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숫자로 보는 뉴스] 위잉~ 꿀벌도 사람처럼 수를 세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실험한 결과예요. 꿀벌이 1부터 5까지 수를 셀 줄 안다는 사실은 이미 알려졌지만, 어느 방향으로 수를 세는지 알아보는 실험은 처음이었지요. 연구팀은 구멍 뚫린 상자에 도형이 1개 그려진 그림을 붙이고, 그림 위에 설탕물을 발랐어요. 꿀벌이 상자를 드나들다가 도형 그림 쪽으로 향하면 ... ...
- [에디터노트] 서른 여덟 즈음에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편집부 구성원들이 머리를 맞대고 가을부터 필자들을 섭외했죠. 그리고 그 방향에 맞지 않는 기사들은 과감히 덜어냈습니다. 이전보다 한결 통일성이 느껴질 겁니다. 현장 과학자가 직접 말하는 연구 이야기(필드), 과학덕후를 위한 즐거운 과학(빅잼) 등 새로운 연재기획물들이 많이 보일 겁니다. ... ...
- [기고] 선진국·개발도상국 한 목소리 "기후변화 대응, 다시 전진할 때”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대표로 참석한 김효은 외교부 기후변화대사가 회의 결과 및 한국과 국제사회가 나아갈 방향을 담은 기고문을 보내왔다.이집트 시나이반도의 아름다운 휴양도시 샤름엘쉐이크에서 열린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이하 COP27)는 적극적이고 현실적인 기후변화 대응책 마련에 초점이 ... ...
- [기획] 결함에 0차원이 있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있었던 것입니다. 이 방향의 차이는 박막 소재의 유전율 크기를 바꿨습니다. 분극이 같은 방향으로 나란하면 유전율이 낮아지고, 나란하지 않으면 유전율이 높아진 것이죠. 유전율의 값이 달라지는 것이 ‘0차원 공허’가 차세대 반도체 메모리 기술과 이어질 수 있는 지점이 됩니다. 우리가 기존에 ...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생명체 체외배양을 준비하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배아는 스스로 영양분을 갖는 대신 엄마의 자궁에 착상하고 태반으로부터 양분을 얻는 방향으로 진화했습니다. 배아가 발달을 위해 배아 내에 영양분을 비축하는 것은 모체의 생존에 이익이 되지 않기 때문에, 어류나 양서류 등의 배아에서 영양분이 있던 자리는 빈 공간으로 남겨두고요. 대신 ... ...
- [헷갈린 과학] 두 눈이 오른쪽? 왼쪽? 가자미VS넙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도다리속에 속하는 물고기 종류예요. 도다리는 가자미와 생김새도 비슷하고 눈이 쏠린 방향도 오른쪽으로 같지만, 보통 몸 색깔이 더 검고 모양은 마름모꼴에 더 가깝습니다. 좌광우도? 예외도 있다!비슷하게 생긴 넙치와 가자미를 구분하기 위해 사람들이 가장 즐겨 쓰는 방법은 바로 ... ...
- [통합과학 교과서] 노을 속으로 사라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수많은 입자들이 떠다닙니다. 태양빛은 입자들과 부딪히며 여러 방향으로 흩어지는 ‘산란’을 해요. 대기 속에 있는 산소 등의 기체 분자는 크기가 수 nm 내로, 가시광선 파장에 비해 매우 작아요. 이렇게 빛의 파장보다 더 작은 입자에서 일어나는 산란은 빛의 색깔에 따라 ... ...
- [출동, 수학 히어로! 슈퍼M] 버스 번호에 숨은 비밀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1호
- 2번으로 정했어요. 중심부인 0번에서 시작해, 시계 방향으로 돌면서 7번까지 번호를 매긴 거예요. 파란색 버스의 번호는 세 자리 수로 이뤄져 있어요. 백의 자리에 적힌 첫 번째 숫자가 출발지역이고, 십의 자리에 적힌 숫자가 도착지역을 의미해요. 일의 자리에 적힌 숫자는 버스를 구분하기 위해 ... ...
- [과학뉴스] 웜홀과 블랙홀 똑같은 모습으로 보인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방출되는 편광과 비교했다. 그 결과 웜홀과 블랙홀의 편광은 거의 동일하며 강도와 방향의 차이가 4% 미만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페트야 네드코바 소피아대 이론물리학과 교수는 “이 차이를 구분해 웜홀을 발견할 수도 있겠지만 현재의 망원경 기술로는 한계가 있다”며 “웜홀과 블랙홀을 더 ... ...
- [특집] 양자전송으로 순간이동을 할순없더라도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양자상태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양자얽힘을 전달하는 기술이다. 또 다른 중요한 연구 방향은 다자간 양자채널을 구성하는 것이다. 오늘날 많은 연구는 송신자와 수신자, 즉 두 노드에서 양자얽힘 입자를 나눠 가지는 데에 머물러 있다. 하지만 셋 또는 그 이상의 입자들 사이의 다중입자 양자얽힘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