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른사람"(으)로 총 12,273건 검색되었습니다.
- 네 친구의 꿈, 12월 창공을 가르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9월 9일 크라우드 펀딩 사이트 ‘텀블벅’에 재미있는 펀딩이 하나 올라왔습니다. 제목은 ‘상공 30km 목표 아마추어 고체 추진 관측 로켓 개발’. 아마추어 로켓 개발을 위한 자금을 모으는 펀딩이었죠. 이 펀딩을 기획한 단체 ‘Overpace(오버페이스)’는 자신들을 “우주와 로켓을 사랑하는 고등학생 ... ...
- [2039:화성에서 일 년 살기] 영화처럼 화성에서 감자를 키우기란 쉽지 않지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우리는 답을 찾을 것이다. 늘 그랬듯이.” 2014년 개봉한 영화 ‘인터스텔라’의 명대사다. 화성에 설치된 정조 과학기지에서 지구로 귀환할 날이 두어 달 가량 남았을 때부터 나는 초조해지기 시작했다. 그럴 때면 이 문장을 떠올렸다. 나도 답을 찾을 것이다. 늘 그랬듯이. 내가 초조해진 이유 ... ...
- 48명이 35만 번 동전 던져 D-H-M 모형 실험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디아코니스 교수의 연구결과가 발표된 이후 지금껏 이 예측이 옳다는 것을 보이기 위한 여러 통계적인 실험이 있었다. 하지만 규모 면에서 부족했다. 디아코니스 교수는 D-H-M 모형을 실험으로 입증하려면 약 25만 번 이상 동전 던지기를 수행해야 한다고 추정했기 때문이다. 그러다 최근 네덜란드 암 ... ...
- [최신 이슈] 그 털이 곱슬거리는 이유과학동아 l2023년 12호
- 2023년 6월 15일 피부과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익스페리멘털 더머탈러지’ 표지엔 알록달록 지점토를 겹겹이 쌓은 듯한 이미지가 실렸다. 이미지의 정체는 털의 외부 덮개인 ‘큐티클’. 실제 촬영한 큐티클 이미지에 디자인 툴로 한 층씩 색을 입힌 것이었다. 그것이 과연 어떤 부위의 큐티클인지 ... ...
- [커리어]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한국과학영재학교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자율적인 맞춤형 교육과정학생들이 미래의 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각자에게 맞는 다양한 교과를 진행KAIST와의 긴밀한 협력교육과정 개편부터 교육 프로그램 운영까지 KAIST 교수들이 적극 참여밀도 있는 연구 프로그램국내외 교육 기관과 협력해 학생들에게 다양하고 지속적인 공동연구의 기회 ... ...
- 물리학자가 되기까지 위튼 교수가 걸어온 길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위튼 교수는 이론물리학에서 세계적으로 이름을 떨쳤지만, 그가 본격적으로 물리학을 공부하기로 마음을 굳힌 건 22세였습니다. 그는 2023년 함부르크 이론물리학상 수상 인터뷰에서 ‘내 인생은 이리저리 움직였고, 무엇을 하고 싶은지 확신하지 못했다’며, ‘많은 사람이 이런 방황이 내 인생에 ... ...
- [Reth?nking] 제 11화. 증명은 왜 중요한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오랜 세월 동안 수많은 수학자가 증명을 통해 수학을 발전시켜왔다. 증명은 새로운 이론을 개발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 도구기 때문이다. 수학을 이해하기 위해 증명에 관한 논의가 꼭 필요한 이유다. 오늘은 증명의 쓰임과 역사를 통해 그 역할과 중요성을 알아보려고 한다. 첫 번째 질문 | ... ...
- [과학사 극장] 지석영이 조선에 우두법을 처음 소개했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의혹1. 우두법 전에도 천연두 예방법이 있었다?천연두는 천연두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하는 전염병이다. 1980년 세계보건기구(WHO)가 천연두 근절을 선언하기 전까지, 천연두는 치사율 약 30%에 전염성도 매우 높은 위험한 병이었다. 특히 회복된 이후에도 65~85%의 사람들이 피부가 수포로 덮이는 후 ... ...
- 불임 모기로 퇴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모기는 어떤 동물보다 사람을 많이 해치기로 유명해. 지난해에는 전 세계에서 100만 명의 사람이 모기가 옮긴 질병 때문에 목숨을 잃었을 정도지.고심하던 과학자들, 급기야 모기를 모기로 물리치자는 방안을 내놨다는데?! 살충제는 그만! 박테리아로 모기 잡자! 뎅기열은 모기로 인한 대표적인 ... ...
- [인터뷰] 수학을 풍부하게 만드는 데 기여하는 수학자가 되고 싶어요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안녕하세요. 양서연입니다. 저는 오빠가 두 명이 있는 삼남매의 막내예요. 신기한 점은 모두 대학에서 수학을 전공했어요. 어렸을 때부터 함께 수학 문제를 풀고 이야기하는 게 일상이었지요. 오빠들과 각각 5살, 3살 터울이라 저한테는 어려운 문제였지만, 같이 하고 싶다는 생각에 둘이서 문제를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