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대
증진
증식
확대
확장
증강
증설
d라이브러리
"
증가
"(으)로 총 4,168건 검색되었습니다.
젓갈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한다. 이런 발효를 젖산발효라고 한다. 젖산이 만들어지면 젖산을 분해하려는 유산균이
증가
한다. 이는 정장작용에 필요한 유산균을 먹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 ...
③ 잠을 흉내내는 기술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뇌파는 베타파를 중심으로 하는 보통의 각성상태와 같고 다만 각성시 보다 알파파가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이 알파파는 심신이 이완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 일 뿐 최면이 의식상태가 아니라는 증거는 되지 못한다. 수면시에는 느린 알파파가 집중적으로 나 타나는 상태로 각성시의 ... ...
유전자 조작 식품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작은 DNA가닥(플라스미드)에 붙이고 박테리아를 증식시키면 유전자의 양은 대폭
증가
한다. 이를 토마토에 주입해 기름녀 무르지 않는 토마토가 자라난다. 유럽의 합의회의 - 시민이 참여하는 과학기술정책합의회의(consensus conference)는 1980년대 후반 이후 유럽에서 새롭게 확산되고 있는 ... ...
② 잠 때문에 괴로운 사람들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잠이 빨리 들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 렘수면 을 억제하고 비렘수면의 깊은 수면상태를
증가
시키기도 한다.그러나 이런 현상은 수면의 초기, 즉 알코올이 몸에 남아있을 때의 얘기다. 만일 알코올이 체 내에서 분해돼 혈중농도가 떨어지면 반대 작용이 일어난다. 그 결과 깊은 수면 상태를 유지 하기 ... ...
양자전기역학 요동하는 진공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최초의 아이디어는 크레이머(Kramer)에 의해 제시됐다. 그는 전자기장에 의한 전자의 질량
증가
를 전자의 원래질량(bare mass)과 실험적으로 분리할 수 없다는 것을 지적했다. 따라서 두 질량의 합을 실험적으로 측정되는 전자의 질량으로 해석한다면 무한대의 문제는 사라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 ...
눈 오는 날 강아지는 왜 행복할까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고 한다. 지면에 10cm의 눈이 쌓였다고 하면, 눈을 한바퀴 굴릴 때마다 지름은 20cm씩
증가
한다. 5바퀴면 지름 1m의 눈덩이가 되고, 10바퀴만 굴리면 지름 2m의 거대한 눈덩이가 돼 말 그대로 눈덩이처럼 불어난다.양달 토끼와 응달 토끼"응달 토끼는 살아도 양달 토끼는 못산다"는 겨울철 속담이 있다. ... ...
영재교육 뿌리내릴 것인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과기대나 그외 대학으로 진학했다. 그러나 과학고 가 늘어나 과학고 졸업생이
증가
한 91년 이후 과기대로 진학하려는 학생이 많아져 학생들에 게 대학 입시는 거대한 압력으로 작용한다. 이런 상황이 누적되면서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 영재교육 프로그램인 과학고는 대학입시와 맞물린 비교내신제 ... ...
2. 호주머니 속의 발전소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탄생할 때부터 기대되는 차세대 유망주였다. 그러나 금속리튬은 충방전 횟수가
증가
함에 따라 효율이 떨어지고 안전성에 문제가 있어 리튬을 음극으로 한 2차전지는 쉽게 상용화되지 못했다. 그러다 1991년 일본의 소니사에 의해 탄소전극을 음극으로 하는 리튬이온전지가 상용화되면서 전세계를 ... ...
2. 과학분야 노벨상 궁금증 이모저모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비교할 때도 상금의 가치가 매년
증가
해 수상자들이 누리는 경제적인 혜택은 날로
증가
하고 있다. 부자, 부부, 형제 수상자들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아직 한명의 노벨상 수상자도 배출하지 못하고 있는 마당에 한 가족에서 두세명씩 노벨상을 받은 대단한 집안도 많았다. 먼저 부자 수상의 경우, ... ...
3. 빛보다 빨리 달리는 우주선 초광속비행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그의 이론에 따르면 물체의 속도를
증가
시키기 위해 물체에 힘을 가하면 물체의 질량도
증가
한다. 물체의 속도가 빨라질수록 물체가 점점 무거워져 어느 순간 더이상 가속시킬 수 없게 된다는 의미다.아인슈타인에 따르면 질량과 속도 사이의 관계는 m = ${m}_{0}$/(1-v²/c²)1/2로 주어진다. 이 식에서 ${m ... ...
이전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