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스페셜
"
100
"(으)로 총 2,82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본능! 싸이팝연구소 [제4편]
동아사이언스
l
2013.12.18
해프닝과 화성 대운하에 얽힌 이야기, 그리고 더욱더 강력해진 과학본능으로 전구
100
개를 켜 놓은 듯한 엄청난 방정식을 등장시킨다. 3040 시청자들이여, 그 때 그 시절 추억 속으로 함께 떠나볼까요? ◆ 과학본능! 싸이팝연구소는 격주로 방영되는 콘텐츠입니다. 제5편은 6월 27일 ... ...
[채널A] 초소형 ‘박테리아 로봇’ 개발…암치료 새 길 열린다
채널A
l
2013.12.18
상하지 않고 암에만 타격이 된다는 것... 연구진은 살모넬라균의 유전자를 조작해 독성을
100
만분의 1까지 줄였습니다. 쥐 실험 결과 박테리오봇은 대장암과 유방암 세포를 정확히 찾아내 캡슐에 들어있던 항암제를 뿌리는 데 성공했습니다. [인터뷰: 민정준/전남대 의대 핵의학교실 교수] 30분 정도에 ... ...
그래비티, SF영화의 전설로 남나…
동아사이언스
l
2013.12.16
블록을 향해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20미터일 때 클루니는 더 이상 멀어지지 않는다.
100
×1 = 95×0 + 5×20) 영화는 중력을 받고 공기에 휩싸여 살아가는 우리가 미처 깨닫지 못했던 뉴튼의 두 법칙의 위력을 여실이 보여주고 있다. ●샌드라 블록, 오스카상 여우주연상 확실시 영화 제작 장면. ... ...
[웹툰] 오줌 분수
KOITA
l
2013.12.12
정신을 차리고 펌프를 껐습니다. 그리고 밀려오는 냄새분자의 후폭풍. 홍어 삭힌 냄새의
100
배쯤 되는 강렬한 냄새의 확산이 또 한 번 정신을 혼미하게 만들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 명의 공학도는 치명적 과오를 되뇌며 치약으로 1시간 넘게 화장실 바닥을 닦아야 했습니다. 그리고 얼마니(유명 ... ...
허블 우주 망원경에서 디지털 카메라까지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2.11
그것이었다. 이듬해에는 미국 코닥의 전기공학자 스티븐 새슨이 페어차일드의
100
×
100
CCD를 이용해 최초의 디지털 카메라를 발명했다. 아인슈타인 원리와 바이어 필터의 만남 디지털 카메라에 들어 있는 CCD는 카메라에 들어온 빛을 전기 신호로 바꾸어 디지털 이미지를 구현해 낸다. CCD의 핵심 ... ...
세계에서 가장 빠른 비운의 여객기, 콩코드
KISTI
l
2013.12.10
결국 폭발로 이어진 것이다. 기체 결함이나 조종사의 실수로 보기 어려운 우연이었지만
100
명에 달하는 고위층과 부자들이 한날한시에 유명을 달리함으로써 세계 언론의 관심이 쏠렸고 부정적인 시각이 급팽창했다. 그로부터 1년이 흐른 2001년 9월 11일 콩코드는 운항을 재개했으나 승객 수는 좀처럼 ... ...
노벨 과학상, 패러다임을 바꿔야 받는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2.06
만든 ‘참’은 이보다 훨씬 복잡한 분자의 반응도 예측할 수 있다. ‘가우시안’이
100
개 이하의 원자를 다뤘다면 ‘참’은 10만 개 이상의 원자 반응도 척척 계산해낸다. 전 세계 화학자와 생물학자 중에서 비커나 전자현미경을 만지지 않고도 컴퓨터만을 이용해 연구를 완성하는 비율도 많이 ... ...
[채널A]중국발 미세먼지 공습…3일 저녁 한반도 관통
채널A
l
2013.12.03
오후 2시 세제곱미터당 59마이크로그램으로 평소와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오후 6시
100
마이크로그램에 육박하며 나쁨 단계로 접어들었습니다. 중국에서 발생한 미세먼지가 서풍을 타고 우리나라로 흘러들어왔기 때문입니다. 내일은 미세먼지가 전국으로 확산됩니다. 내일 낮부터 서해안으로 유입된 ... ...
소행성 2008TC3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12.02
이때 에너지는 TNT 1~2킬로톤 규모로 이번 첼랴빈스키 폭발 에너지와 비교하면
100
분의 1도 채 안 된다. 아쉽게도 소행성이 떨어진 곳은 누비아사막으로 인적이 드문 곳이라 이 장면을 촬영한 사진이나 동영상은 거의 없다. 그럼에도 현지에서는 밝은 섬광을 봤다는 목격담이 이어졌다. ●행운은 ... ...
프레더릭 생어, 생명의 정보를 캐는 방법을 발견한 사람
동아사이언스
l
2013.11.25
생어 역시 단백질에서 핵산으로 관심을 돌렸다. 웬만한 단백질은 아미노산이
100
개가 넘기 때문에 인슐린에 쓴 방식대로 서열을 분석한다는 건 무척 어려운 일이었기 때문에 같은 정보를 담고 있는 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할 수 있다면 돌파구를 찾는 셈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DNA는 너무 덩치가 큰 ... ...
이전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