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견고
탄성
담금질 정도
교토
교또
경사
경각
d라이브러리
"
경도
"(으)로 총 307건 검색되었습니다.
조각가 김오성씨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돔을 만드는데만 3,4천만원의 비용이 든다고 한다. 여기에 핵심장비로 들어갈 1백78㎜ 망원
경도
집한채값. 조각을 하기 위해 벽제쪽에 집을 얻으러 갔는데 가지고 있는 돈을 다주면 집을 살 수 있었음에도 반(1천만원)을 뚝떼어 망원경을 사고 나머지로 전세를 얻었다는 것. 지금 이 집값은 열배 가까이 ... ...
1천9백여개의 망원경 탄생시킨 김한철씨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새로나 동인천지하상가 등 유명백화점에 지점까지 설치할 정도로 사업은 번창했다. 망원
경도
60mm 굴절식을 수입해 들여와 판매했다.그러나 욕심이 지나치면 화가 미치는 법. "자기 분수에 맞지 않는 과욕이 어떤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새삼 깨달았습니다. 예를 들어 아마추어천문가라야 몇명 ... ...
3 의식구조를 통해 본 강점 약점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기술은 앞서고 과학은 상대적으로 뒤처진 이면에는 그들의 근면 사상이 숨어 있다.지금 미국과 일본의 자동차업계는 세계시장 석권을 놓고 치열한 싸움을 벌이고 있다는 소식이다. 만일 이 한판승부에서 미국이 지면, '역사상 최대의 부와 힘이 일본으로 옮겨진다는 것을 뜻한다'는 외국 경영전문 ... ...
과학으로 풀어본 야구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0, 알루미늄은 65~75이므로 반발계수에 있어서는 금속방망이가 완승을 거두고 있는 셈이다.
경도
(硬度)에 있어서도 금속방망이가 훨씬 앞선다. 흔히 '심'이라고 부르는 방망이의 중심(이 부분에 공이 맞으면 손이 떨리지도 않고 가볍게 멀리 나간다)과 관련해 따져봐도 금속방망이가 유리하다. ... ...
별사진 가장 많이 찍은 이혁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위해 짬짬이 시간을 내 12.5인치 반사망원경 렌즈도 연마하고 있고, 사진촬영용 망원
경도
새로 구입할 예정이다. 일본에서는 아마추어들이 전국에서 동시에 표준쌍안경을 갖고 별관측을 시행해 그 결과에 따라 대기오염 정도를 측정한다는 소리를 들을 때 정말 부럽다는 생각이 들었다는 이혁기씨는 ... ...
중화(中華)적 세계관이 우르르 마테오 리치 충격파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또한 최초로 제작된 것이다. 타원형의 평면에 그려진 세계지도를 정확한 위도와
경도
의 선이 그어진 구(球)위에 완전히 옮겨 놓은 제도법은 매우 훌륭하다.1602년의 마테오 리치 세계지도는 페르비스트(Ferdinand Verbiest, 중국명 南懷仁)에 의해 개정돼 1674년에 목판으로 간행됐다. 그것은 타원형으로 ... ...
마야(Maya)문명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태양주위를 돌고 있다는 사실을 코페르니쿠스나 갈릴레이보다 먼저 발견했다. 위도와
경도
, 일식과 월식 현상도 알고 있었다. 또한 계절의 기간, 금성을 비롯한 모든 별들의 이동법칙을 소상히 파악하고 있었다.뿐만 아니라 콜룸부스의 신대륙발견 당시까지 유럽을 비롯한 세계 어느 지역에서 ... ...
비(非)과학 속의 과학─천하도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자료들이 기록돼 있다. 서울과 각도 감영의 위도와
경도
, 중국 각 지방의 위도와
경도
가 적혀 있다. 그것은 김정호의 '대동지지'(大東地誌)의 기록과 일치한다. 그리고 서문으로 미루어 중국의 지리책인 '직방외기'(職方外記)와 '곤여도설'(坤輿圖說)도 참고했을 것으로 추측된다.이처럼 여지전도는 그 ... ...
1402년의 세계지도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한반도의 지형과 해안선을 거의 정확하게 알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그 1402년의 지도는 함
경도
의 동북관을 제외하고는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의 팔도총도(八道總圖)보다 오히려 지형이 정확했다. 뿐만 아니라 더 많은 섬들이 그려져 있었다. 명(明)의 나홍선(羅洪先)이 1555년에 제작한 '광여도' ... ...
이태규 박사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국내 최초의 이학박사인 이태규박사(88·한국과학기술원 명예교수·화학)의 일대기가 제자들에 의해 출간돼 과학계에 신선한 충격을 던져주고 있다. '어느 과학자의 이야기'라는 제목이 붙은 이 전기는 이박사의 미수(米壽, 88세를 일컫는 말)를 기념해 국내에 있는 제자들이 전기편찬위원회를 구성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