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도"(으)로 총 1,807건 검색되었습니다.
- 6000년 전 배달국의 천문대장을 만나다과학동아 l201201
- 현재는 작은곰자리 알파별이 북극성이지만 당시에는 용자리 알파별이 북극성이었다)의 고도를 재고, 전쟁이 벌어지기 전 달이 붉게 변하는 월식이 일어나 분위기를 잡는다. 또 배달국은 달이 뜨는 시각을 파악한 뒤 달이 뜨기 전의 어둠을 틈타 적을 공격해 침략국인 범악국과의 전쟁에서 승리한다 ... ...
- 비전을 솔직하게 쓰고 말하라과학동아 l201201
- 시작했다. 처음 접한 논제였지만, 여러번 모의 토론을 해 분위기에 익숙해서인지 고도의 집중력으로 주장과 그에 맞는 근거를 생각해 냈다. 스스로도 놀라웠다. 이후 30분 간 개인 면접을 할 때는 수학문제(필수)와 물리, 화학, 생물문제 중 하나를 풀었다. 보통 고등학교 수준을 훌쩍 뛰어넘는 수준의 ... ...
- 떴다! 스마트무인기어린이과학동아 l201124
- 하는데, 실용화된 건 미국 ‘V-22오스프리’가 처음이에요.스마트무인기는 비행기 속도와 고도에 맞춰 프로펠러를 자동으로 바꾸는 기술이 핵심이랍니다. 시속 250㎞보다 빠르면 ‘양력(떠오르는 힘)’이 충분해 프로펠러 방향을 앞으로 돌리지만 속도가 줄면 다시 위로 올려요 ... ...
- 산타수송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124
- 가장 효과적인 높이예요.잠깐! 조종사가 필요 없다?비행기에는 자동으로 예정된 경로와 고도로 날도록 조종하는 자동항법장치가 있어요. 자동항법장치를 이용하면 조종사들이 이륙과 착륙할 때 3분 정도를 빼곤 직접 조종할 일이 안 생겨요. 대신 컴퓨터에 필요한 자료를 입력해야 해요. ... ...
- 비상 ! 우주 쓰레기가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22
- 장비 또한 이에 포함된다. 우주 쓰레기는 주로 관측용으로 사용하는 저궤도 위성 높이인 고도 800~1000㎞에 많이 있다. 이 위치에 수명을 다한 위성이 많기 때문이다. 미국 항공우주국은 10㎝보다 큰 우주 쓰레기가 1만 6000개 이상일 것으로 추정한다. 지금은 비교적 적은 양이지만 2040년이 되면 12만 700 ... ...
- 하늘을 나는 카펫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120
- 하늘을 날게 만들었지요.사실 이 카펫은 하늘을 날아다닌다기보다는 공중에서 낮은 고도를 유지한 채 움직이는 일종의 호버크래프트에 더 가까워요. 연구팀은 지금 상태로 카펫에 사람을 한 명 태우려면 그 폭이 50m는 돼야 한다고 설명했어요. 또 현재 카펫의 비행 속도는 초당 1㎝에 불과하지만, ... ...
- 과학으로 야구 한판! 삼진왕 vs 홈런왕어린이과학동아 l201120
- 나의 첫 번째 비장의 무기가 될 거야. 바로 공기의 밀도와 대류 때문이지! 보통 해발 고도가 높은 지역은 공기의 밀도가 줄어들어. 그럼 타자가 친 야구공이 날아갈 때 저항을 덜 받게 돼서 더 멀리 날아가지. 게다가 뚜껑이 덮인 돔구장은 난방이나 조명 시설 때문에 안의 공기가 따뜻해진 아래쪽 ... ...
- 알쏭달쏭, 달의 뒷면이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1118
- 때문에 운석구덩이가 많답니다.또한 달의 뒷면에는 높은 산이 많아 앞면에 비해 평균 고도가 1.92㎞나 더 높아요. 반면에 앞면은 높은 산도 적고, 오래 전에 만들어진 운석구덩이들이 화산활동으로 메워져 비교적 평평하답니다.이렇게 달의 앞면과 뒷면이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요? 과학자들은 달이 ... ...
- 장마 뒤에 물폭탄? 날씨가 수상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16
- 떨어졌다. 그 원인은 기압 사이에서 발생한 하층 제트기류에 있다. 제트기류는 보통 고도 10㎞ 부근에서 1년 내내 부는 강한 편서풍을 말한다. 하지만 이번에 비를 내린 하층 제트기류는 높이 3㎞에서 부는 남서풍이다. 우리나라의 남동쪽에 위치한 북태평양 고기압과 남서쪽에 위치한 저기압 사이를 ... ...
- 구름 뚫고 반짝! 교실로 간 '어린이과학동아'어린이과학동아 l201112
- 날, 나침반과 해시계를 들고 나가서 진짜 시간이랑 똑같은지 꼭 확인해 보렴~!태양의 고도 측정 실험은 어렵지는 않지만 각도기와 자, 실 등 자잘한 도구가 많이 필요해 번거로워요. 어린이과학동아의 ‘딱플 키트’는 재미있는 만들기로 흥미도 끌고, 준비물도 줄일 수 있어 즐겁게 과학수업을 할 수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