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배터리"(으)로 총 64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로제타가 포착한 필레의 최후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공교롭게도 필레가 착지한 지점은 햇빛이 들지 않는 바위 아래였다. 태양광을 받아야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필레는 사흘 만에 휴면 상태에 들어갔고, 7개월 뒤 혜성이 태양에 접근하면서 잠시 신호를 보내왔다. 하지만 이후 교신이 끊어져 지금까지 위치조차 파악할 수 없었다.ESA는 임무 종료를 ... ...
- [News & Issue] 침식? 풍화? “독도는 이상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정작 2분이 채 걸리지 않았다. 이걸 하자고 장장 5시간 반 배를 타고(왕복 11시간!), 1kW 배터리로 카메라를 충전하고, 대여섯 개나 되는 배선을 한 시간 넘게 연결했단 말인가. 허탈한 표정을 짓는 기자에게 이 선임연구원은 “원래 분석하는 시간이 훨씬 더 많이 걸린다. 1년 가까이 걸릴 때도 있다”며 ... ...
- [Tech & Fun] 다음 체중계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그냥 기록하면 되니까.’그렇다. 완전히 봉인되어 있는 그 체중계의 핵심부품은, 배터리보다 조금 더 중요한 외계기술이란, 바로 타임머신이었다. 일방통행만 가능한 타임머신. 지구인도 모두 시간여행을 한다. 다만 미래 방면으로만 천천히 갈 수 있을 뿐이다. 그런데 이 기계는 정반대 방향으로 ... ...
- [News & Issue] 젊은 해커들이 기판으로 명찰을 만든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항공배송에서 배터리가 위험물로 분류돼 배송절차가 무척 까다로워 늦어진 것이다. 만약 배터리가 제때에 도착하지 못했다면 조금 더 비싸더라도 국내에서 구매할 계획을 마련해 뒀다.직접 마무리 작업을 한 것은 제작비용과 시간을 줄이기 위한 방편이었지만, 이 과정을 통해 다른 사람이 만들어준 ... ...
- [Tech & Fun] 두근두근♡실습일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지르며 로봇의 어깨를 흔들었다.“로봇 씨, 정신차리세요, 로봇 씨!”연산 과부하로 인한 배터리 방전이었다. 결국 윤정은 로봇을 등에 떠메고 낑낑거리며 계단을 오르기 시작했다. 로봇은 생각한 것보다 훨씬 무거웠고, 늘 높다고 생각했던 학교 계단은 오늘 따라 백 배는 더 높았다. 로봇의 발이 ... ...
- 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교체하는 것이 사람의 특징을 훼손하지 않는다”며 “배터리가 다 된 카메라의 배터리를 교체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2월에는 세 부모 아이의 체외 수정을 허용하는 법안이 마침내 영국 상원에서 통과됐다. 하지만 아직까지 안전성이 제대로 검증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있어 법안이 ... ...
- [Knowledge] 산사태 예측, 그 어려운 걸 꼭 해내겠답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태양전지판과 강우계를 청소했다. 또 센서에서 특정한 자료가 제대로 전송되는지, 배터리는 충분한지 확인했다. 이날은 특별한 문제가 없었지만, 종종 강우계에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태양전지판이 눈에 덮여 전체 시스템 작동이 멈추는 등 보수가 필요한 경우가 생긴다.점토 많은 지리산, 화강암 ... ...
- [Career] “이산화탄소로 플라스틱을 만드는 날이 올 겁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세라믹, 고분자는 섬유나 탄소섬유 등을 다루는데요. 이 연구들로 고효율 연료전지, 배터리 등을 개발합니다. 자동차나 휴대전화, 드론 등 대부분의 산업에서 재료는 기본 중의 기본이기 때문에 선택할 수 있는 진로의 범위가 넓다는 게 우리 학부의 장점입니다.이윤구 졸업 후에는 어떤 기업으로 ... ...
- [News & Issue] 웨어러블 미생물 전지 시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좀 더 가볍고, 버려지는 물질로 작동하면서 폐수까지 정화하는 신개념 배터리죠. 배터리 용량이 늘 문제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가정용 전기기구에 응용할 수 있을 겁니다 ...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협업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저장 특성이 좋은(충전이 오래 가는) 나노 구조의 새로운 배터리 물질을 만드는 거죠. 그런데 솔직히 말해 아직까지 나노 물질 자체가 산업에 많이 쓰이고 있는 건 아닙니다. 연구하는 쪽과 이론을 적용하는 쪽의 협업이 좀 부족한 것 같습니다. 당연히 돈도 안 됩니다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