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쌍"(으)로 총 1,172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실험으로도 입증됐다. 이탈리아 국가표준기관(INRIM)의 실험물리학자들은 얽혀 있는 한 쌍의 광자와, 안팎에서 광자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관찰자를 포함하는 작은 우주를 모사했다(학술지 ‘피지컬 리뷰 A’ 2014년 5월 20일자). 연구팀은 서로 얽혀 있는 두 개의 광자를 분리된 두 경로로 보냈다. ... ...
- [지식] 광케이블 통신망 효율 높이기수학동아 l2016년 04호
- 계산한 결과 반례가 딱 하나 있었습니다. 도시가 16개이고 서로 통신하려는 도시의 쌍은 18쌍이어서 218가지 경우를 고려해야 최적인 최대 용량을 구할 수 있는데, 계산해 보니 최적인 L은 50이었고, L*=39, D=10이어서 L≤L*+D라는 식은 틀렸던 것입니다.이처럼 광케이블을 이용한 통신망 문제는 산업 ... ...
- [지식] 거대 소수를 찾는 사람들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불가능에 가깝다. 쌍둥이 소수란 그 차가 2인 소수를 말하는데 11, 13이나 17, 19 같은 소수 쌍을 의미한다. 즉 뤼카-레머 판정법을 통해 메르센 소수를 찾았더라도, 그 수의 앞뒤로 2만큼 차이가 나는 수가 소수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는 이야기다.뤼카-레머 판정법을 이용해 컴퓨터로 ... ...
- [Knowledge] 우리도 부모가 되고 싶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불임 인구는 5년간 20%가 넘게 증가해 20만명을 넘어섰다. 일각에서는 부부 다섯 쌍 중 한 쌍은 임신이 힘들다고 할 정도다. 하지만 정자 기증은 거의 없다. 기증과 관련한 절차나 법제도가 미비해 정자 공여자와 수여자 모두를 만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이다. 암 환자에게 꼭 필요한 정자은행정자은행은 ... ...
- [지식]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_홀의 결혼정리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나눴다고 할 때, 인사를 나눴던 사람끼리 짝을 지을 수 있음을 보이시오. 즉 짝이 된 100쌍 모두는 파티에서 인사를 나눈 적이 있도록 할 수 있음을 보이시오.짝짓기 문제에서 점 뽑기 문제로 확장!최근 KAIST 수리과학과에서 이산 기하★를 연구하는 안드레아스 홀름센 교수가 홀의 결혼정리를 공간에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체험활동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점들의 모임입니다. 도르래를 사진으로 찍은 다음 윤곽을 따라 선을 그려보면 선이 쌍곡선과 거의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정전으로 가는 길에서 크고 위엄 있는 문을 볼 수 있습니다. 문이 세 개로 돼 있어서 ‘삼문’이라고도 부릅니다. 이 커다란 삼문이 위풍당당하게 서 있을 수 있는 ... ...
- [공지]전국 주요 과학관 무료 입장!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네개의 날개로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다.비행원리는 프로펠러가 마주보는 2쌍씩(대각선)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프로펠러의 회전 방향과 반대로 돌아가는 힘이 동체에 작용하면 중력을 이기고 하늘로 떠오른다. 또 프로펠러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것만으로 방향을 바꿔서 자유자재로 ... ...
- PART 2. 물 밖으로 나온 수중과학수사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별도로 자신의 DNA를 가지고 있다. mtDNA는 핵DNA에 비해 개수가 많다. 세포 하나 당 2개(한 쌍)에 불과한 핵DNA와 달리, 세포 하나 당 200~1700개나 있다. 그래서 세포가 산산이 분해되는 와중에도 비교적 오랫동안 멀쩡한 mtDNA가 남아있을 수 있다.하지만 핵DNA 분석법보다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어 일반적인 ... ...
- [Knowledge] 파충류의 속사정2 하늘의 거인 케찰코아틀루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1에 불과하다.하비브는 이륙하는 방법 때문이라고 본다. 오늘날 새는 익룡과 달리 한 쌍의 뒷다리로만 걸어 다니며, 이륙을 할 때도 뒷다리 근육만을 이용해 땅을 박찬다. 하지만 몸집이 커질수록 땅을 박차는 데 필요한 근육도 많아져야 하고, 몸무게는 무거워진다. 무거워졌으니, 날기 위해서는 ... ...
- [News & Issue]초신성의 새로운 폭발 원리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최초로 관측해 ‘천체물리학저널증보’ 2015년 11월 20일자에 발표했다.제1a형 초신성은 쌍으로 이뤄진 별 중 하나가 나머지 별(동반성)의 물질을 받아 폭발하는 초신성으로, 백색왜성과 적색거성의 상호작용에 의해 폭발한다는 것이 기존의 가설이었다.연구팀은 호주의 ‘이상각 망원경’으로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