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러"(으)로 총 1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수티콘 사전] 단위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수달 : 맞아요. 몸을 이용해서 길이를 재면 누가 재느냐에 따라 기준이 달라지므로 여러 사람이 똑같은 수치를 나타내기가 어려워요. 그래서 전 세계 어디서나 같은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통의 단위를 만들었지요. 어수동 : 공통으로 쓰는 단위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수달 ... ...
- [꿀꺽! 생활 속 수학 두 입] 어느 날 자가 모두 사라졌다?! 도와줘, 별별 단위!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이게 어떻게 된 일이죠? 어느 날 눈을 떠보니 자가 모두 사라졌어요. 사람들을 위해서 무언가를 재는 데 지쳤나 봐요. 그럼 이제 mm, cm, 는 어떻게 알 수 있지요? 설마, ... 양을 비율로 나타낸 거예요. 당도가 높으면 그만큼 더 달다는 뜻이에요. 당★ 단맛을 내는 여러 가지 물질을 말해요 ... ...
- [4컷 만화] 임무를 다한 위성 ‘아이올로스’, 지구 송환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고도를 320km에서 며칠에 걸쳐 순차적으로 낮췄습니다. 아이올로스는 추진기를 여러 번 발사해 고도 250km에 이어 고도 150km까지 내려갔지요. 대기권에 진입하자 아이올로스의 몸체가 지구 중력에 강하게 이끌리며 점점 가속 추락하기 시작했습니다. 마침내 7월 28일, 아이올로스의 몸체는 공기와의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알맹이도 껍데기도 버릴 게 없다! 달걀 껍데기 분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 달걀 껍데기 분필 완성! 분필은 석회석이나 대리석의 주성분인 ‘탄산칼슘(CaCO3)’에 여러 물질이 잘 섞이도록 만든 배합제를 넣어 굳힌 필기구예요. 달걀 껍데기 또한 분필의 주성분인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져 있어 분필을 만드는 데 활용할 수 있어요. 밀가루 반죽은 분필 몸체를 만들어줄 배합제 ... ...
- [이야기로 냠냠!어수잼] 조제실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6호
- 마치 멀미를 하듯 속을 울렁이게 만드는 ‘울렁울렁 울렁병’ 환자였지요. 울렁병은 여러 가지 액체가 들어간 물약으로 치료할 수 있는 병이라서, 소다는 환자가 가져온 처방전의 재료를 모두 더해 한 병의 물약을 만들어주기로 했어요. 재료의 양은 소수로 적혀 있었지요. 소수끼리 더하는 방법은 ... ...
- [기획] 칼박자 천재드러머, 드럼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드럼이에요. 로봇 역시 사람처럼 팔이 두 개인 인간형 로봇이지요. 기존 드럼 로봇은 여러 개의 팔을 달아 동시에 움직이도록 한 경우가 대부분이었습니다. 임 연구원은 “로봇이 드럼을 칠 때 두 팔의 속도와 궤적을 계산하고 최적화하는 과정은 인간형 로봇의 움직임에 대한 중요 데이터로 활용할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미디어 속 나 '본캐와 부캐?'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정직에 관한 사진으로 프로필 사진을 설정하거나, 관련 콘텐츠를 SNS에 공유할 수 있지요. 여러분의 인생 목표와 좌우명은 무엇인가요? 멋진 정체성을 응원합니다! ※필자소개 김지훈(부산 신금초 교사). 안전하고 신나는 디지털 세상을 꿈꾸는 초등학교 선생님입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디지털 ... ...
- [우주탐험대] 알파 센타우리 / 프록시마 센타우리와 프록시마 b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6호
- 이처럼 생명체가 살 가능성이 있는 행성은 슈퍼 지구라고 불려요. *용어정리항성계: 여러 항성이 서로의 힘에 이끌려 주변을 일정하게 맴도는 것을 말해요.항성: 아주 뜨거운 기체 물질 ‘플라즈마’가 똘똘 뭉쳐 이루어진 천체예요 ... ...
- [사막생물탐구생활] 사막의 키다리, 사와로 선인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소노란사막에서도 딱따구리가 사와로에 둥지를 만듭니다. 제가 관찰한 어떤 사와로에는 여러 개의 구멍이 있었고, 그중 가장 꼭대기 구멍에서 ‘힐라딱따구리’가 고개를 내밀고 있었어요. 저는 딱따구리의 둥지를 촬영하면서 관찰했습니다. 암컷과 수컷이 번갈아가며 사냥한 곤충을 물고는 ...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말불버섯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요긴하게 쓰였어요. 이들의 포자는 지혈에 효과가 있어 중국과 중앙아메리카를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지혈제로 쓰였는데, 특히 댕구알버섯은 유럽에서 전쟁 전에 많이 채집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지요. 저는 가끔 길을 걷다가 성숙한 복균류를 발견하면 괜히 쿡쿡 건드리며 포자를 터뜨리곤 합니다.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