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진"(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빅잼] 이그노벨상을 타면 노벨상도 받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등을 띄웠다. 그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실험 재료는 개구리였다. 공중 부양 개구리의 사진은 물리학 잡지는 물론 여러 언론의 지면을 장식했고, 가임 교수는 2000년 이그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딴짓이 허용되는 금요일 밤 모임 사실 이 같은 개구리 공중 부양 실험은 가임 교수와 동료들이 ‘금요일 ... ...
- [독자기고] 세계 큐브 협회 월드 챔피언십 2023과학동아 l2023년 10호
- 1이라는 큐브로 정육면체 모양이지만 섞으면 모양이 마구잡이로 변하는 특징이 있다(위 사진). 떨리는 마음으로 대기석에 앉았다. 곧 러너가 필자의 이름을 불렀다. 러너를 따라 무대로 나가는 내내 긴장감이 엄습했다. 책상에 앉자, 큐브 가리개에 가려진 필자의 큐브가 앞에 놓였다. 필자가 ... ...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어린이를 위한 메타버스 안전 가이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점도 반드시 기억하세요. 디지털 미디어에서 만나는 모든 사람들의 아이디와 프로필 사진이 실제 모습이라고 할 수 없거든요. 이런 점을 악용해 친구인 척 다가와 개인정보를 캐내고 범죄에 이용하거나 현실 세계에서의 만남을 부추겨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도 있어요. 그러니 메타버스에서는 나와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달콤하고 단백질도 보충할 수 있는 이색 간식을 소개할게, 바로 곤충 사탕! 크리에이터 ‘이상한 과자가게’는 곤충 사탕을 만든 뒤 직접 맛을 봤어! 과연 곤충 사탕의 맛은 어떨까? 빛의 속도를 체감할 수 있는 영상과 콜라 캔으로 세탁기 만드는 영상도 가져 왔으니 마이보랑 같이 보자~! 달콤 ... ...
- [옥톡과 달냥의 우주탐험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0호
- 표현하는 레고 장난감도 실렸답니다. 목성 주노가 촬영해서 지구로 보낸 목성의 사진이에요. 목성은 태양계의 8개 행성 중 가장 큰 행성이지요. 지름이 지구의 11배만큼 크고, 질량★은 300배 무거워요. 표면★의 소용돌이는 목성을 이루고 있는 여러 가지 기체예요. 용어 설명위성★ 행성의 ... ...
- [Data Math] 뚫을 테면 뚫어 봐! 삼성전자 반도체 보안을 책임진다!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속 사진이나 사람들과 나눈 메시지를 보지 못하도록 패턴이나 비밀번호를 걸고 있나요? 휴대전화 비밀번호를 연속해 5번을 틀리면 30초 동안 기다리라는 보안 경고 메시지가 뜨는데요. 누군가가 내 개인 정보를 보지 못하도록 하는 이 장치에 ‘수학적 원리’가 숨어 있습니다. 그리고 이 원리로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대결의 승자는? 일반 콜라 vs 제로 콜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특집 기사를 본 섭섭박사님, 페트병에 담긴 제로 콜라와 일반 콜라를 가져왔어요. 목이 마르신가 했더니 콜라는 마시지도 않고 페트병 입구에 풍선을 씌우기 시작하는데요. 아니, 입이 아니라 콜라로 풍선을 불겠다고요? 여유만만한 섭섭박사님! 과연? 왜 이런 일이?→ 결과 : 일반 콜라보다 제 ... ...
- [출동, 슈퍼 M] 음료수 캔은 왜 모두 원기둥 모양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9호
- 지름★은 5.2cm예요. 이 크기의 원기둥 음료수 캔이 가장 많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아래 사진을 보세요. 길쭉하고 날씬한 원기둥 모양의 캔과, 짧지만 넓적한 원기둥 모양의 캔은 둘 다 약240mL★의 음료가 들어가요. 실제로 들어가는 음료의 양은 거의 차이나지 않지만, 눈으로 봤을 땐 길쭉한 원기둥이 ... ...
- 결전의 날 수학동아 l2023년 09호
- 긴장한 기색이 역력했어요. 3회째 출전하는 배준휘 학생만 “떨리지 않아요! 저, 사진 찍어 주세요”라며 조금 여유 있는 모습이었습니다. 학생들은 손에 모두 커다란 투명 지퍼백을 들고 있었어요. 시험장엔 필기도구, 음식, 음료수, 물통, 그 밖의 작은 물건만 지퍼팩에 넣어 들고 갈 수 있어요. ... ...
- [Reth?nking] 우리는 왜 미분에 관심을 갖게 됐는가?수학동아 l2023년 09호
- 현대 문명의 근간이라고 불리는 미적분은 무선통신 기기 설계, 로켓 발사, 인공지능, 감염병 예측 등 다양한 곳에서 활용된다. 그중 미분은 변화하는 양을 이해하고 표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세상의 모든 것이 시간이 흐르면서 변화하므로 이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미분이 꼭 필요하다. 이번 시간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