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성과"(으)로 총 2,60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창어 5호’, 달의 흙을 가지고 지구 복귀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2020년 12월 17일 중국의 무인 달 탐사선 창어 5호가 지구로 복귀하는 데 성공했어요. 창어 5호는 11월 24일 중국 하이난성 원창 우주발사장에서 우주로 발사된 뒤, 12월 1일 달 표면 ... 창어 5호의 달 표본 채집 임무는 1976년 소련이 루나 24호를 쏘아 올린 지 44년 만에 이루어진 성과랍니다 ... ...
- 6G 갖춰야 할 성능, 가능케 할 기술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테라헤르츠 무선통신으로는 100m 이상 거리에서 가장 빠른 데이터 전송률을 기록한 성과였다. doi: 10.1038/s41566-020-0675-0 다만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파장을 가진 저주파와 달리 고주파는 공기 중의 수증기나 산소 분자에 의해 쉽게 손실되는 특성이 있다. 고영조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 ...
- [현장취재] 무당개구리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연구프로젝트 지원사업으로, 생태·환경 분야 연구원들이 시민들과 함께 연구하며 성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무당개구리는 도시 근처 산속에 물이 고여 있는 곳이나, 배수로처럼 물과 진흙이 조금이라도 있는 곳이라면 쉽게 관찰할 수 있어요. 우리 친구들도 공원의 습지나 등산로의 ... ...
- [인포그래픽] 핵융합 에너지가 도시를 밝히기 까지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연구는 2007년 KSTAR가 건설되며 시작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짧은 시간에 수많은 연구성과를 내며 핵융합 에너지 강국에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 KSTAR부터 핵융합 발전소로한국의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는 총 네 단계로 이어진다. 초전도 핵융합 연구장치(KSTAR)부터 핵융합 발전소가 건설되기까지 ... ...
- 세계 상위 0.1% AI 고수를 만나다 “데이터가 있는 곳이면 어디든, AI가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그가 지금까지 참가한 대회의 수는 무려 44개다. 1년에 평균 15개 대회에 참가해 우수한 성과를 거둔 셈이다. “알고리즘 개발에 고집은 통하지 않는다” 그중에서도 가장 기억에 남는 대회는 지난해 5월부터 8월까지 영국 연구 프로그램 ‘위상 공간에서의 화학 및 수학(CHAMPS)’이 주최한 ‘분자 ... ...
- 당신의 역사에 관한 최신 연구 총집합...정자가 난자를 만나기까지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그리고 한 남성의 정자가 두 가지 난포액에 동시에 모이는 경우는 없었다. 이런 선택은 여성과 남성의 파트너 선택과는 무관했다. 실제 관계와는 무관하게 난자가 선호하는 정자가 존재하는 것이다. doi: 10.1098/rspb.2020.0805피츠페트릭 교수는 “이번 연구는 여성의 파트너 선택이 수정 단계에서도 ... ...
- [융복합파트너@DGIST] 스테레오 카메라로 자율주행차 가성비 높인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없다”고 답했다. 임 교수는 마이크로소프트 근무 당시 카메라 거리 측정 기술로 얻은 성과로 논문을 작성하려고 했는데, 단 3일 만에 다른 곳에서 기술이 발표돼 중단한 경험을 털어놨다. 게다가 간신히 새 주제로 논문을 작성했는데, 제출 직전에 비슷한 주제의 논문이 나왔다고 했다. 모두 6개월 ... ...
- [기획] 놓치고 가면 섭섭한 2020 수학 이슈수학동아 l2020년 12호
- 것입니다. 이 연구는 4차원에서의 매듭이론을 발전시키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는 성과라고 하네요. 매듭이론은 DNA 구조처럼 3차원의 문제를 푸는 데 많은 도움을 줬지만, 3차원에 한 차원을 더한 4차원에서의 매듭이론은 아직 확립되지 않았거든요. § 희망고문상 §논문 출판 결정됐지만 ... ...
- [인터뷰] 꿈의 에너지에서 현실의 에너지로 "선진 기술로 핵융합 상용화 주도할 것"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역할을 할 것입니다. 그들이 바로 현재 청소년들이죠. 지금까지 선배 연구자들이 이뤄낸 성과를 바탕으로, 핵융합 에너지의 상용화는 똑똑하고 창의적인 미래 세대의 연구자들이 완성해 나가주길 바랍니다.지금도 잊혀지지 않는 한 초등학생의 질문이 있습니다. “핵융합 발전의 연료인 중수소를 ... ...
- [매스미디어] 테슬라수학동아 l2020년 11호
- 내 업적과 성과는 미래에서 평가받을 것이다."현재 우리는 어디서나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고, 선 없이도 휴대전화를 충전할 수 있습니다. 이 기술은 모두 위대한 발명가인 니콜라 테슬라가 생각하고 구현하기 위해 노력한 것으로, 그의 노고가 현실화돼 우리가 더 편리한 삶을 누리고 있습니다.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