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지
방해
중단
중절
단선
둥에서 잡기
가로채기
d라이브러리
"
차단
"(으)로 총 998건 검색되었습니다.
거울 속 우유 마시면 소화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12
약물의 작용 메커니즘을 보면 인체의 특정 단백질에 달라붙어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차단
해 약효를 낸다. 이 경우 약물 가운데 하나의 거울분자만이 약효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단백질 역시 거울분자이기 때문이다. 보통 화학합성 방법으로는 거울분자 쌍이 똑같은 양이 만들어지는데, 이처럼 두 ... ...
건물 외벽에 뚫린 3000개 구멍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12
기둥과 보에 전해지기 때문이다. 외벽은 이보다 외부로부터 공간을 막고 소음이나 열을
차단
하는 기능이 더 크다. 덕분에 커튼월에는 건물 자체 하중을 줄이기 위해 유리나 스테인리스강 같이 가벼운 재료를 사용하는 편이다.그런데 뜻밖에도 건물주와 임대인들 사이에 이주 시기 문제가 불거지면서 ... ...
사막이라도 괜찮아~! 낙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2
낙타의 속눈썹은 무척 길고 촘촘하며 두 겹으로 나 있어, 이중으로 모래먼지를
차단
할 수 있어요. 그래도 들어오는 먼지는 수시로 눈물을 흘려서 흘려내려 버립니다. 귀에도 기다란 털들이 촘촘히 나 있어 모래먼지를 막을 수 있답니다.자동으로 닫히는 콧구멍사막은 더위도 더위지만 강하게 부는 ... ...
바다를 달리는 하늘길 인천대교 열렸다
과학동아
l
200911
목포대교 설계팀 김동신 팀장은“상판 중앙에 케이블을 연결하면 케이블이 주변경관을
차단
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며 “하지만 일반적인 사장교보다 설계하기 어렵고 건설비용도 증가한다”고 말했다. 목포대교는 한 마리 학이 날개를 펼치고 날아오르는 모습을 닮았다.주탑 모양도 변하고 있다. ... ...
진도 울돌목에 국내 최초 조류발전소 떴다
과학동아
l
200911
하지만
차단
막도 완벽한 대안이 되지는 못했다. 박 연구원은 “조류의 흐름이
차단
막에 막혀 발전효율이 떨어지고, 난류가 생겨 생산되는 전기의 양이 불규칙한 2차적인 문제가 나타났다”고 말했다.취재가 끝날 때쯤 발전소에 근무하는 주병곤 선장의 배를 타고 발전소 주변을 둘러 볼 수 있는 ... ...
세계적 여자 육상선수 세메냐, 결국 남자?
과학동아
l
200911
근육 강화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지만, 남성 호르몬 수용체가 완전히
차단
된 경우라면 발달한 근육이 테스토스테론 덕분이라고 보기 힘들다. 또 성분화 이상 환자의 대부분은 호르몬에 의한 영향과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뼈가 원활하게 성장하지 못한다.때문에 환자의 대부분은 성인이 돼도 ... ...
파이프오르간에서 피아노까지 건반악기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11
이를 막기 위해 고음을 내는 부분은 현이 3줄이 된다. 피아노는 건반에서 손을 떼면 진동
차단
장치가 현으로 내려와 모든 소리가 멈춘다.반면 오르간은 건반이 연결대를 통해 바람공급대 안에 있는 음정밸브와 이어져 있다. 모터에서 만들어진 바람은 운송관을 통해 바람공급대로 들어가 저장되고, ... ...
몸속 나노로봇, 돌돌 말리는 디스플레이 가능하려면
과학동아
l
200911
만든 유기 메모리는 소재 특성상 한번 전하가 쌓이면 그 상태가 쉽게 변하지 않아 전원을
차단
해도 정보가 사라지지 않는다. 즉 비휘발성 메모리다. 유기 메모리는 가격이 저렴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저온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어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로 주목받고 있다.연구팀이 플렉시블 ... ...
마스크와 손 씻기 신종플루 예방효과는?
과학동아
l
200910
신종 플루뿐 아니라 다른 질병의 감염을 막는 효과까지 볼 수 있다. 마스크는 바이러스의
차단
및 확산 방지 효과가 크다. 비록 그 본연의 기능을 제대로 살리려면 하루에도 몇 개씩 새 마스크를 들고 다녀야 하는 수고를 감수해야 하지만 말이다. 결국 본인의 선택과 노력 여부에 달린 셈이다. 이 두 ... ...
영화 ‘내 사랑 내 곁에’ 루게릭병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10
수단으로 유전자를 이용하던 단계에서 나아가 변이 SOD1 유전자의 발현을 RNA 수준에서
차단
하는 방식으로 변하고 있다. 환자의 골수에 건강한 공여자의 조혈모세포를 이식하는 골수 이식법 외에 배아줄기세포, 제대혈 혹은 신경줄기세포가 주요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한 예로 중앙대 의대 김승업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