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육
생식
증식
개량
산식
기르기
교육
d라이브러리
"
번식
"(으)로 총 1,012건 검색되었습니다.
중심체 없는 편형동물 발견
과학동아
l
201202
중심체를 제거하고 중심체 생성을 막는 유전자 조작 실험을 진행했다. 그러자 이 벌레의
번식
력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았고 심지어 원래 중심체가 없었던 것으로 밝혀졌다.연구를 이끈 월러스 마셜 캘리포니아대 박사는 “중심체가 없는 동물을 발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과학자들이 ... ...
Part2. 2085 화성일보 '화성을 만드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201
중 어떤 종류가 화성에 적합한지 실험 중이다. 그러나 미생물이 통제를 벗어나
번식
한다면 어떤 영향을 끼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신중하게 진행해야 한다.신인류를 위해이들 못지않게 바쁜 사람이 또 있다. 우리의 건강을 책임지는 의사와 생리학자들이다. 화성으로 출발할 때만 해도 화성에서 오래 ... ...
별걸 다 정해 주는 수학 행복도 지수로 푼다!
수학동아
l
201201
위험성을 경고하는 식중독지수장마철처럼 온도와 습도가 높을 때는 식중독균이
번식
하며 식중독이 잘 발생한다. 하지만 겨울이라도 실내 온도가 매우 높고 가습기 사용이 잦으면 식중독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식중독지수는 식품의약품안전청과 기상청이 공동으로 개발했다. 2004년부터 2006년까지 ... ...
겨울의 DMZ에서 독수리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1201
역시 멸종위기종인 귀한 새다. 중국 흑룡강과 러시아 아무르강 유역의 습초지에서
번식
하고 이곳에 와 겨울을 보낸다. 이름처럼 몸은 잿빛이지만 특이하게도 눈 주위는 선명한 빨간색이었다.“큰 두 마리는 부부고 가운데 작은 것은 새끼죠. 두루미는 저렇게 가족 단위로 산답니다.”서울에서 온 ... ...
모기도 장거리 여행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23
물이 흐르는 곳이 있어요. 온도가 높다 보니 겨울에도 이 곳에서 모기 애벌레가 자라서
번식
한답니다. 하지만 바깥은 기온이 낮아 모기가 이동할 곳이 적어요. 그러다 보니 겨울 모기들은 여름보다 더 굶주려요. 굶주린 모기는 피를 빨 대상을 찾아평소보다 훨씬 더 멀리 날아간대요.네덜란드의 ... ...
겨울나기 노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23
밝혔지. 가습기는 건조한 공기를 빨리 촉촉하게 만들어 주지만 고여 있는 물에 세균이
번식
해 건강에 해를 끼치기도 해. 그래서 가습기 살균제라는 화학물질을 사용하게 됐어. 그런데 이 가습기 살균제가 죽음의 원인이라니….가습기 살균제를 쓰지 않고, 매일 가습기의 물을 새로 갈아 넣으며, ... ...
끈적 끈적 찐득찐득 분비불 제거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22
하면 냄새가 안 나게 할 수 있답니다. 특히 운동을 한 뒤에는 두세 시간만 지나도 세균이
번식
해 냄새를 풍기기 때문에 빨리 샤워를 하는 게 좋아요.해결 셋 귀지? 그냥 내버려 두자!귀지를 파는 친구들이 많지요? 하지만 귀지는 파는 것보다 그냥 두는 것이 좋아요. 귀지가 쌓이는 귀의 외이도 표면은 ... ...
대전에 백두산호랑이가 나타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22
대전에 가면 백두산호랑이(아무르호랑이)를 볼 수 있어요. 중국에서 비행기를 타고 온 백두산호랑이 한 쌍이 대전 오월드에서 공개됐답니다. 두 호랑이는 ... 이미 지난해 5월에 세상을 떠났어요. 새끼를 낳는데 실패한 백두와 천지와 달리 금강과 금송이가
번식
에 꼭 성공하길 기대합니다 ... ...
1박 2일 백령도의 보물을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20
물범1982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점박이 물범은 겨울 동안 중국 랴오둥 만 얼음바다에서
번식
한 뒤, 이듬해 봄에 새끼를 데리고 백령도를 찾는단다. 1940년대만 해도 8,000마리 정도였던 점박이 물범은 이제 168마리(2009년기준)밖에 남지 않았다고 해. 점박이물범은 썰물 때면 바위가 드러나는 두무진의 ... ...
현장출동! 독도탐사대 강치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119
터널모양의 굴을 파
번식
을 하고 산다. 과거에 울릉도와 독도 주변에서 많은 수의 슴새가
번식
했지만, 점점 그 수가 줄어들고 있다.해국바닷가에서 자라며 해변국이라고도 한다. 잎의 양면에 하얀 털이 빽빽이 나 있다. 7~11월에 연보라색과 흰색의 꽃이 핀다.사철나무50~100년 전 바닷물을 통해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