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명"(으)로 총 1,213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줄었다 늘었다 자유자재, 이런 컵 슬리브는 처음이야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일명 ‘꼬불이’는 직선이 아닌 꼬불꼬불한 선의 형태로 프린팅한 소재다. 직선일 때와 분명 재료는 같은데도 복원력, 복원 속도, 복원 정도 등에서는 ‘꼬불이’가 월등히 앞선다. 문 센터장은 “4D 프린팅은 전통적인 소재 연구와는 다른 만큼 더욱 창의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필요한 분야”라며 ... ...
- [매스미디어] 웰컴 투 방탄 유니버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첫 번째 시간 흐름이다. 그런데 끝난 줄 알았던 이야기가 다음 앨범에서 다시 시작된다. 분명 같은 아이들인데 무언가가 조금씩 바뀐다. 모습도 다르고 장소도 바뀌지만 큰 줄기는 같다. 비슷한 듯 다른 이야기가 반복된다. 이번엔 행복해지는가 싶었는데 또 슬픔이 닥친다. 어떻게 된 걸까 ... ...
- [프리미엄 리포트 Part 2] 나라의 동맥과 정맥 교통 인프라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만들어졌다. 이 연구위원은 “평양보다 위도가 높은 지역의 기후적 특성은 남한과 분명 다를 것”이라며 “이에 따라 도로 하부구조의 설계가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가령 도로의 동결, 융해가 자주 반복된 다면 변형을 막기 위해 ‘동상방지층’을 더 두껍게 설계할 수 있다. 또 제설 작업을 ... ...
- 최초의 미적분학 입문서, 이탈리아 청년을 위한 미적분학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수학이론을 쉽게 설명한 입문서도 없었으므로 ‘이탈리아 청년을 위한 미적분학’은 분명 많은 사람에게 도움이 됐을 겁니다. 책이 나오자 프랑스 아카데미 소속 장 메랑, 알렉시 콜레로, 장 달랑베르는 “미적분학을 이루는 거의 모든 발견을 담고 있다”, “서로 다른 방식으로 흩어져있는 현대 ... ...
- Part 4. [2D 어드벤처] 클라인 병이 사각형?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옆으로 가면 대각선으로 걷게 되네. 아무래도 여긴 뫼비우스 띠인가 봐. 이상하네. 분명 클라인 병을 반으로 잘랐을 때 뫼비우스 띠가 된다고 했는데…. 어째서 삼등분 했는데도 뫼비우스 띠가 되지? 교생쌤과 절친이 있는 곳도 뫼비우스 띠 위인지 물어봤어. 그런데 거긴 아니래. 교생쌤이 있었던 ... ...
- Part 1. [롤러코스터] 4차원 뫼비우스 띠?!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위를 차로 달리다보면 180°로 몸이 비틀어지는 것도 같고, 거꾸로 서는 느낌이 들어. 또 분명 한 바퀴 돌았는데 정확히 나는 출발지의 도로면 반대편에 있어. 이처럼 한 바퀴를 돌아왔을 때 안과 밖이 바뀌는 성질을 ‘비가향’이라고 한대. 즉 클라인 병 롤러코스터도 비가향인거야. 뫼비우스 띠가 ... ...
- Part 3. 자율주행자동차, 법으로 본 3대 이슈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말까지 제도화될 예정이다. 안전을 위한 보험제도 개편은 불가피하며, 사고 책임이 불분명한 상황에서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방안까지 포함해 자동차손해배상법, 제조물책임법 등 관련법의 개정안을 마련하고 있다. 또 정부는 자율주행자동차의 종류에 따른 제조 안전 기준, 주행 안전 기준을 ... ...
- [영재교육원 탐방 2] 극단으로 간 영재들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연극단원과 함께 음악에 맞춰 춤추며 연기하고 있었다. 연극을 준비하고 있던 것이다. 분명 과학영재들이라고 들었던 터라 캠프의 정체가 더 궁금해졌다. 배우가 된 과학영재“전국 27개 대학 부설 영재교육원 중에 부산대 과학영재교육원에만 있는 신입생 연극캠프입니다. 올 해로 네 번째인데요, ... ...
- [필즈상 미리보기] 필즈상 0순위, 어린 나이가 변수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코호몰로지에 대한 연구를 시무라 다양체에 응용해 랭글랜즈의 대응을 보였습니다. 분명 한국어인데, 무슨 말이지 모르겠지요? 시무라 다양체는 대수기하학과 정수론의 주요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 중요한데, 많은 수학자가 어려워 할 만큼 난이도가 높습니다. 그 중에서도 모렐 교수가 연구한 ... ...
- Part 4. 개기일식, 영화가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횡단하는 개기일식이 2017년에 일어난다는 사실을 알고 2011년, 이 아이디어를 떠올렸어요. 분명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 거라고 생각했지요. 그럼 개기일식 경로에 있는 1만 명의 사람들이 각자 100장의 사진만 찍어 줘도, 사진이 아닌 12시간 분량의 개기일식 영상을 만들 수 있어요. 좋은 기회라고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