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이
간격
여가
틈새
거리
겨를
짬
d라이브러리
"
틈
"(으)로 총 79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모양의 비밀을 밝혀 줘~!
수학동아
l
201007
정사각형, 정육각형, 원의 넓이를 각각 구해보자. 테셀레이션도형을 이용해 어떤
틈
이나 겹침이 없이 평면 또는 공간을 완전히 메우는 미술의 한 장르다. 테셀레이션은‘4’를 뜻하는 그리스어‘테세레스’에서 유래한 단어로, 정사각형을 붙여 만드는 과정에서 생겨났다. 이를 우리말로 ... ...
시간이 지나면서 풍선의 변화는?
과학동아
l
201007
가라앉게 된다. 이에 비해 알루미늄 풍선은 금속박으로 만들어져 있는데 금속 사이의
틈
이 거의 없기 때문에 고무풍선에 비해 오랜 시간동안 공기 중에 떠 있을 수 있다. Q2. [유창성] 영화 ‘업(Up)’에는 노인이 헬륨을 넣은 풍선을 이용해 집을 띄워 올리는 장면이 나온다. 영화에서는 작은 풍선들을 ... ...
이상한 기계나라의 앨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7
압력에 눌리는 약한 막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표면이 손상되기 쉽고, 두 막 사이의
틈
때문에 화면이 선명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어요. 또 화면을 크게 만들기 힘들지요. 하지만 가격이 저렴해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답니다.정전용량 방식사람의 몸에 전기가 흐른다는 점을 이용한 기술이에요. ... ...
나무의 숨겨진 힘
과학동아
l
201007
준 물은 오히려 식물에게 해가 될 수 있다. 토양에 공급된 물은 토양의 공극(입자 사이의
틈
)을 막아버려서 뿌리의 호흡을 막는다. 뿌리에서의 호흡이 잘 이뤄지지 않으면 광합성에도 막대한 지장을 미친다. 따라서 정오 무렵 식물에게 준 물은 역효과를 준다. 또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식물에 떨어진 ... ...
‘4대강 살리기’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07
2005년 미국 뉴올리언스의 미시시피강은 허리케인이 다가오자 사람들이 미처 대피할
틈
도 주지 않고 넘치고 말았다. 모두 둑과 제방이 충분히 갖춰진 곳의 하류였다.허 교수는 이런 현상을 가리켜 “물은 억지로 막으면 다른 곳에서 터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물을 관리하기 위해 실시하는 하천 ... ...
움직임의 지혜
수학동아
l
201006
포물선을 그리며 움직인다. 물론 힘이 좋은 선수의 공은 속도가 빨라 중력의 영향을 받을
틈
도 없이 직선으로 포수 글러브에 꽂힌다. 하지만 공을 멀리 던져야 한다면 아무리 힘센 선수의 공이라도 포물선을 그린다. 이 때 공을 가장 멀리 보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근육의 힘을 키워 공의 속도를 ... ...
날갯짓 하는 로봇새
과학동아
l
201006
모두 갖췄다. 고정익 비행체인 정찰기는 일단 저속으로 비행하는 게 어렵고, 조그마한
틈
으로 들어가지 못한다. 회전익 비행체인 헬기도 저속 비행은 가능하지만 대신 소음이 심하다. 날갯짓을 하는 비행체는 형태가 큰 경우 비효율적이지만 작은 크기일 경우 저속 비행에 가장 효과적이다. 새와 ... ...
태평양을 넘어 하와이를 향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5
이런 현상은 갈라파고스 섬 주변에서도 발견됐는데, 화산활동을 하면서 생긴 땅의
틈
을 따라 메탄이 나온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메탄이 많이 나오는 것이 지구의 온도를 높이는 데 이산화탄소 보다 더 큰 역할을 하지 않았을까?1월 20일, 마침내 하와이 동쪽의 힐로 섬에 도착했다. 무려 33일 만이다. ... ...
종이컵에 컵슬리브 끼기까지 86년 걸려
과학동아
l
201003
둘러친 형태였다. 하지만 이런 울타리는 철사를 아무리 촘촘히 해놓아도 간혹 벌어진
틈
사이로 가축들이 쉽게 빠져 나가는 고질적 문제를 안고 있었다. 어느 날 글리든은 가축들이 가시가 있는 장미넝쿨 근처에는 얼씬도 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고, 철사를 새끼처럼 꼬아 군데군데에 철사 도막을 ... ...
웰컴투 초음속 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2
퍼지는 성질이 있지요. 그런데 만약 물체가 소리보다 빨리 움직이게 되면 파동들이 퍼질
틈
이 없어져서 모든 파장이 하나로 합쳐지게 돼요. 이렇게 합쳐진파동을 ‘충격파’라고 하는데, 소리 에너지가 압축돼 있어서 큰 소리가 나게 된답니다. 충격파가 발생하면 여러 가지 다른 현상도 일어나요.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