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술"(으)로 총 825건 검색되었습니다.
- 눈부시게 찬란한 數 원주율 π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생각할거라고 믿고 예술가 분들에게 도전과제를 내달라고 부탁했어요. 예술가들은 미술을 하나도 몰라도 쉽게 π예술에 도전해 볼 수 있는 도전과제를 내주셨어요. π-데이에 이 도전과제를 해보는 건 어떨까요? 그럼 다른 해보다 더 특별하게 π-데이를 보낼 수 있지 않을까요?△마틴 크리빈스키가 201 ... ...
- [Issue] 범죄 피해자의 뇌 연결성 회복으로 치유한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유도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이화여대 연구팀과 정신건강의학 전문가, 심리학자, 미술치료, 음악치료 등 각 분야 전문가들과 협업해 만들었다.현재 정신건강의학과에서 PTS나 PTSD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과정은 설문조사와 면담 등으로, 대부분 병원에서 이뤄진다. 병원 밖에서는 환자 관리가 특별히 ... ...
- Part 1. 파르테논 신전, 대표적인 오해수학동아 l2017년 02호
- 길이의 비도 9:4를 따라요. 모나리자에도 황금비 없다!모나리자만큼 논란이 많은 미술작품이 있을까요? 그림 속 주인공이 누구인지부터 미완성작이라는 설, 액자에 그림을 넣기 위해 일부를 잘랐다는 이야기 등 그림을 둘러싼 수많은 의혹이 있습니다. 황금비도 그 중 하나지요. 모나리자를 그린 ... ...
- [포커스 뉴스] 천경자 ‘미인도’ 진위 논란… 과학은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세상을 떠났지만 이 작품의 진위여부는 아직도 가려지지 않았다. 결국 검찰은 프랑스의 미술감정업체인 ‘뤼미에르 테크놀로지 멀티스펙트럴 인스티튜트(LTMI)’에 의뢰했다. 그리고 LTMI 전문가들은 지난해 9월, ‘미인도’의 진위를 밝히러 왔다.그림을 2억4000만 개 조각, 1650층으로 나눠 분석LTMI의 ... ...
- Part 2. 논란 없는 황금비 작품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여겼죠. 그런데 루마니아 태생 수학자이자 철학자인 마틸라 기카가 쓴 책 ‘자연과 미술에서의 비의 미학’을 읽고 생각이 바뀌어요. 황금비가 자연 현상의 토대를 이룬다는 내용에 매력을 느낀 거예요. 이윽고 르 코르뷔지에는 황금비를 토대로 라 투레트 수도원을 지어요. 이 수도원은 세 부분으로 ... ...
- [DJ CHO의 롤링수톤] 우주로 떠난 머큐리의 여정 '퀸의 39'수학동아 l2017년 01호
- 드러머 로저 테일러, 그리고 베이시스트 존 디콘 네 명으로 이뤄진 밴드입니다. 대학에서 미술을 전공한 머큐리, 물리학도 메이, 치대생 테일러가 만났으니 개개인의 취향도 성격도 매우 달랐습니다. 덕분에 퀸은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만들 수 있었지요. 퀸은 1973년 1집 앨범 발매를 시작으로 20여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지원군 선배의 고백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환경의 색과 일치시키는 ‘위장 미술’이에요. 중국의 예술가 류 보린은 대표적인 위장 미술 작가로 ‘투명인간 예술가’, ‘위장 예술가’라는 별명을 갖고 있어요. 류 보린은 직접 옷과 피부에 주변의 사물과 똑같은 그림을 그려 배경과 인체가 절묘하게 하나가 된 모습을 사진으로 담아내요. 그는 ... ...
- Part 2. 위상적인 미래를 엿보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현재 넥타이와 스카프, 옷같은 의류에 적용해 상품으로 만든 상태다. 미래에는 변분 미술이 패션의 한 축으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해 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래의 모습 위상수학에 묻다Part 1. 위상수학, 도시를 최적화하다Part 2. 위상적인 미래를 엿보다Part 3. 3D프린터로 날개 단 ... ...
- [지식] 빛과 거울, 명작의 비밀병기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모르겠습니다. ‘넥스트 렘브란트 프로젝트’ 때문이지요. 마이크로소프트와 렘브란트 미술관, 네덜란드 과학자가 개발한 인공지능 프로젝트인데요, 렘브란트의 화풍을 똑같이 재현해 냅니다. 안면 인식 기술로 렘브란트 작품 260점 속 인간의 표정을 분석해 데이터를 얻습니다. 그뒤 3D프린터로 ... ...
- [수학실험실] 자르고 접어서 대칭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12호
- 기준으로 양쪽은 똑같은 무늬가 나타나는데, 이것은 화가 오스카 도밍게즈가 생각해낸 미술 장식 기법 ‘데칼코마니’다. 데칼코마니를 수학적으로 보면 대칭, 더 정확히 말하면 ‘선대칭’이다. 이처럼 양쪽 부분이 똑같게 배치된 형태를 대칭이라고 말하는데, 항상 선분이 기준일 필요는 없다.점,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