오는 유성체만이 지구로 떨어질 수 있다. 때문에 떨어지는 유성의 수가 적고 속도도 느려 최대 속도가 12km/초 정도밖에 안된다. 속도가 느리면 대기와의 ... ...
가장 약하지만 가장 위대한 힘, 만유인력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흥미롭게도 물체의 낙하 현상에 대한 설명은 오랜 옛날부터 있었다. 아리스토텔레스
이전
의 사람들은 물체가 낙하하는 것을 기준으로 단순히 상하만을 구분했다. 지구를 평평한 땅이라고만 생각하던 사람들에게 위에 있는 것이 아래로 떨어진다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인공위성의 원리뉴턴은 ... ...
비밀 보장되는 홈닥터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config.com 파일을 바꾸어 버린다. 역시 국산 바이러스인 에볼라는 감염된 파일이 오전 7시
이전
에 실행되면 화면 중간에 '에볼라바이러스'(EbolaVirus)라는 문자가 나타나면서 시스템이 다운된다.AT&T 제3회 가상교실 경연대회 - 대성여상 한국대표로 참가 AT&T가 개최하는 제3회 가상교실 경연대회에 대전의 ... ...
Ⅲ 생활속으로 파고드는 우주기술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창업인큐베이터를 설치해 운영해 왔다. 또 미국 내에는 6개의 지역별 기술
이전
센터가 운영되고 있다.캘리포니아주 마운틴에 위치한 에임스연구센터는 1939년부터 비행기술을 연구해왔는데, 최근에는 정보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 기술은 곧바로 이웃한 실리콘밸리로 흘러가고 있다. 물론 ... ...
천재과학자들의 엉뚱한 행동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수은중독으로 세상을 떠났다.보먼트 - 위 뚜껑 열고 소화작용 관찰내시경이 발명되기
이전
위가 음식을 어떻게 소화시키는지 알아내는 위해서는 직접 위 속을 들여다보는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살아있는 사람의 위를 꺼내 볼 수는 없는 노릇이다. 만일 건강에 위험하지 않을 정도로 배에 구멍을 ... ...
핵융합 장치 실현하는 맥가이버들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플라스마를 만들려면 우선 조그마한 '불씨'를 발생시키는 전자파가 필요하다. 그런데
이전
의 전자파 발생장치는 성능이 썩 신통치 않았다. 미국에서 새 부품을 구입하려면 적지 않은 돈이 든다.의외로 문제가 간단히 해결됐다. 전자레인지에 부착된 전자파 발생장치를 달면 어떻겠냐는 아이디어가 ... ...
Ⅳ NASA 웹사이트베스트7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역사적으로 가치가 있는 천문학 및 우주과학 사진(또는 그림)들이 공개되고 있다.
이전
의 사진을 보려면 ‘우주 발견’(Discover the cosmos!)이라고 쓰여진 글씨를 클릭하면 된다. 이 사이트에 소개된 사진이나 그림에는 관련 천문학자가 쓴 간략한 설명이 곁들여져 있다. 매일 아침 따끈한 차와 함께 ... ...
인조인간 로봇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로봇은 자기 자신을 보호해야만 한다. 단 제1법칙과 제2법칙에 거스를 경우는 예외다.
이전
까지 SF에나 등장하며 신비스런 차원에 머물렀던 로봇은 이 3원칙에 의해 비로소 나름대로의 자립성을 획득하게 됐다.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이제 SF뿐 아니라 공학적 고려의 대상이 돼, 기계설계자나 ... ...
이전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