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뼛골
뼛속
척수
치수
골
수
주요부
d라이브러리
"
골수
"(으)로 총 290건 검색되었습니다.
준비는 완료, 장기확보가 문제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늘어난다는 것이다.반면 비근친간일지라도 조직형이 거의 완벽하게 일치해야하는
골수
이식의 경우 2백50명중의 1명꼴로 같은 조직형의 사람을 찾을 수 있다는 통계가 나와있고 신장의 경우도 50명의 1명꼴은 비근친일지라도 이식이 가능할만큼 조직형이 유사하다는 것이 장기기증운동을 벌이고 ... ...
생명연장을 위한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다시 환자에게 이식하는 일종의 자가이식법이다. 그렇지 않으면 주로 환자 형제의
골수
조직을 이식하는데 최근에는 1년 생존율이 70%를 넘는 등 성과가 점차 나아지고 있다.나머지 다른 장기의 이식은 아직 실험 단계에 있는 실정이다. 소장의 경우 1950년대 후반부터 동물실험이 시도되었지만 아직도 ... ...
고려청자 비색의 비밀을 밝힌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실어갔다.일제시대 일인들이 청자를 강탈해간 에피소드 한토막. 어떤 조선사람이
골수
염을 치료하려고 옛무덤을 팠는데 그 속에서 청자가 수십점 쏟아져 나왔다. 색깔이 곱고 모양이 예뻐 집에 가져와 썼는데 이웃사람이 보고 "읍내에 청자만 모으는 일인이 있다"고 귀띔했다. 양식이라도 얻을 ... ...
환자 5%가 병원서 새 병 옮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않되게 되었다. 그 대가란 한마디로 말해 저항력의 약화다. 예를 들면 신장이식이나
골수
이식수술처럼 다른 사람의 조직이나 장기를 이식할 경우, 부수적으로 반드시 따라오게 마련인 거부반응(拒否反應)을 막기 위해서 우리 몸의 저항력을 떨어뜨리는 약제를 복용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이식의 ... ...
시라노 드 베르주락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자신들을 날려보낸 것이었다.로켓이 추진력을 잃게 되었을 때 소설의 주인공은 뼈의
골수
로 온몸을 문질러 남은 여행을 계속할 수 있었다. 시라노씨가 여행시간 전체를 로켓에 맡기지 않았다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점이지만 모든 것이 만족스러울 수 만은 없는 것이다.따지고보면 시라노씨 편에서 ... ...
남북의사들, 원폭피해자 구제에 함께 나섰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동물실험에서 방사능에 의한 관절염피해가 나타날 정도면 그보다 약한 조직인
골수
간등이 거의 파괴돼 생명을 유지할 수 없다. 따라서 피폭자들이 이런 질병에 시달리는 것은 방사능의 영향을 전혀 부정할 수는 없지만 피폭자에 대한 무관심과 대책부재가 낳은 '사회적 피해'라고도 해석 할 수 ... ...
하이에나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이빨은 대단히 강력하다. 사자나 호랑이도 씹지 못하는 동물의 뼈를 깨뜨려 그속의
골수
를 먹기도 한다. 호랑이보다 강한 이빨줄무늬 하이에나와 갈색 하이에나는 얼룩 하이에나보다 덩치가 작다. 줄무늬 하이에나는 인도 서부아시아 아라비아 지역 그리고 북부 아프리카와 나이지리아에 걸친 넓은 ... ...
4. 화학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수분동안만 노출돼도 피부에 커다란 수포(물집)가 형성되고 생체조직이 부식되며
골수
에까지도 해를 입힌다. 기체상태의 한 수포제는 눈만을 집중적으로 공격, 눈의 염증과 실명(失明)을 초래하기도 한다.수포제는 겨자작용제 질소겨자작용제 비소계작용제로 분류되는데 그중 겨자작용제(겨자가스, ... ...
1. 컴퓨터음악의 역사-전위음악에서 대중화로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고전주의 형식의 확대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심지어 바그너와 같은
골수
낭만주의자마저도 "무의식적으로 작곡된 예술작품은 한물간 구시대 문화유물에 불과하다"고 호언할 정도였다. 이러한 관점은 음악을 보다 논리적 구조에 의한 집합체로 만들어갔다.금세기에 들어와 이러한 조짐은 ... ...
암과 AIDS를 번쩍 들어 올릴 수도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기간세포의 수가 어느정도 확보되어야 하는데 실질적으로 수의 확보에도 문제가 있었다.
골수
기간세포의 사용이 벽에 부딪친 후 미국립보건원의 F. 앤더슨박사는 기간세포를 사용할 수 없더라도 이입된 유전자에 의해 생성된 단백질이 혈액내로만 나올 수 있으면 치료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