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징
특질
특색
성격
개성
성질
속성
d라이브러리
"
특성
"(으)로 총 4,15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4 전자 하나로 작동되는 트랜지스터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하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못하다. 또한 크기에 따라 도체나 반도체가 되기 때문에 동일한
특성
을 지닌 탄소나노튜브를 대량으로 제조하는 일이 관건이다.실리콘 기술의 한계를 궁극적으로 극복할 바텀-업 방식의 소자들은 아직 초보단계에 머물러 있다. 대개 초보단계는 대학 중심으로 연구개발이 ... ...
디지털캠코더와 함께 나도 이제 영화감독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크기와 개수, 배율에 따라 줌렌즈의 배율이 정해진다. 렌즈 역시 제조사에 따라 독특한
특성
을 보인다. 보통 디지털캠코더에서 주의 깊게 봐야 할 것은 렌즈 제조사와 줌(zoom)기능이다. 줌기능은 멀리 떨어져 있는 사물을 가까이 있는 것처럼 당겨서 찍을 수 있는 기술이다. 동영상을 찍는 ... ...
1. 스스로 진화하는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일종의 자기 결정권을 가진 셈이다.최근 이처럼 컴퓨터 소프트웨어에서 생명체의
특성
을 모방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인간의 의지대로 움직이는 복잡한 명령어 체계의 집합일 뿐인 수동적 프로그램에 생명의 입김을 불어넣으려는 노력이 어떻게 진행중인지 알아보자.프로그래밍의 ... ...
주사기 없이 혈액을 검사한다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수 있다. 생체 조직은 빛을 받으면 형광을 내는데, 이 형광 스펙트럼으로부터 생체조직의
특성
을 살필 수도 있다. 시약 필요 없는 생화학 검사세계적으로 피를 뽑지 않는 혈액 분석기술을 연구하는 이유가 아프지 않고 편하게 측정하기 위한 것이 전부냐고 묻는다면 대답은 “아니오”다. 사실 ... ...
PART1 벤처 블루칩으로 등극한 나노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박사는 나노소재의 환경친화성을 강조했다. 나노소재가 적은 양으로도 기존 물질의
특성
을 나타내기 때문에 원재료가 적게 들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는 의미다. 예를 들어 나노소재로 자동차를 만들면, 자동차 무게가 줄어 연비가 높아지고 결국 에너지가 절약되고 공해가 줄어든다. ... ...
PART5 나노머신 찍어내는 프린터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이를 이용해서 나노구조물의 깊이를 1백nm까지 파는 기술이 실현됐다.또 재료의 표면
특성
을 측정하는데 쓰이는 SPM의 탐침을 다이아몬드와 같은 강도가 큰 물질로 만들어 나노가공에 응용하기도 한다. 아직까지 실험실 수준에 머물러 있는 3차원 나노가공 기술이 상용화될 때 비로소 나노산업이 ... ...
Ⅰ 키워드로 풀어본 월드컵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보면 가슴 속에서 꿈틀대는 느낌을 받기 때문이다. 사회심리학적으로는 군중심리의 한
특성
이다. 군중은 단순히 개개인을 산술적으로 합한 존재가 아니다. 마치 수소(H)와 산소(O)가 이 둘의 결합체인 물(${H}_{2}$O)과 다르다는 점과 비슷하다. 군중 속에 있는 사람은 자신 이상의 감정이나 행동을 ... ...
신의 영역에 도전하는 인공생명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up) 설계다.‘있을 수 있는 생명’에 대한 탐구상향식 설계와 이로부터 나타나는 창발적
특성
은 인공생명 연구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다. 생명체, 특히 인간의 지능을 닮으려는 기존의 인공지능 연구와 대비되는 부분이다. 퍼지이론이나 카오스이론으로 대표되는 인공지능 기술은 하향식 설계 방식을 ... ...
2. 많을수록 똑똑해지는 분산 로봇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행동이란 ‘전체가 부분의 합보다 크다’라는 말로도 표현되는데, 생명체가 가진 여러
특성
중 하나다. 로봇개체 간 또는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새로운 행동을 보인다는 말이다. 즉 단순한 행동을 하는 여러 개체가 주위의 환경과 상호작용함으로써 각 개체에 존재하지 않는 새롭고 복잡한 ... ...
무령왕이 일본산 나무관에 잠든 까닭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어디서 어떻게 한반도로 보냈는지를 밝혀줄 내용이 없다. 그러나 금송이란 나무의
특성
을 과학적으로 들춰보면 짐작은 가능하다. 무령왕릉에서 나온 널판자 11개를 일일이 조사한 결과, 베어낼 당시 나무 지름은 1백50cm, 나이는 3백년 이상이었다. 이 정도의 큰 나무가 자라는 곳은 ... ...
이전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