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원
사원
멤버
구성원
부원
신전
단위
d라이브러리
"
단원
"(으)로 총 317건 검색되었습니다.
종이위에 펼쳐지는 가짜의 세계
과학동아
l
199705
내용을 한장의 사진에 담으려면 많은 사람과 거대한 장소가 필요했다. 그래서 유랑극단
단원
들과 무대장치를 각각 30장에 걸쳐 찍은 후 한장으로 만들었다. 각 장면을 담은 인화지를 그림맞추기 게임처럼 이어붙여 한장의 인화지로 만드는 방식이었다. 이를 완성하는게 걸린 시간은 6주.당대 많은 ... ...
1. 힘과 운동-그래프 해석 중요
과학동아
l
199604
)과 같다.공통과학은 과학적 개념체계를 다루는 것이 아닌, 소재중심의 탐구활동이다. 이
단원
에서는 힘이 운동을 유지시키는 것이 아니라 '운동 상태를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가장 기본적인 생각을 받아들여 자기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계속 중심에서 겉돌게 되고 어려움만 ... ...
미적분 누가 발견했나
과학동아
l
199604
고등학교 수학교과서에는 미분과 적분
단원
에 각각 뉴턴(1642∼1727)과 라이프니츠(1646∼1716)의 사진이 실려있다. 미분과 적분은서로 역(逆)연산의 관계에 있으므로 뉴턴과 라이프니츠가 미적분법의 공동발견자라고 생각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이때 '공동' 이란 말은 무슨 뜻일까.두사람은 서로 떨어져 ... ...
1. 공통과학 재미있게 공부하는 법
과학동아
l
199603
있겠지만, 이전의 교과서에서 좀처럼 보기 어려운 것들이다. 이외에도 환경만화 그리기,
단원
정리를 크로스퍼즐로 제시한 것 등은 환영할 만하다. 이렇게 학생들의 입장에 선 교과서로 배우다 보면 과학이 딱딱하다는 편견을 버리게 될 것이다.공통과학은 스스로 해보아야 알 수 있다. 지금까지 과학 ... ...
2. 산성비에 대한 탐구학습
과학동아
l
199603
지금까지 공통과학을 재미있게 배우기 위한 조건을 찾아봤다. 또 그 방법에 의해 산성비
단원
에 대한 탐구방법도 알아봤다. 이것을 보면서 지난날 배웠던 과학 교과서와 사뭇 다르다는 것을 느꼈을 것이다. 좀더 재미있고 좀더 적극적인 활동을 요구하는 것이 공통과학의 특징이다. 이제 남은 것은 ... ...
2. 공통과학 성공의 조건
과학동아
l
199602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우선 "교과서부터가 일부를 제외하곤 여전히 각 교과별로
단원
만 모아놓은 데 불과하다"는 게 현장교사들의 말이다. 또 다른 과목으로부터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지적들도 있다. 탐구학습을 하기 위해 많은 비용을 과학과목에 투자해야 하는데, 교육보조자료 하나 없이 ... ...
1. 공부방법 달라진 공통과학
과학동아
l
199602
가지고 신소재 우주과학 생명과학 등에 대해 토의하게 돼 있다. 그래서 공통과학은
단원
과 내용만을 이해하면 되는 교과서라기보다는 방향을 제시해주고 이에 따라 교사와 학생이 함께 연구하는 새로운 과학과목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이렇게만 된다면 그동안 과학교육의 문제점으로 지적돼 온 ... ...
3. 통합과학문제 이렇게 출제됐다
과학동아
l
199602
실제 생활과 시사적인 내용을 담고 있으므로 과학에 흥미를 붙이기에 좋은
단원
이다. 각
단원
을 배울 때 관련 자료를 찾아보고 실험에 충실한다면 공통과학은 매우 재미있는 과목이 될 것으로 본다.수업에 충실하면 부담 없는 과목이범홍(교육개발원 과학교육연구실, 이학박사)공통과학 교과서는 ... ...
"생물에 대한 관심이 곧 자연보호"
과학동아
l
199509
손용현 : 저는 이번에 채집한 나비를 학교에 가지고 가 표본을 전시하려고 합니다. 수업
단원
에 나오지 않아도 하루 한 종씩 나비를 소개하다보면 아이들도 관심을 가질 수 있지 않을까 싶군요.김영일 : 저 역시 교직에 몸담고 있다가 교육부로 왔습니다. 그러나 현장 학습의 중요성을 이 만큼 ... ...
기초과학 특강
과학동아
l
199412
해 5월부터 연재됐던 기초과학특강이 이 달을 끝으로 대
단원
의 막을 내린다.수험생들의 기초과학실력 양성과 일반인의 기초과학 이해 증진에 미력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하는 바람이 이 난을 이끌어오게 한 원동력이었다.이제 기초과학특강에 대한 평가는 독자들의 몫이다. 과학동아는 신년에도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