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착
달성
성취
d라이브러리
"
도달
"(으)로 총 1,630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종 병기 애니멀
과학동아
l
201207
또 신경이나 뇌를 자극하기 위한 칩을 몸속에 집어넣을 필요도 없다. 그러나 목표 지점에
도달
만 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구간에서 거북이를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유도하는 것이 생각보다 어렵다는 게 연구팀의 고충이다. 김대건 연구원은 “쥐나 고양이 등을 우리가 원하는 목표지점으로 가게 ... ...
나는 네가 지난 여름에 한 일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207
어차피 뭐에 홀린 상태였으니.아웃백에서 뱀 박사를 만나다옥신각신 하는 중에 주차장에
도달
했지만 모두 이미 떠나고 우리만 남겨졌다. 이미 만날 시간을 훌쩍 넘긴 버스가 우리를 버린 것이다. 도저히 이해가 안 간다. 우리가 조금 늦었기로서니 어찌 우리를 그런 아웃백(호주 내륙에서 사막 ... ...
Part 1. 6가지 가정으로 예측해 보는 ‘만약에 지구가’
과학동아
l
201207
수증기 등이 일부 파장을 흡수해 실제로 지상에서는 빨간색인 685nm 파장이 가장 많이
도달
한다. 현재 지구의 식물은 여기에 적응해 이 파장의 빛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엽록소(클로로필 a와 b)를 지니고 있다.만약 태양이 밝은 푸른 빛을 내는 별이고 생명이 태어날 수 있게 적당히 거리가 떨어져 ... ...
별별 수학 올림픽, 최고의 수학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207
아킬레스가 100m를 달리는 데 10초 걸린다고 하면, 아킬레스가 처음 거북이가 있던 곳까지
도달
하는 데 10초가 걸립니다. 그 사이 거북이는 10m 앞서 있습니다. 아킬레스가 그 10m를 따라가는 데 1초가 걸리고, 거북이는 1m를 또 전진해 있습니다. 아킬레스가 거북이를 따라가는 데 걸리는 시간을 모두 ... ...
사건 X-파일 사라진 수학자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1206
이 정보를 토대로 A, B와 휴대전화 X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그 밖에 전파의
도달
시간이나 무선 신호가 수신되는 각도 등을 통해서도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이렇게 두 기지국 A, B와 휴대전화 X 사이의 거리를 알았다면, 이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두 개 그릴 수 있다. 두 원의 교점 중의 ... ...
뇌신경 지도를 그린다!
과학동아
l
201206
회로도를 그릴 수 있게 됐다. 이 분야에서 우리나라 뇌공학자들은 이미 세계적인 수준에
도달
해 있다. 한양대 생체공학과 이종민 교수팀은 2011년 이 기술을 이용해 인지장애 환자들이 정상인과 비교해 뇌 영역 사이의 연결성에 큰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보고했다. [1986년 존 화이트 교수가 커넥톰 ... ...
Part 2. 은하 안방 차지하고 무수한 별 먹었다
과학동아
l
201206
유한하기 때문에 먼 곳에 있는 천체에서 오는 빛은 아주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 지구에
도달
하게 된다. 우리가 50억 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천체를 관측한다는 것은 실제로는 그 천체의 지금 모습을 보는 것이 아니라 50억 년 전의 모습을 본다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멀리 있는 천체를 본다는 것은 ... ...
괴물 탄도탄은 지그재그로 난다
과학동아
l
201206
불과하다. 고도가 매우 낮아 적의 레이더에 잘 걸리지 않는다. 일단 최고점(초기위치)에
도달
하면 기존 탄도탄과 달리 타원형 궤도를 그리지 않고 이리저리 방향을 바꾸며 지그재그로 날아든다.러시아 군 당국은 2004년 2월 18일 토폴-M의 시험비행에 성공했는데 푸틴 당시 대통령이 직접 나와 “요격은 ... ...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
과학동아
l
201205
지닌다. 해저 지진 등과 같은 이유로 넓은 지역에서 파도가 갑자기 만들어지면 연안에
도달
할 때 대단히 큰 높이를 형성하기도 한다.특히 쓰나미에서 주목해야 하는 것은 진행 속도다. 쓰나미는 수천 m나 되는 대양의 수심이라도 마치 얕은 수심처럼 느끼며 진행한다. 이론적 진행속도는(중력가속도 ... ...
반도체 행성 3D 대공사
과학동아
l
201205
기술자들은 나노 공정에 진입하며 그 한계를 뛰어넘었다. 22나노 공정이라는 막다른 길에
도달
하자 설계 구조의 패러다임을 바꿨다. 3D 트랜지스터 다음은 무엇일까. 어떤 구조가 등장할지, 아예 반도체 물질을 바꿀지 지금으로선 예상하기 어렵다. 분명한 것은 반도체 행성의 트랜지스터 집적도가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