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운반
전송
수송
정보전달
정보
정보전달매체
매체
d라이브러리
"
전달
"(으)로 총 4,277건 검색되었습니다.
공기, 당신의 능력을 보여주세요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정지하지 않고 빙글빙글 도는 현상을 관찰해도 알 수 있다. 즉 탁구공 속의 물에 힘이
전달
돼 물이 움직이고 이로 인해 탁구공이 움직이는 것이다.▶▶▶ 동전이 움직이는 이유는 뭘까?유리병은 냉장고에서 냉각됐기 때문에 온도가 낮다. 즉 유리병 속에 들어있는 공기의 온도도 낮다. 이때 병을 ... ...
효소가 좌우하는 노년의 운명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된다. 따라서 미소섬유관이 제멋대로 엉켜 신경세포 돌기가 제대로 뻗어나가지 못해 신경
전달
물질이 원활히 이동하지 못한다. 급기야는 세포가 죽음에 이르게 된다. 베타아밀로이드가 타우에 인산이 빨리 결합하도록 돕는다는 보고도 나온 바 있다.알츠하이머병을 가장 정확히 진단하는 방법으로는 ... ...
03. 과학을 입는다 스마트 의류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얼마나 작고 유연하게 만들 수 있는지가 관건이다. 또 옷과 사람, 옷과 외부 간 정보가
전달
되는 무선 네트워크가 형성돼야 한다는 점도 중요하다.■ 가격이 매우 비쌀 것 같다.CD나 MP3플레이어 같은 첨단 디지털 기능이 내장돼 있는 스키복 자켓의 경우 2백만원 정도로 예상된다. 하지만 비싼 만큼 ... ...
남녀까지 식별하는 위성사진술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지역이다. 화면을 확대하자 일단의 특공대가 반군 캠프를 습격하는 모습이 실시간으로
전달
된다. 심지어 신체가 발산하는 열선을 분석해 생사까지 구별해낸다.물론 이것은 실제 상황이 아니다. 영화 ‘패트리어트 게임’ (1992년작)에서 주인공 잭 라이언에게 닥친 가상 상황일 뿐이다. 하지만 최근 ... ...
나는 사랑의 몇단계에 와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모르겠다.사랑에 관여하는 화학물질은?도파민성적 욕구에 관여하는 가장 중요한 신경
전달
물질. 도파민을 분비하는 신경세포는 섹시한 분위기도 기억한다.세로토닌중뇌와 뇌간에서 분비. 만족감을 느끼게 하고 성욕을 증가시킨다.멜라닌세포자극호르몬뇌하수체에서 분비. 성에 대한 호기심을 ... ...
생각을
전달
하는 뉴로 헤드셋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국내 벤처기업이 손을 쓰지 않고 생각만으로 장난감이나 생활가전을 움직일 수 있는 새로운 제품 ‘뉴로 헤드셋’을 개발했다. 이 제품은 인간의 뇌파와 눈동자를 이용해 무선으로 원격에서 제품을 작동시킬 수 있게 해준다.림스테크널러지(주)는 5월 21일 뉴로 헤드셋을 공개했다. 이날 림스테크 ... ...
장기이식 어디까지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어느 단계를 차단하는가에 따라 크게 3종류가 있다. 첫째는 림프구 증식을 명령하는 신호
전달
물질의 작용을 방해하는 약물이다. 둘째는 림프구의 DNA나 RNA의 증폭을 억제해 림프구의 증식을 방해하는 약물이다. 끝으로 스테로이드계 면역억제제는 대식세포, 다핵구, 림프구 등을 모두 감소시켜 ... ...
01. 사랑은 뇌가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부분이 어딘지를 알아봤다.뇌의 여러 부분이 활성화됐지만 이 중 가장 중요한 곳은 신경
전달
물질인 도파민과 관련이 깊은 미상핵, 그리고 뇌간의 일부였다. 이 두 부분의 활성화는 지원자가 평소 사랑하는 사람을 생각하는 기간이 길면 길수록 그 정도가 심했다.즉 피셔 박사 연구팀에 따르면 ... ...
"인간을 중심에 둔 과학만이 인류의 미래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책으로 출간된 작품이다. 브로노우스키는 자신의 연구를 시각화해서 대중들에게
전달
하고 대화할 수 있는 매체인 TV를 즐겨 이용했는데, 특히 이 시리즈에는 자기 자신을 송두리째 바칠 각오를 할만큼 애정을 가졌다고 한다.오스트랄로피테쿠스의 두개골을 통해 인류의 기원을 추적하는 것에서 ... ...
내 부모는 예외일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추정하고 있다.과학자들은 1950년대 후반 파킨슨병 환자를 부검한 결과 뇌에서 신경
전달
물질인 도파민의 양이 매우 적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 후 1960년대에 뇌로 들어가 도파민으로 변형되는 약물인 레보도파를 투여해 이 병을 치료하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레보도파가 도파민으로 변형되는 과정이 ... ...
이전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